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8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박진배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외부:https://pbs.twimg.com/profile_images/610121247746232320/W_D3-zAF_200x200.jpg]] 박진배는 대한민국의 음악가로, 주로 게임 음악의 작사, 작곡, 편곡을 담당하는 음악가이다. 1980년 5월 8일 생이다. 작곡자로서의 필명인 ESTi는 본인의 트위터에서 나온 이야기에 따르면 ‘estimate’(견적서)에서 ‘mate’(친구)를 뺀 단어라고 한다. 그러나 이름의 대문자 상태를 보면 VSTi(Virtual Studio Technology Instrumental)에서 따온 것이 아니냐는 견해가 많다. 혹은 하이텔 시절의 닉네임 ‘실루에티’를 변형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한국 게임음악계의 전설적 그룹인 [[SoundTeMP]]의 멤버 중 한사람으로, SoundTeMP 멤버로서 1998년 창세기전 외전 서풍의 광시곡의 게임 음악으로 데뷔했다. 중심적으로 게임음악을 맡고 있기는 하지만 게임음악만 담당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한국외대 일본어과를 졸업하여 일본어에도 능하기 때문에 한국내 업체 뿐만 아니라 일본 게임업체와도 작업을 하고 있으며, 취미적인 리믹스나 믹싱작업과 함께 동인 그룹과의 교류를 통해 각종 작품에서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현재는 하이텔 전뇌파 시절부터의 지인인 김형태 등이 소속된 스튜디오시스에 소속되어있으며, 여전히 왕성한 창작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음악을 전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작곡 시에도 따로 악보를 사용하지는 않고 신디사이저로 원하는 악기와 멜로디를 연주해서 컴퓨터로 시퀀스를 조합해 나가는 방식으로 음악을 만든다고 한다. == 연혁 == === 개인활동 === 박진배는 BBS 기반 PC통신인 하이텔에서 활동을 하면서 대외적으로 그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했다. Parkcoms라는 아이디로 활동을 했으며, 닉네임으로초기에는 ‘진’을 썼었으나, 이후 Silhouetti(실루에티)로 변경되었다. 이 때 고등학생이었던 박진배는 컴퓨터 미디저작툴인 ‘노트’를 이용해서 애드립 등의 음원용 MIDI를 만들어 올리는 등의 활동을 시작했다. 샘틀가락 등 애드립을 비롯한 음악 저작 동호회나 게임기 동호회(하이텔 메뉴명 ‘gamer’)에서 자작, 혹은 리믹스한 게임 음악 등을 선보이기도 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또한 당시 하이텔의 애니메이션 동호회인 애니메이트(하이텔 메뉴명 ‘ani’)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활동을 해왔다. 각종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번역이나 친목활동을 하다가 10대 시삽(2000.05.08 ~ 2001.04.02)으로서 애니메이트의 대표자로서 활동하기도 했다. 하이텔 시절에는 게임과 관련된 공략 등에서도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었는데, 유작의 공략본을 작성, 게시하여 유작의 인지도를 넓히는데 일조하기도 했으며, 리프 사의 연애게임인 화이트 앨범이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 ‘백색 마약‘이라는 별칭을 붙여준 최초의 인물로, 그 별칭이 널리 퍼지게 만든 장본인 이기도 하다. 공식적인 경력 이전에 고스트라이터로서 작업한 것을 암시한 적이 있다. 참고로 애니메이트 동호회 활동 중 소속되어있던 애니메이트 내의 소모임인 ‘전뇌파’ 멤버들을 패러디해서 만든 자작 패러디 소설 ‘굶주리머즈’(슬레이어즈 패러디), ‘전뇌전설 이니셜M ~근엄의 가면~'(버추얼온, 이니셜D, 유리가면 패러디) 등을 게재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본인은 웹상에서 ‘굶주리머즈’에 대해 물어보는 사람에게 ‘그게 뭐죠?'