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56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구글 애드센스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 [[외부:https://i.imgur.com/Be9RkXX_d.webp?maxwidth=640&shape=thumb&fidelity=medium|width=300]]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는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인터넷]] [[광고]] 게재 서비스이다. == 상세 == 구글에서 구글 애드워즈(Google Adwords)라는 광고 서비스를 통해 모집한 광고주들의 광고를 세계 곳곳의 웹사이트에 실어주는 기반. [[블로그]] 같은 개인 홈페이지는 물론 회사에서 운영하는 영리 서비스에도 광고를 달 수 있다. 단 성인물, 혐오 발언 같은 것을 다루는 사이트에는 광고 게시 금지. [[유튜브]] 계정과도 연계가 가능한데, 동영상 기반 광고라서 수익률이 일반 웹사이트에 비해 높다. 애드센스 덕분에 현재 인터넷 상에는 다양한 소규모 사이트들이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대형 사이트들도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나무위키]], [[리브레위키]], [[디시인사이드]] 등 여러 사이트들이 애드센스를 유지비 조달을 위해 이용하고 있다. 물론 애드핏이나 데이블처럼 국내 기업에서 운영하는 광고 서비스도 있으나, 수익만큼은 구글 애드센스가 가장 높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애드블록 같은 광고 차단 플러그인이 보급되면 보급될수록 소규모 사이트들이 설 자리는 사라지기 때문에 웹의 미래가 그다지 밝지는 않다. 애드센스는 광고 서비스 중에선 차지하는 면적이나 사용자를 귀찮게 하는 수준으로 따지면 매우 온건한 편에 속하는데도 광고 차단 플러그인의 주된 타겟이다. == 광고 종류 == 컨텐츠용 광고, 검색용 광고, 동영상용 광고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검색용 광고 단위를 사이트에 달면 구글 검색 기능을 자신 사이트의 검색 기능처럼 활용하면서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검색용 광고는 단가도 별로고 클릭률도 그다지… 가장 많이 쓰이는 컨텐츠용 광고 단위는 또 디스플레이 광고, 텍스트 광고로 나뉘고 최근에는 일치하는 컨텐츠 광고 같은 것도 새로 생겼다. 모바일 환경에 한해서는 전면 광고도 가능하다고 한다. == 수익 분배 == 비슷한 종류의 광고 게재 서비스 중에서는 수익률이 가장 좋다는 것이 중론이다.[* 수익을 달러로 지급하는 것도 한목한다.] 디스플레이 광고에서는 66%, 텍스트 광고에서는 51%를 사이트 주인에게 분배해준다. 수익은 매달 초[* 보통 매달 4일 정도. 휴무일이면 가장 가까운 영업일에 정산된다.]에 정산되어 계정에 적립되며, 계정에 누적된 총 수익이 100달러 이상이면 매달 22일에 수익을 은행 계좌로 송금받을 수 있다. SC제일은행은 300달러 미만의 외환 수신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물지 않으니 받을 금액이 300달러 미만이면 SC제일은행이 제일 좋다. 지점망이 허술해서 SC제일은행이 없는 동네가 많을 테니, 이럴 경우에는 무조건 5000원의 정액 수수료만 물리는 우체국을 이용하면 된다.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80312112307/http://red.wi.kiwi/%EA%B5%AC%EA%B8%80_%EC%95%A0%EB%93%9C%EC%84%BC%EC%8A%A4|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 [[외부:https://i.imgur.com/Be9RkXX_d.webp?maxwidth=640&shape=thumb&fidelity=medium|width=300]]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는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인터넷]] [[광고]] 게재 서비스이다. == 상세 == 구글에서 구글 애드워즈(Google Adwords)라는 광고 서비스를 통해 모집한 광고주들의 광고를 세계 곳곳의 웹사이트에 실어주는 기반. [[블로그]] 같은 개인 홈페이지는 물론 회사에서 운영하는 영리 서비스에도 광고를 달 수 있다. 단 성인물, 혐오 발언 같은 것을 다루는 사이트에는 광고 게시 금지. [[유튜브]] 계정과도 연계가 가능한데, 동영상 기반 광고라서 수익률이 일반 웹사이트에 비해 높다. 애드센스 덕분에 현재 인터넷 상에는 다양한 소규모 사이트들이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대형 사이트들도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나무위키]], [[리브레위키]], [[디시인사이드]] 등 여러 사이트들이 애드센스를 유지비 조달을 위해 이용하고 있다. 물론 애드핏이나 데이블처럼 국내 기업에서 운영하는 광고 서비스도 있으나, 수익만큼은 구글 애드센스가 가장 높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애드블록 같은 광고 차단 플러그인이 보급되면 보급될수록 소규모 사이트들이 설 자리는 사라지기 때문에 웹의 미래가 그다지 밝지는 않다. 애드센스는 광고 서비스 중에선 차지하는 면적이나 사용자를 귀찮게 하는 수준으로 따지면 매우 온건한 편에 속하는데도 광고 차단 플러그인의 주된 타겟이다. == 광고 종류 == 컨텐츠용 광고, 검색용 광고, 동영상용 광고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검색용 광고 단위를 사이트에 달면 구글 검색 기능을 자신 사이트의 검색 기능처럼 활용하면서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검색용 광고는 단가도 별로고 클릭률도 그다지… 가장 많이 쓰이는 컨텐츠용 광고 단위는 또 디스플레이 광고, 텍스트 광고로 나뉘고 최근에는 일치하는 컨텐츠 광고 같은 것도 새로 생겼다. 모바일 환경에 한해서는 전면 광고도 가능하다고 한다. == 수익 분배 == 비슷한 종류의 광고 게재 서비스 중에서는 수익률이 가장 좋다는 것이 중론이다.[* 수익을 달러로 지급하는 것도 한목한다.] 디스플레이 광고에서는 66%, 텍스트 광고에서는 51%를 사이트 주인에게 분배해준다. 수익은 매달 초[* 보통 매달 4일 정도. 휴무일이면 가장 가까운 영업일에 정산된다.]에 정산되어 계정에 적립되며, 계정에 누적된 총 수익이 100달러 이상이면 매달 22일에 수익을 은행 계좌로 송금받을 수 있다. SC제일은행은 300달러 미만의 외환 수신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물지 않으니 받을 금액이 300달러 미만이면 SC제일은행이 제일 좋다. 지점망이 허술해서 SC제일은행이 없는 동네가 많을 테니, 이럴 경우에는 무조건 5000원의 정액 수수료만 물리는 우체국을 이용하면 된다.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80312112307/http://red.wi.kiwi/%EA%B5%AC%EA%B8%80_%EC%95%A0%EB%93%9C%EC%84%BC%EC%8A%A4|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