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26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김명운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애니존위키]] ||<-2><table align=right><bg color=#255CC8> {{{#fff 김명운[br]Myung Woon Kim}}} || || 출생 ||1990년 4월 13일 (2월 18일)[* 프로필상 생일은 1990년 4월 13일로 되어있지만, 실제 생일은 2월 18일이다.] 해남 || || 혈액형 ||A형 || || 취미 ||독서 || [[한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2007년 한빛 스타즈(웅진스타즈)에 입단하여 zero라는 아이디를 사용했다. 플레이 종족은 저그이다. == 특징 == 별명에서 알 수 있듯이 퀸을 활용한 플레이를 자주하며 그 활용이 능숙하다.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최초로 진출한 박카스 스타리그2009에서 36강상대인 MBC게임의 장민철, STX의 김구현을 모두 2:0으로 꺾었다. 이 때 김구현과의 1경기에서 중앙에 중립 커맨드 센터가 있는 '홀리월드'의 특징을 살려 퀸으로 센터를 감염시킨후 인페스티트 테란을 생산, 오버로드를 통해 병력위에 드랍하는등 맵과 퀸을 적극 활용하여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었다. 박카스 스타리그2009 16강에서도 16강 상대인 진영수의 커맨트센터를 감염시키거나, 김택용의 하이템플러를 몰래 모아둔 퀸으로 브루들링을 걸어 무력화시키는등, 퀸을 활용하며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한다. 하지만 타종족전에비해 저그전이 약한게 약점이 되어, 8강상대인 이제동에게 2:0으로 패하게 된다. 이후로도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36강 전승,16강 통과를 계속했지만 매번 8강에서 2:0으로 패하며 4강셔틀, 8강필패 등으로 불리게 되었다. 과거 16강까지 스타리그 승률1위, 36강 무패등의 기록을 세웠었지만 박카스 스타리그2010 36강에서 탈락하면서 깨어졌다. == 경력 == 2006년 * 9월 제24회 커리지매치 우승 2007년 * 상반기 1차 지명 * 7월 16일 데뷔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상대팀 KTF * 12월 곰TV 시즌4 서바이버 토너먼트 본선 2008년 * 1월 곰TV MSL시즌4 32강 * 9월 클럽데이 MSL 32강 2009년 * 3월 로스트사가 MSL 4강 * 아발론 온라인 MSL 2009 8강 * 7월 박카스 스타리그 8강 * 8월 블리즈컨 2009 토너먼트 준우승 * 12월 EVER 스타리그 8강 * 12월 네이트 MSL 16강 2010년 * 4월 하나대투 MSL 32강 * 5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S1 8강 * 8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S2 8강 * 2월 피디팝 MSL 4강 2011년 * 6월 ABC마트 MSL 준우승 == 별명 == * 퀸의 아들 퀸을 활용한 플레이에 능숙하며, 또한 자주 활용하여 붙여진 별명. * 퀸명운 퀸의 아들과 같은이유. * 쥬인배 쥬니어 대인배의 준말. 같은팀의 선배 김준영(별명:대인배)의 후배라는것에서 유래됨. * 어린왕자 귀여운 외모 때문에 붙여짐. * 코못 같은 팀 동료인 윤용태가 김명운의 작은 키를 비웃으며 '코트 못 입는다'고 해서 생긴 별명. * 최종저막 대 저그전에서 8연패를 하는 등 대 저그전에 약한 모습 때문에 붙여진 별명. * 에막 에이스결정전(최종전) 막장의 줄임말.에이스결정전만가면 경기실력이 평소의 반이되고 하지않던실수를하거나 멍때리다 역전당하는등,에이스결정전에 유독 약한모습을 보여줘 붙여진별명. == 에피소드 == === 프로토스전 12연승 === * 2009년 5월 08일 - 김명운 승 vs 장민철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1차전 1경기) * 2009년 5월 08일 - 김명운 승 vs 장민철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1차전 2경기) * 2009년 5월 08일 - 김명운 승 vs 김구현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2차전 1경기) * 2009년 5월 08일 - 김명운 승 vs 김구현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2차전 2경기) * 2009년 7월 05일 - 김명운 승 vs 박세정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웅진 vs 위메이드 3세트) * 2009년 7월 08일 - 김명운 승 vs 