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 ➤ r3 |
14 | 근대식 교육이 들어온도입된 개화기부터 여학생들의 교복이 지정되었다. 이화학당의 빨간 한복 교복이 한국에선 가장 먼저 채용된 학생의 제교복이였다. 여성들을 위한 학교인 만큼 여학생들의 활동성과 편의를 위하여 이전까지 한복에 적용되던 가슴가리개[* 가슴을 포함해 치마와 상체를 꽉 동여매주는 폭이 넓은 길기다란 천이다.] 말고 현재의 한복처럼 어깨에 걸치는 식의 치마를 입혔다. 교복은 복식의 역사를 바꾸기도 한 것이다. |
16 | 일제시대 이후강점기부터는 당시 일본군 제복에 영향을 받은 일본식 교복을 입었다. 우리가 가쿠란이라고 부르는 교복에 흰색 검정글씨 명찰과 모자가 세트였다. 교복은 사회상의 영향을 받기도 했던 것이다. 광복 이후에도 남학생의 교복은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일본군식 제복과 모자[* 중학생은 中'中', 고등학생은 高'高' 라고 써쓰여 있다. 검정고무신의 이기철이가 쓰고 다니는 그것이다.]를 썼고, 여학생의 교복은 한국의 독자적인 모양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
17 | |
18 | 전두환 군부집권 시기 중반에 잠시 학생들의 복장규정을 해제(정확히는 금지)시켰다가 문민정부 이후 교복이 부활했다. 교복은 블레이저 스타일이 되었다. 제대로 영미식 교복이 도입이 되었다면 좋았겠지만, 심하게 한국화되어 도입되었다. 밀레니엄 이후까지도 이 촌스러운 교복은 계속 유지되었다. 2000년대 후반이 되서는 좀더 한국화된, 학교드라마에서 나오던 그 교복이 점차 나타나기 시작한다. |
19 | 출범 이후 교복 제도가 부활했다. |
22 | |
23 | === 규제 === |
24 | 학생은 관리의 대상이 아니다. 이건 군국주의의 온상인 일본에서조차 70년대부터 나온 사상이다. 관리교육에 대한 반대파는 일본에서도 빨갱이라고 매도되지만 그래도 그들은 싸워서 자유를 쟁취했다. 적어도 국민적으로는 변태적인 복장 규제가 잘못된 것임을 지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오히려 교복이 청소년들의 낭만이 된 현재 일본은 복장의 규제가 없어도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단속은 그래도 이루워진다. 허나 체벌을 동반하진 않는다.] 교복문화가 지속되고 있다. |
25 | |
27 | 일본에서는 교복이 전국민적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 교복을 입고 동경의 디즈니랜드에 가는 것을 고등학생의 미션으로 생각하목표로 두는 여학생들도 있고, 가쿠란, 세일러 교복 자체에 지대한 애정을 쏟고 있는 일본인들이 많다. 이에 대해 변태적 성애를 느끼는 경우도 많은 게 사회적 문제가 될 정도로 교복이라는 것은 일본의 아이콘이 되어있이다. 교복의 원조 국가인 영국은 사립학교의 블레이저와 넥타이넥타이와 테일러드 재킷이 있는 교복으로 유명하다. 세계 각국의 여러 가톨릭 학교는 학생들에게 블레이저테일러드 재킷이 있는 교복을 입히고 있다. |
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