라고 답했다고 한다. 아마도 감추고 싶은 과거인듯.] ==== 디시인사이드 ==== 디씨인사이드에서 ‘디제이늅‘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로 디씨 일렉트로니카 갤러리에서 활동을 하며, 이외에도 스폰지박, 다이소댄스, 디제이늅, 도련늼 등의 닉네임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일단 공식 갤로그 명은 디제이늅. 원래 익명 중심인 디씨에서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채 활동을 했었으나, 2008년 7월 28일 새벽에 취중에 당시 디씨에서 한창 유행하던 유행하는 빠삐놈 시리즈[* 당시 개봉된 영화 ‘놈놈놈’의 배경음악 때문이다.]를 보고 소위 ‘삘받아서’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hit&no=6417&page=1|빠삐놈병神디스코믹스]]‘라는 곡을 올렸다. 이 곡은 전진의 노래를 베이스로 각종 음악과 빠삐코 광고 음악을 믹싱한 음악과 영상을 합성해서 만든 영상물이었는데, 이 영상이 미칠듯한 인기를 끌며 디씨 사장이었던 ‘김유식 대장’이 와서 덧글을 달았을 정도였다. 술이 깬 이후에 요청에 따라서 MP3파일을 첨부하고 추가 멘트를 넣을 때 마치 아마추어인 듯한 코멘트를 달았으나, 나중에 가서는 결국은 자신이 만든 것임을 인정했다. 단순히 디씨 안에서의 화제가 아니라 외부에까지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자 박진배 본인도 꽤 놀란듯 했다. 이후 무한도전에 출연중이던 전진 본인이 해당 음악을 이용해서 방송에 내보고 싶다고 요청을 해왔고, 이에 박진배가 해당 음악에서 방송상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는 특정상표(빠삐코)에서 ‘빠삐’만을 넣고 리믹스한 ‘잔삐놈’을 리믹스해 주었고, 전진은 실제로 이 믹싱을 기반으로 단발성 뮤직비디오까지 찍어 방송에 나가는 놀라운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이 일대 센세이션 이후에는 상당한 홍역도 뒤따랐는데, 해당 문제에 대한 글은 현재 삭제되어 사라진 상태이나,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composition_dc&no=67658&page=1|정리해놓은 페이지]]가 남아있으니 그 때의 복잡하고 착찹했을 창작자들의 기분을 일부나마 느껴볼 수 있다. ==== 동인활동 ==== 하이텔 시절 애드립이나 미디 등의 음원을 자료실에 올리는 등의 활동으로 음악을 시작했고, 프로데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신이 만든 곡이나 타인이 만든 음악을 재해석한 리믹스 등을 통해서 음악을 만들어 왔다. 일본쪽의 뮤지션과도 활발한 교류를 유지하여 일본쪽에서도 나름 인지도가 있는 편으로, 2005.09.30에 발매된 [[동방프로젝트]]의 리믹스 음반인 동방자향화에 ‘환상의 여름, 요괴의 여름’을 수록하기도 했다. 2008년 5월에 개최된 서브컬쳐 동인 행사인 리니어 26회에 게스트로 참여한 적도 있다. === 프로 활동 === 1998년 SoundTeMP (사운드 템프)가 배경음악을 담당한 소프트맥스의 게임 창세기전 외전 서풍의 광시곡의 배경 음악을 제작하면서 프로 음악가로서 데뷔했으며, 이후 EZ2DJ를 통해서 그 이름을 널리 알리기 시작했다. EZ2DJ에서 이름이 크게 알려진 이유는 게임 시작 전의 로딩 화면에서 해당음악을 제작한 DJ명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한게임의 크레이지 아케이드의 봄버맨 짝퉁게임 BnB 음악 제작에도 참여했으며, 이후 소프트맥스의 4leaf, 마그나카르타, 테일즈 위버와 그라비티의 라그나록 온라인, 그리곤 엔터테인먼트의 씰 온라인, 엔트리브 소프트의 팡야와 [[엔씨소프트]]의 아이온 등에 참여했다. 