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恋は渾沌の隷也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2><table align=center> {{{+1 恋は渾沌の隷也}}} || || 한국어명 || 사랑은 혼돈의 노예 || || 수록작 || 기어와라 냐루코양W, 팝픈 뮤직-Sunny park || || 수록앨범 || 냐루코양W 오프닝싱글 '사랑은 혼돈의 노예' 초회한정 DVD포함판, 냐루코양W 오프닝싱글 '사랑은 혼돈의 노예' 일반판 || || 발매일 || 2013년 4월 24일 || || 작사 || 하타 아키(畑亜貴) || || 작곡 ||<|2> 타나카 히데카즈(田中秀和) || || 편곡 || || 부른이 || 아스미 카나(阿澄佳奈 as 냐루코), 마쯔키 미유(松来未祐 as 쿠우코), 오오쯔보 유카(大坪由佳 as 쿠레이 타마오) || 1쿨의 인기에 힘입어 다시금 애니화된 냐루코 2기, 기어와라 냐루코양W의 오프닝곡. 변함없이 이번 곡도 하타 아키 선생이 노래를 담당해주셨으며, 그 결과 또하나의 걸출한 전파송이 탄생했다. 제목부터 그냥 한자식으로 읽지 않고 恋は渾沌(カオス)の隷(しもべ)也 (코이와 카오스노 시모베나리)라고 읽는다. 하타아키 선생의 센스가 센스인만큼 언어적인 번역따위로는 그 괴스러움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직접 노래를 들으며 감각을 접해보자. (본편이 패러디가 만연한 작품인것처럼, 이 노래도 일본 문화자체에대한 이해가 낮으면 별로 감흥이 없을 수 있다) 부른이는 1기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등뒤에서 기어오는 부대G(後ろから這いより隊G)‘라는 성우 세명이 이룬 괴유닛. 이번 컨셉은 \(・ω・\) SAN치! (/・ω・)/핀치! 가 되겠다. 저 기세로 외치며 노래를 불러주자. SAN치라는 것은 크툴루 문학을 베이스로한 보드게임에서 나온 [[Sanity]]에서 따온 것. 국내 방영판인 애니플러스에서는 ‘멘붕 위기’라고 번역을 했는데, 매우 적절한 번역이라 하지 않을 수가 없다. 1기 오프닝인 [[太陽曰く燃えよカオス|太陽曰く燃えよカオス(태양 가라사대 불타라 카오스)]]에 비해서 초기에는 평이 안좋았었지만, 시간이 가면서 특유의 중독성에 빠져든 사람이 많았던 곡이다. 1기에 비해서 영상적으로는 패러디 요소가 대폭 늘어나서, 오프닝 영상의 캐릭터 포즈를 비롯한 각종 요소들이 패러디로 가득하다. 이것을 찾아보는 것도 나름 재미가 되겠다. 다시 말하지만, 이 작품은 원래부터 크툴루 신화를 차용하긴 했으나 명칭 정도만 차용한 것 뿐이니 혹시 진지하게 생각하며 보지 말도록 하자. 노래의 임팩트 때문인지 코나미의 팝픈 뮤직-Sunny park 편에 업데이트로 추가가 되었다. == 영상 == [youtube(aEHxqBHCkFc)] == 외부 == * [[https://www.lyrics.co.kr/?p=348974|가사]]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1201215909/https://wiki.nex32.net/%EC%9D%8C%EC%95%85/%EC%82%AC%EB%9E%91%EC%9D%80%ED%98%BC%EB%8F%88%EC%9D%98%EB%85%B8%EC%98%88_%E6%81%8B%E3%81%AF%E6%B8%BE%E6%B2%8C%E3%81%AE%E9%9A%B7%E4%B9%9F|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2><table align=center> {{{+1 恋は渾沌の隷也}}} || || 한국어명 || 사랑은 혼돈의 노예 || || 수록작 || 기어와라 냐루코양W, 팝픈 뮤직-Sunny park || || 수록앨범 || 냐루코양W 오프닝싱글 '사랑은 혼돈의 노예' 초회한정 DVD포함판, 냐루코양W 오프닝싱글 '사랑은 혼돈의 노예' 일반판 || || 발매일 || 2013년 4월 24일 || || 작사 || 하타 아키(畑亜貴) || || 작곡 ||<|2> 타나카 히데카즈(田中秀和) || || 편곡 || || 부른이 || 아스미 카나(阿澄佳奈 as 냐루코), 마쯔키 미유(松来未祐 as 쿠우코), 오오쯔보 유카(大坪由佳 as 쿠레이 타마오) || 1쿨의 인기에 힘입어 다시금 애니화된 냐루코 2기, 기어와라 냐루코양W의 오프닝곡. 변함없이 이번 곡도 하타 아키 선생이 노래를 담당해주셨으며, 그 결과 또하나의 걸출한 전파송이 탄생했다. 제목부터 그냥 한자식으로 읽지 않고 恋は渾沌(カオス)の隷(しもべ)也 (코이와 카오스노 시모베나리)라고 읽는다. 하타아키 선생의 센스가 센스인만큼 언어적인 번역따위로는 그 괴스러움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직접 노래를 들으며 감각을 접해보자. (본편이 패러디가 만연한 작품인것처럼, 이 노래도 일본 문화자체에대한 이해가 낮으면 별로 감흥이 없을 수 있다) 부른이는 1기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등뒤에서 기어오는 부대G(後ろから這いより隊G)‘라는 성우 세명이 이룬 괴유닛. 이번 컨셉은 \(・ω・\) SAN치! (/・ω・)/핀치! 가 되겠다. 저 기세로 외치며 노래를 불러주자. SAN치라는 것은 크툴루 문학을 베이스로한 보드게임에서 나온 [[Sanity]]에서 따온 것. 국내 방영판인 애니플러스에서는 ‘멘붕 위기’라고 번역을 했는데, 매우 적절한 번역이라 하지 않을 수가 없다. 1기 오프닝인 [[太陽曰く燃えよカオス|太陽曰く燃えよカオス(태양 가라사대 불타라 카오스)]]에 비해서 초기에는 평이 안좋았었지만, 시간이 가면서 특유의 중독성에 빠져든 사람이 많았던 곡이다. 1기에 비해서 영상적으로는 패러디 요소가 대폭 늘어나서, 오프닝 영상의 캐릭터 포즈를 비롯한 각종 요소들이 패러디로 가득하다. 이것을 찾아보는 것도 나름 재미가 되겠다. 다시 말하지만, 이 작품은 원래부터 크툴루 신화를 차용하긴 했으나 명칭 정도만 차용한 것 뿐이니 혹시 진지하게 생각하며 보지 말도록 하자. 노래의 임팩트 때문인지 코나미의 팝픈 뮤직-Sunny park 편에 업데이트로 추가가 되었다. == 영상 == [youtube(aEHxqBHCkFc)] == 외부 == * [[https://www.lyrics.co.kr/?p=348974|가사]]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1201215909/https://wiki.nex32.net/%EC%9D%8C%EC%95%85/%EC%82%AC%EB%9E%91%EC%9D%80%ED%98%BC%EB%8F%88%EC%9D%98%EB%85%B8%EC%98%88_%E6%81%8B%E3%81%AF%E6%B8%BE%E6%B2%8C%E3%81%AE%E9%9A%B7%E4%B9%9F|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