r1 ➤ r2 |
22 | == 한국 == |
23 | 19세기 [[조선]]은 청일전쟁 이후 [[일본]]과의 세력 균형을 위해 제정 러시아를 이용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냉전시대가 지속되면서 우호관계가 없었으나, 1990년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으로 인해 국교가 정상화되면서 러시아와 한국 간의 관계가 개선되기 시작했다. 1990년 9월 30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12월 14일에는 여러 협정[* '대한민국 정부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정부간의 과학 및 기술협력에 관한 협정,' '대한민국 정부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정부간의 무역협정,' '대한민국 정부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정부간의 투자의 증진 및 상호보호에 관한 협정' ]을 체결하였다. |
24 | |
25 | 1994년 [[김영삼]] 대통령은 모스크바를 방문해 양국 간 건설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동반자 관계를 선언했다. 1995년 8월엔 러시아가 북`러 군사동맹조약을 연장하지 않을 것을 선언하고 1996년 9월 10일 조약이 폐기되기도 했다. 당시 한국과 러시아의 교역량은 1995년 기준 33억 1천만 달러로, 1990년에 비해 3.7배 증가하였다. |
26 | |
27 | 그러나 1996년 4월 한반도 문제에 관련 논의에서 러시아의 참여를 배제한 4자회담을 제창하자 관계가 냉각되기 시작했다. 이런 관계는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계속 약화, 악화었다가, 1999년 5월 [[김대중]]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계기로 다시 우호적인 협력 관계가 복원되었다. 이후 푸틴 대통령의 남북 화해와 협력을 지지하고 실용주의적 경제 협력 외교를 전개하면서 실질적인 동반자 관계가 구축되기도 했다. 또한 2004년 9월 [[노무현]]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은 양국 간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
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