김택용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 C조 5경기) * 2009년 7월 09일 - 김명운 승 vs 박세정 패 (아발론 MSL 2009 16강 H조 1경기) * 2009년 7월 14일 - 김명운 승 vs 박세정 패 (아발론 MSL 2009 16강 H조 2경기) * 2009년 10월 13일 - 김명운 승 vs 김대엽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KT vs 웅진 2세트) * 2009년 11월 08일 - 김명운 승 vs 박세정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위메이드 3세트) * 2009년 11월 11일 - 김명운 승 vs 신재욱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eStro 3세트) * 2009년 11월 29일 - 김명운 승 vs 박정석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공군 2세트) * 2009년 12월 07일 - 김명운 승 vs 이영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위메이드 1세트) === 8강 필패 ===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16강까지는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8강만 되면 2:0으로 광탈해서 '김명운은 8강필패다'라는 말이 생겨났다. 온게임넷 스타리그가 아닌 MSL에 출전했을때도 '어차피 8강 필패라서 올라가봐야 8강일 것이다'라는 말을 들을정도.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1에서도 8강에서 같은 팀 소속인 윤용태를 만나 2:0으로 졌었다. 평소 숙소에서는 김명운이 많이 이기는 편이라고 알려져, 8강 필패는 뭘해도 8강 필패라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피디팝MSL에서는 8강 필패의 악운을 이겨내고 송병구를 3:0으로 꺾으며 통산 2번째 4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저그전이 제일 약했던 김명운은 4강 4저그에서 결국 저그전을 극복하지 못하고 3:1로 차명환에게 패하며 결승엔 오르지 못했다. 그러나 마침내 ABC마트 MSL에서 평소 약점으로 지적되온 저저전을 극복하고 8강에서 김윤환, 4강에서 이제동을 잡으며 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 === 저저전 무승부 === 2010년 11월 26일 박카스 스타리그2010 36강 K조 2차전에서 예선을 뚫고 올라온 김상욱 맞붙게된다.서로 저그전이 약했기 때문에 1:1로 팽팽한 가운데 3세트 아즈텍에서 경기가 치뤄졌다. 김명운은 12드론 스포닝 풀 빌드를 선택하였고, 김상욱은 빠른 앞마당 해처리로 빌드에서 앞서갔다. 김상욱은 곧바로 라바수의 우위를 활용하여 저글링 러시를 시도했으나, 김명운이 방어해내며 오히려 공중전을 압도하고 그대로 경기가 마무리되는듯 보였다. 그러나 김상욱이 김명운의 뮤탈리스크를 자신의 뮤탈리스크로 맵 구석까지 유인, 그동안 챔버와 스포어를 본진에 건설하며 본진방어에 성공했다. 유리했던상황에서 순식간에 불리해지자, 김명운은 김상욱의 드론을 집중공격하며 챔버와 스포어를 파괴하였다. 김상욱이 미네랄 50과 크립콜로니 하나,드론 한 기만 남아있던 상황이 계속 지속되다 김명운이 끝내 마지막 드론 한 마리를 잡아내고, 더 이상은 둘다 어찌할 방법이 없어진 상황에서 KeSPA 오형진 주심은 경기를 일시중단시키고 선수들의 의사를 물어 재경기를 실시했다. 공식경기에서 무승부라는 것 자체가 거의 없었던터라 이 경기는 경기외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은 저그 대 저그전 최초의 무승부로 기록되었다. === 김윤환과 친해진 계기 === 아발론MSL 8강에서 한상봉에게 떨어지고난후 결승매치가 김윤환vs한상봉이 되자, 한상봉에게 진게 억울했던 것인지 김윤환에게 한상봉의 약점이나 플레이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연습을 도와준게 시초라고한다. 이후로도 서로팀은 다르지만 저그에대해 종종 이야기하는등 친하게 지내는 듯하다. 그 직후 한상봉이 CJ엔투스(현 하이트엔투스)에서 웅진 스타즈로 이적하게되는데, 이적왔을 당시 대하기 꺼려졌었다고 한다. == 외부 == * [[http://cafe.daum.net/mensolzero|팬카페]] [Include(틀:가져옴,O=애니존위키, C=[[http://www.gnu.org/licenses/old-licenses/fdl-1.2.txt|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Version 1.2]], L=[[http://web.archive.org/web/20110912033342/http://wiki.anizone.net:80/index.php?title=%EA%B9%80%EB%AA%85%EC%9A%B4|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애니존위키]] ||<-2><table align=right><bg color=#255CC8> {{{#fff 김명운[br]Myung Woon Kim}}} || || 출생 ||1990년 4월 13일 (2월 18일)[* 프로필상 생일은 1990년 4월 13일로 되어있지만, 실제 생일은 2월 18일이다.] 