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タイムマシンにおねがい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2><table align=center> {{{+1 タイムマシンにおねがい}}} || || 한국어명 || 타임머신에 부탁해 || || 수록작 || 퀴즈몽땅 the 월드2-타임머신에 부탁해 || || 수록앨범 || 카와무라 유미 싱글 '타임머신에 부탁해', 카와무라 유미 베스트앨범 '유미타마' || || 발매일 || 2001년 4월 5일 || || 작사 || 마츠야마 타케시(松山猛) || || 작곡 || 카토 카즈히코(加藤和彦) || || 부른이 || [[카와무라 유미]] || [[아틀러스]]가 1992년 PC엔진으로 내놓은 퀴즈몽땅 THE 월드2-타임머신에 부탁해의 타이틀테마곡으로 사용되었다. 유명 JPOP곡을 커버한 곡으로, 노래는 카와무라 유미가 노래를 담당했다. 원곡은 일본의 락밴드 새디스틱 미카 밴드(Sadistic Mika Band)가 1974년에 발표한 곡으로, 펑키한 분위기가 일품이라 유명하다. 원래 곡명은 タイムマシンにお願い로 표기하지만 게임용 보컬명은 タイムマシンにおねがい로 표기되어있는 점이 특징. 노래 내에서 시대를 뛰어넘는건 크게 세 부분으로, 처음에는 쥐라기(라고 되어있으나 티라노사우르스가 나오는걸 봐선 백악기)시대에 공룡을 만나보는 이야기. 두번째는 황금기로 지칭하는 것은 아마도 2차세계대전 후 미국의 부흥기를 말하는 것으로 보이는며, 헐리웃을 동경하는 이미지. 세번째는 1880년 즈음의 메이지 시대에 개화초기 로쿠메이칸에서 매일밤 열린 사교댄스에 참가하는 귀족의 이미지. 가사에 나오는 시대를 생각해보면 공룡시대를 제외하면 일본인에게 있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볼만한 시대상은 아니라는 점이 미묘. 노래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솔직히 마지막에 타임머신에 부탁해!를 무려 10번이나 반복하는 부분은 듣고 있으면 짜증난다. 아래는 곡중에 나오는 시대적인 요소 때문에 이해하기 힘든 내용에대한 설명. * 보기(ボキー): 험프리 보가트의 애칭. * 소프트(ソフト): 일본식 표기로 ‘ソフト帽’를 말하며, 험프리 보가트의 트레이드 마크인 중절모를 지칭. * 뒤센버그(Duesenberg): 지금은 없어진 독일의 차량 메이커 브랜드. * 로쿠메이칸(鹿鳴館): 일본의 개화기인 메이지 1883년 토쿄에 만들어진 사교관을 말한다. * 콘파도르(Pompadour): 루이15세의 부인 콘파도르 부인의 이름에서 유래한 앞머리를 올려세운 형태를 말한다. == 영상 == [nicovideo(sm11445336)] == 외부 == * [[http://lyrics.jetmute.com/viewlyrics.php?id=364346|가사]]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805184209/https://wiki.nex32.net/%EC%9D%8C%EC%95%85/%ED%83%80%EC%9E%84%EB%A8%B8%EC%8B%A0%EC%97%90%EB%B6%80%ED%83%81%ED%95%B4_%E3%82%BF%E3%82%A4%E3%83%A0%E3%83%9E%E3%82%B7%E3%83%B3%E3%81%AB%E3%81%8A%E3%81%AD%E3%81%8C%E3%81%84|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2><table align=center> {{{+1 タイムマシンにおねがい}}} || || 한국어명 || 타임머신에 부탁해 || || 수록작 || 퀴즈몽땅 the 월드2-타임머신에 부탁해 || || 수록앨범 || 카와무라 유미 싱글 '타임머신에 부탁해', 카와무라 유미 베스트앨범 '유미타마' || || 발매일 || 2001년 4월 5일 || || 작사 || 마츠야마 타케시(松山猛) || || 작곡 || 카토 카즈히코(加藤和彦) || || 부른이 || [[카와무라 유미]] || [[아틀러스]]가 1992년 PC엔진으로 내놓은 퀴즈몽땅 THE 월드2-타임머신에 부탁해의 타이틀테마곡으로 사용되었다. 유명 JPOP곡을 커버한 곡으로, 노래는 카와무라 유미가 노래를 담당했다. 원곡은 일본의 락밴드 새디스틱 미카 밴드(Sadistic Mika Band)가 1974년에 발표한 곡으로, 펑키한 분위기가 일품이라 유명하다. 원래 곡명은 タイムマシンにお願い로 표기하지만 게임용 보컬명은 タイムマシンにおねがい로 표기되어있는 점이 특징. 노래 내에서 시대를 뛰어넘는건 크게 세 부분으로, 처음에는 쥐라기(라고 되어있으나 티라노사우르스가 나오는걸 봐선 백악기)시대에 공룡을 만나보는 이야기. 두번째는 황금기로 지칭하는 것은 아마도 2차세계대전 후 미국의 부흥기를 말하는 것으로 보이는며, 헐리웃을 동경하는 이미지. 세번째는 1880년 즈음의 메이지 시대에 개화초기 로쿠메이칸에서 매일밤 열린 사교댄스에 참가하는 귀족의 이미지. 가사에 나오는 시대를 생각해보면 공룡시대를 제외하면 일본인에게 있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볼만한 시대상은 아니라는 점이 미묘. 노래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솔직히 마지막에 타임머신에 부탁해!를 무려 10번이나 반복하는 부분은 듣고 있으면 짜증난다. 아래는 곡중에 나오는 시대적인 요소 때문에 이해하기 힘든 내용에대한 설명. * 보기(ボキー): 험프리 보가트의 애칭. * 소프트(ソフト): 일본식 표기로 ‘ソフト帽’를 말하며, 험프리 보가트의 트레이드 마크인 중절모를 지칭. * 뒤센버그(Duesenberg): 지금은 없어진 독일의 차량 메이커 브랜드. * 로쿠메이칸(鹿鳴館): 일본의 개화기인 메이지 1883년 토쿄에 만들어진 사교관을 말한다. * 콘파도르(Pompadour): 루이15세의 부인 콘파도르 부인의 이름에서 유래한 앞머리를 올려세운 형태를 말한다. == 영상 == [nicovideo(sm11445336)] == 외부 == * [[http://lyrics.jetmute.com/viewlyrics.php?id=364346|가사]]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805184209/https://wiki.nex32.net/%EC%9D%8C%EC%95%85/%ED%83%80%EC%9E%84%EB%A8%B8%EC%8B%A0%EC%97%90%EB%B6%80%ED%83%81%ED%95%B4_%E3%82%BF%E3%82%A4%E3%83%A0%E3%83%9E%E3%82%B7%E3%83%B3%E3%81%AB%E3%81%8A%E3%81%AD%E3%81%8C%E3%81%84|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