이 중 팡야 시리즈의 경우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많은 인기가 있는 게임이었는데, 홍보용 PV에서 작곡과 편곡 뿐만 아니라 가사까지 직접 담당하고 일본어 가사를 삽입하는 등의 센스를 발휘해 곡만으로도 많은 인기를 끌었다. 해당 곡이 공개되고 일본 동영상 UCC 사이트인 니코니코 동화에서는 해당 곡을 삽입한 적지않은 매드무비 (MAD Movie)가 제작되기도 했다. 일본 회사와 함께 일한 케이스로는 반다이 남코의 게임 릿지레이서7에 삽입된 곡을 만들기도 했고, Lillian에서 제작한 트윙클 크루세이더 등에 참여했다. 2010년에는 남코의 유명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아이돌마스터2의 DLC로 들어가는 추가곡 'Little Match Girl’을 만들기도 했다. 보컬이 들어가는 곡들은 DJ MAX에서 호흡을 맞춘 Sanch와 많은 작업을 해왔으며, 아이돌마스터2의 삽입곡을 작사, 작곡을 담당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처음으로 Miya와 함께 엔트리브 소프트의 트릭스터 에피소드6에 참여하기도 했다. == 작품 == === 프로 === || 연도 || 타이틀 || 저작권사 || 기타사항 || || 1998 || 창세기전 외전 서풍의 광시곡 || 소프트맥스 || SoundTemp 멤버로 참여 || || 1999~2000 || EZ2DJ, EZ2Dancer || 어뮤즈월드 || || 2001~2004 || 드림체이서 || 소프트맥스 || || 2001~2004 || 크레이지 아케이드 BnB Adventure || 소프트맥스, 넥슨 || || 2001~2004 || 4leaf || 소프트맥스 || || 2001~2004 || 마그나카르타 || 소프트맥스 || || 2001~2004 || 테일즈 위버 || 소프트맥스, 넥슨 || || 2002~2006 || 라그나로크 온라인 || 그라비티 || || 2003~2005 || 플리프 || Aeonsoft || || 2003~2005 || 씰 온라인 || 그리곤 엔터테인먼트 || || 2002~2006 || 그라나도 에스파다 || 한빛소프트 || SoundTeMP 멤버로 참여 || || 2004~2006 || 아이온 || 엔씨소프트 || || 2004~2008 || 디제이맥스 || 펜타비전 || || 2005~2006 || 라테일 || 액토즈소프트 || || 2006 || 다이버스타 (in 스타이리아) || 그라비티, 손노리 || || 2006 || 릿지 레이서 7 || 반다이 남코 게임스 || || 2006 || 팡야 Season 3 || 엔트리브 소프트 || || 2006 || 디제이맥스 포터블 || 펜타비전 || || 2007 || 디제이맥스 포터블 2 || 펜타비전 || || 2008 || 넥슨별 || 넥슨 || || 2008 || 판타지 골프 팡야 포터블 || 엔트리브 소프트 || || 2008 || 팡야 Season 4 || 엔트리브 소프트 || || 2008 || G2 || 한게임 || || 2009~2010 || 아이돌마스터2 || 반다이남코 || || 2010~2011 || i-angel || 소프트맥스 || || 2010 || 말과 나의 이야기, 앨리샤 || 엔트리브 소프트 || || 2011 || 트윙클 크루세이더 SBX || 펜슬 || || 2011 || 메이플 스토리 던전 마스터 || 넥슨 모바일 || || 2011 || 트릭스터 에피소드6 || 엔트리브 소프트 || || 2011 || 사이퍼즈 || 네오플, 넥슨 || === 동인 === || 연도 || 참여작 || 관련사 || 기타사항 || || 2005 || 동방자향화 || 동인앨범[br](발매는 토라노아나) || ‘환상의 여름, 요괴의 여름’으로 참가 || || 2006 || 아침노을의 보더라인 || Voltage of Imagination 4곡에 참여 || || 2008 || 빠삐놈병神디스코믹스 || [[디시인사이드]] || == 외부 == * [[http://eskimos.egloos.com/586|ESTi의 이글루 피플 인터뷰]] * [[http://esti.egloos.com|ESTi의 이글루(현재 폐쇄)]]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623154708/https://wiki.nex32.net/%EC%82%AC%EB%9E%8C/esti|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외부:https://pbs.twimg.com/profile_images/610121247746232320/W_D3-zAF_200x200.jpg]] 박진배는 대한민국의 음악가로, 주로 게임 음악의 작사, 작곡, 편곡을 담당하는 음악가이다. 