해남 || || 혈액형 ||A형 || || 취미 ||독서 || [[한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2007년 한빛 스타즈(웅진스타즈)에 입단하여 zero라는 아이디를 사용했다. 플레이 종족은 저그이다. == 특징 == 별명에서 알 수 있듯이 퀸을 활용한 플레이를 자주하며 그 활용이 능숙하다.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최초로 진출한 박카스 스타리그2009에서 36강상대인 MBC게임의 장민철, STX의 김구현을 모두 2:0으로 꺾었다. 이 때 김구현과의 1경기에서 중앙에 중립 커맨드 센터가 있는 '홀리월드'의 특징을 살려 퀸으로 센터를 감염시킨후 인페스티트 테란을 생산, 오버로드를 통해 병력위에 드랍하는등 맵과 퀸을 적극 활용하여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었다. 박카스 스타리그2009 16강에서도 16강 상대인 진영수의 커맨트센터를 감염시키거나, 김택용의 하이템플러를 몰래 모아둔 퀸으로 브루들링을 걸어 무력화시키는등, 퀸을 활용하며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한다. 하지만 타종족전에비해 저그전이 약한게 약점이 되어, 8강상대인 이제동에게 2:0으로 패하게 된다. 이후로도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36강 전승,16강 통과를 계속했지만 매번 8강에서 2:0으로 패하며 4강셔틀, 8강필패 등으로 불리게 되었다. 과거 16강까지 스타리그 승률1위, 36강 무패등의 기록을 세웠었지만 박카스 스타리그2010 36강에서 탈락하면서 깨어졌다. == 경력 == 2006년 * 9월 제24회 커리지매치 우승 2007년 * 상반기 1차 지명 * 7월 16일 데뷔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상대팀 KTF * 12월 곰TV 시즌4 서바이버 토너먼트 본선 2008년 * 1월 곰TV MSL시즌4 32강 * 9월 클럽데이 MSL 32강 2009년 * 3월 로스트사가 MSL 4강 * 아발론 온라인 MSL 2009 8강 * 7월 박카스 스타리그 8강 * 8월 블리즈컨 2009 토너먼트 준우승 * 12월 EVER 스타리그 8강 * 12월 네이트 MSL 16강 2010년 * 4월 하나대투 MSL 32강 * 5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S1 8강 * 8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S2 8강 * 2월 피디팝 MSL 4강 2011년 * 6월 ABC마트 MSL 준우승 == 별명 == * 퀸의 아들 퀸을 활용한 플레이에 능숙하며, 또한 자주 활용하여 붙여진 별명. * 퀸명운 퀸의 아들과 같은이유. * 쥬인배 쥬니어 대인배의 준말. 같은팀의 선배 김준영(별명:대인배)의 후배라는것에서 유래됨. * 어린왕자 귀여운 외모 때문에 붙여짐. * 코못 같은 팀 동료인 윤용태가 김명운의 작은 키를 비웃으며 '코트 못 입는다'고 해서 생긴 별명. * 최종저막 대 저그전에서 8연패를 하는 등 대 저그전에 약한 모습 때문에 붙여진 별명. * 에막 에이스결정전(최종전) 막장의 줄임말.에이스결정전만가면 경기실력이 평소의 반이되고 하지않던실수를하거나 멍때리다 역전당하는등,에이스결정전에 유독 약한모습을 보여줘 붙여진별명. == 에피소드 == === 프로토스전 12연승 === * 2009년 5월 08일 - 김명운 승 vs 장민철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1차전 1경기) * 2009년 5월 08일 - 김명운 승 vs 장민철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1차전 2경기) * 2009년 5월 08일 - 김명운 승 vs 김구현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2차전 1경기) * 2009년 5월 08일 - 김명운 승 vs 김구현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2차전 2경기) * 2009년 7월 05일 - 김명운 승 vs 박세정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웅진 vs 위메이드 3세트) * 2009년 7월 08일 - 김명운 승 vs 김택용 패 (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 C조 5경기) * 2009년 7월 09일 - 김명운 