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透明な感覚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724114215/https://wiki.nex32.net/%EC%9D%8C%EC%95%85/%ED%88%AC%EB%AA%85%ED%95%9C%EA%B0%90%EA%B0%81_%E9%80%8F%E6%98%8E%E3%81%AA%E6%84%9F%E8%A6%9A|링크]])] ||<-2><table align=center> {{{+1 透明な感覚}}} || || 한국어명 || 투명한 감각 || || 수록작 || 백힐초화(白詰草話) || || 수록앨범 || 백힐초화 OST 'colors', 리틀 윗치 보컬 콜렉션 vol.1 || || 발매일 || 2002년 7월 5일 || || 작사 || 오오야리 아시토(大槍葦人) || || 작곡 || 카와베 타케히로(河辺健宏) || || 부른이 || 나카지마 에리나(中島えりな) || 백힐초화(白詰草話)의 이미지송으로, 작중 주인공이 만든 엑스트라소녀 중 하나인 엠마(エマ)의 이미지송에 해당한다. PC판 기준으로 만들어진 이미지송이라서 성우가 부른 캐릭터송은 아니고(PC판은 음성자체가 없다) 이미지에 맞춰 감독인 오오야리 아시토가 가사를 쓰고 미즈이로 등으로 유명한 카와베 타케히로가 작곡을 담당했다. 노래는 백가이너 등으로 알려져있는 나카지마 에리나가 불렀다. 이미지송이다보니 게임에는 삽입되지 않았고, OST인 colors와 보컬콜렉션에 수록되어있다. == 영상 == [youtube(tD_KWfJImY8)] == 가사 == >透きとおらせる この感覚よ >투명해지는 이 감각이여 > >ゆびさきをこえてひろがってゆけ >손끝을 넘어 퍼져나가주오 > >よどんだ水に しずんで眠る >고인 물에 가라앉아 잠든 > >深く透明な 宝石に とどけて >깊고 투명한 보석에게 전해주오 >---- >夏草 風わたって >여름풀이 바람을 건너 > >少年の影 追い越してく >소년의 그림자를 앞서가네 > >四葉のシロツメクサ さがしたっけ >네잎 클로버를 찾고 있었던걸까 >---- >求めてた 幸運より >바라던 행운보다 > >むせるような ざわめきの 匂いもうない >숨막힐듯 술렁이는 향기 더는 없네 >---- >透きとおらせる この感覚は >투명해지는 이 감각은 > >思いの渦を通り抜けてく >마음의 소용돌이를 빠져나가리 > >心の場所がどこにあるかを >마음이 있을곳이 어디인지를 > >こんなにいたむ胸が教えて >이렇게나 아픈 가슴이 알려주네 >---- >いつになく早い電車 >전에 없이 빠른 전차 > >見上げた その朝焼けは >올려다본 아침노을은 > >薄紫(うすむら)染めた空で 目を熱くする >라일락 빛으로 물든 하늘에 눈이 뜨거워지네 >---- >求めてた何かより >바라던 무엇보다 > >忘れてたこの気持ち ぬぐいたくない >잊고 있었던 이 마음 닦고싶지 않아 >---- >透きとおらせる この感覚よ >투명해지는 이 감각이여 > >ゆびさきをこえてひろがってゆけ >손끝을 넘어 퍼져나가주오 > >よどんだ水にしずんで眠る >고인물에 가라앉아 잠든 > >深く透明な 宝石を みつけて >깊고 투명한 보석을 찾아주오 >---- >大人の理屈で諦めたって >어른의 사정으로 그만뒀단건 > >これは本当の答えじゃないって >진정한 대답이 아니란걸 > >自分自身でわかってる >자기자신이 알고있잖아 > >心臓が「違う」って叫んでる >심장이 "아니야"라고 외치고있어 >---- >透きとおらせた この感覚は >투명해지는 이 감각은 > >恋をした時の 心臓のように >사랑을 할때의 심장처럼 > >すべてをこえて 教えてくれる >모든걸 뛰어넘어 대답해주리라 > >僕の答えは ここにあるから >나의 대답은 여기에 