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5 ➤ r16 | |
40 | 한자도 처음 만들어질 때는 한 글자에 한 뜻이었지만 생각이 커지고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더 많은 글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럴 때마다 새로운 글자를 만든다면 너무 복잡해지니 이미 있던 글자에 관련 뜻을 붙였다. --아니 그냥 한자 제자 원리에 따라 만들면 될텐데-- 고로 아무렇게 붙여 쓰는 것이 아니라 그런 뜻이 붙게 된 까닭이 분명히 있다. 그 까닭을 생각하는 방법은 쉽다. 예를 들어, 稷(기장 직)자는 기장이 곡식의 으뜸이므로 곡식의 으뜸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