승 vs 박세정 패 (아발론 MSL 2009 16강 H조 1경기) * 2009년 7월 14일 - 김명운 승 vs 박세정 패 (아발론 MSL 2009 16강 H조 2경기) * 2009년 10월 13일 - 김명운 승 vs 김대엽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KT vs 웅진 2세트) * 2009년 11월 08일 - 김명운 승 vs 박세정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위메이드 3세트) * 2009년 11월 11일 - 김명운 승 vs 신재욱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eStro 3세트) * 2009년 11월 29일 - 김명운 승 vs 박정석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공군 2세트) * 2009년 12월 07일 - 김명운 승 vs 이영호 패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위메이드 1세트) === 8강 필패 ===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16강까지는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8강만 되면 2:0으로 광탈해서 '김명운은 8강필패다'라는 말이 생겨났다. 온게임넷 스타리그가 아닌 MSL에 출전했을때도 '어차피 8강 필패라서 올라가봐야 8강일 것이다'라는 말을 들을정도.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1에서도 8강에서 같은 팀 소속인 윤용태를 만나 2:0으로 졌었다. 평소 숙소에서는 김명운이 많이 이기는 편이라고 알려져, 8강 필패는 뭘해도 8강 필패라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피디팝MSL에서는 8강 필패의 악운을 이겨내고 송병구를 3:0으로 꺾으며 통산 2번째 4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저그전이 제일 약했던 김명운은 4강 4저그에서 결국 저그전을 극복하지 못하고 3:1로 차명환에게 패하며 결승엔 오르지 못했다. 그러나 마침내 ABC마트 MSL에서 평소 약점으로 지적되온 저저전을 극복하고 8강에서 김윤환, 4강에서 이제동을 잡으며 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 === 저저전 무승부 === 2010년 11월 26일 박카스 스타리그2010 36강 K조 2차전에서 예선을 뚫고 올라온 김상욱 맞붙게된다.서로 저그전이 약했기 때문에 1:1로 팽팽한 가운데 3세트 아즈텍에서 경기가 치뤄졌다. 김명운은 12드론 스포닝 풀 빌드를 선택하였고, 김상욱은 빠른 앞마당 해처리로 빌드에서 앞서갔다. 김상욱은 곧바로 라바수의 우위를 활용하여 저글링 러시를 시도했으나, 김명운이 방어해내며 오히려 공중전을 압도하고 그대로 경기가 마무리되는듯 보였다. 그러나 김상욱이 김명운의 뮤탈리스크를 자신의 뮤탈리스크로 맵 구석까지 유인, 그동안 챔버와 스포어를 본진에 건설하며 본진방어에 성공했다. 유리했던상황에서 순식간에 불리해지자, 김명운은 김상욱의 드론을 집중공격하며 챔버와 스포어를 파괴하였다. 김상욱이 미네랄 50과 크립콜로니 하나,드론 한 기만 남아있던 상황이 계속 지속되다 김명운이 끝내 마지막 드론 한 마리를 잡아내고, 더 이상은 둘다 어찌할 방법이 없어진 상황에서 KeSPA 오형진 주심은 경기를 일시중단시키고 선수들의 의사를 물어 재경기를 실시했다. 공식경기에서 무승부라는 것 자체가 거의 없었던터라 이 경기는 경기외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은 저그 대 저그전 최초의 무승부로 기록되었다. === 김윤환과 친해진 계기 === 아발론MSL 8강에서 한상봉에게 떨어지고난후 결승매치가 김윤환vs한상봉이 되자, 한상봉에게 진게 억울했던 것인지 김윤환에게 한상봉의 약점이나 플레이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연습을 도와준게 시초라고한다. 이후로도 서로팀은 다르지만 저그에대해 종종 이야기하는등 친하게 지내는 듯하다. 그 직후 한상봉이 CJ엔투스(현 하이트엔투스)에서 웅진 스타즈로 이적하게되는데, 이적왔을 당시 대하기 꺼려졌었다고 한다. == 외부 == * [[http://cafe.daum.net/mensolzero|팬카페]] [Include(틀:가져옴,O=애니존위키, C=[[http://www.gnu.org/licenses/old-licenses/fdl-1.2.txt|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Version 1.2]], L=[[http://web.archive.org/web/20110912033342/http://wiki.anizone.net:80/index.php?title=%EA%B9%80%EB%AA%85%EC%9A%B4|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