있기에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724114215/https://wiki.nex32.net/%EC%9D%8C%EC%95%85/%ED%88%AC%EB%AA%85%ED%95%9C%EA%B0%90%EA%B0%81_%E9%80%8F%E6%98%8E%E3%81%AA%E6%84%9F%E8%A6%9A|링크]])] ||<-2><table align=center> {{{+1 透明な感覚}}} || || 한국어명 || 투명한 감각 || || 수록작 || 백힐초화(白詰草話) || || 수록앨범 || 백힐초화 OST 'colors', 리틀 윗치 보컬 콜렉션 vol.1 || || 발매일 || 2002년 7월 5일 || || 작사 || 오오야리 아시토(大槍葦人) || || 작곡 || 카와베 타케히로(河辺健宏) || || 부른이 || 나카지마 에리나(中島えりな) || 백힐초화(白詰草話)의 이미지송으로, 작중 주인공이 만든 엑스트라소녀 중 하나인 엠마(エマ)의 이미지송에 해당한다. PC판 기준으로 만들어진 이미지송이라서 성우가 부른 캐릭터송은 아니고(PC판은 음성자체가 없다) 이미지에 맞춰 감독인 오오야리 아시토가 가사를 쓰고 미즈이로 등으로 유명한 카와베 타케히로가 작곡을 담당했다. 노래는 백가이너 등으로 알려져있는 나카지마 에리나가 불렀다. 이미지송이다보니 게임에는 삽입되지 않았고, OST인 colors와 보컬콜렉션에 수록되어있다. == 영상 == [youtube(tD_KWfJImY8)] == 가사 == >透きとおらせる この感覚よ >투명해지는 이 감각이여 > >ゆびさきをこえてひろがってゆけ >손끝을 넘어 퍼져나가주오 > >よどんだ水に しずんで眠る >고인 물에 가라앉아 잠든 > >深く透明な 宝石に とどけて >깊고 투명한 보석에게 전해주오 >---- >夏草 風わたって >여름풀이 바람을 건너 > >少年の影 追い越してく >소년의 그림자를 앞서가네 > >四葉のシロツメクサ さがしたっけ >네잎 클로버를 찾고 있었던걸까 >---- >求めてた 幸運より >바라던 행운보다 > >むせるような ざわめきの 匂いもうない >숨막힐듯 술렁이는 향기 더는 없네 >---- >透きとおらせる この感覚は >투명해지는 이 감각은 > >思いの渦を通り抜けてく >마음의 소용돌이를 빠져나가리 > >心の場所がどこにあるかを >마음이 있을곳이 어디인지를 > >こんなにいたむ胸が教えて >이렇게나 아픈 가슴이 알려주네 >---- >いつになく早い電車 >전에 없이 빠른 전차 > >見上げた その朝焼けは >올려다본 아침노을은 > >薄紫(うすむら)染めた空で 目を熱くする >라일락 빛으로 물든 하늘에 눈이 뜨거워지네 >---- >求めてた何かより >바라던 무엇보다 > >忘れてたこの気持ち ぬぐいたくない >잊고 있었던 이 마음 닦고싶지 않아 >---- >透きとおらせる この感覚よ >투명해지는 이 감각이여 > >ゆびさきをこえてひろがってゆけ >손끝을 넘어 퍼져나가주오 > >よどんだ水にしずんで眠る >고인물에 가라앉아 잠든 > >深く透明な 宝石を みつけて >깊고 투명한 보석을 찾아주오 >---- >大人の理屈で諦めたって >어른의 사정으로 그만뒀단건 > >これは本当の答えじゃないって >진정한 대답이 아니란걸 > >自分自身でわかってる >자기자신이 알고있잖아 > >心臓が「違う」って叫んでる >심장이 "아니야"라고 외치고있어 >---- >透きとおらせた この感覚は >투명해지는 이 감각은 > >恋をした時の 心臓のように >사랑을 할때의 심장처럼 > >すべてをこえて 教えてくれる >모든걸 뛰어넘어 대답해주리라 > >僕の答えは ここにあるから >나의 대답은 여기에 있기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