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 ➤ r2 |
2 |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725190529/https://wiki.nex32.net/%ED%95%98%EB%93%9C/%EC%9D%B8%ED%85%94_%EC%A0%9C%EC%98%A8_phi|링크]])] |
8 | 그래픽카드 기반의 병렬연산 처리 유닛과 달리 인텔의 강점인 x86 코드를 지원하며 자체적으로 OS를 내장, 강력한 연산능력을 좀 더 편리한 개발환경을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웠다. 그러나 시장 경쟁 심화와 전략적 변화로 인해 인텔은 제온 파이 제품 라인을 단종시켰다. |
24 | Bull, 클레이, 델, HP, IBM, NEC 등의 40개 이상의 HPC 업체들을 지원하며, 2013년에 정식 발표될 예정인 텍사스 대학의 TACC(Texas Advanced Computing Center)에 도입중인 슈퍼컴퓨터 ‘스탬피드(Stampede)‘는 제온 Phi 장비를 장착한 슈퍼컴퓨터는 단독으로 1페타플롭스(PFLOPS)의 성능을 낼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스탬피드는 피크 퍼포먼스로 10페타플롭스를 기대하고 있다고. |
25 | |
26 | == 유산 == |
27 | 제온 파이는 비록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인텔의 MIC 아키텍처 연구와 대규모 병렬 컴퓨팅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제온 파이를 통해 개발되고 검증된 AVX-512 명령어셋은 이후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라인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술적 유산을 남겼다고 평가할 수 있다. |
28 | |
29 |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725190529/https://wiki.nex32.net/%ED%95%98%EB%93%9C/%EC%9D%B8%ED%85%94_%EC%A0%9C%EC%98%A8_phi|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