1980년 5월 8일 생이다. 작곡자로서의 필명인 ESTi는 본인의 트위터에서 나온 이야기에 따르면 ‘estimate’(견적서)에서 ‘mate’(친구)를 뺀 단어라고 한다. 그러나 이름의 대문자 상태를 보면 VSTi(Virtual Studio Technology Instrumental)에서 따온 것이 아니냐는 견해가 많다. 혹은 하이텔 시절의 닉네임 ‘실루에티’를 변형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한국 게임음악계의 전설적 그룹인 [[SoundTeMP]]의 멤버 중 한사람으로, SoundTeMP 멤버로서 1998년 창세기전 외전 서풍의 광시곡의 게임 음악으로 데뷔했다. 중심적으로 게임음악을 맡고 있기는 하지만 게임음악만 담당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한국외대 일본어과를 졸업하여 일본어에도 능하기 때문에 한국내 업체 뿐만 아니라 일본 게임업체와도 작업을 하고 있으며, 취미적인 리믹스나 믹싱작업과 함께 동인 그룹과의 교류를 통해 각종 작품에서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현재는 하이텔 전뇌파 시절부터의 지인인 김형태 등이 소속된 스튜디오시스에 소속되어있으며, 여전히 왕성한 창작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음악을 전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작곡 시에도 따로 악보를 사용하지는 않고 신디사이저로 원하는 악기와 멜로디를 연주해서 컴퓨터로 시퀀스를 조합해 나가는 방식으로 음악을 만든다고 한다. == 연혁 == === 개인활동 === 박진배는 BBS 기반 PC통신인 하이텔에서 활동을 하면서 대외적으로 그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했다. Parkcoms라는 아이디로 활동을 했으며, 닉네임으로초기에는 ‘진’을 썼었으나, 이후 Silhouetti(실루에티)로 변경되었다. 이 때 고등학생이었던 박진배는 컴퓨터 미디저작툴인 ‘노트’를 이용해서 애드립 등의 음원용 MIDI를 만들어 올리는 등의 활동을 시작했다. 샘틀가락 등 애드립을 비롯한 음악 저작 동호회나 게임기 동호회(하이텔 메뉴명 ‘gamer’)에서 자작, 혹은 리믹스한 게임 음악 등을 선보이기도 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또한 당시 하이텔의 애니메이션 동호회인 애니메이트(하이텔 메뉴명 ‘ani’)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활동을 해왔다. 각종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번역이나 친목활동을 하다가 10대 시삽(2000.05.08 ~ 2001.04.02)으로서 애니메이트의 대표자로서 활동하기도 했다. 하이텔 시절에는 게임과 관련된 공략 등에서도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었는데, 유작의 공략본을 작성, 게시하여 유작의 인지도를 넓히는데 일조하기도 했으며, 리프 사의 연애게임인 화이트 앨범이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 ‘백색 마약‘이라는 별칭을 붙여준 최초의 인물로, 그 별칭이 널리 퍼지게 만든 장본인 이기도 하다. 공식적인 경력 이전에 고스트라이터로서 작업한 것을 암시한 적이 있다. 참고로 애니메이트 동호회 활동 중 소속되어있던 애니메이트 내의 소모임인 ‘전뇌파’ 멤버들을 패러디해서 만든 자작 패러디 소설 ‘굶주리머즈’(슬레이어즈 패러디), ‘전뇌전설 이니셜M ~근엄의 가면~'(버추얼온, 이니셜D, 유리가면 패러디) 등을 게재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본인은 웹상에서 ‘굶주리머즈’에 대해 물어보는 사람에게 ‘그게 뭐죠?'라고 답했다고 한다. 아마도 감추고 싶은 과거인듯.] ==== 디시인사이드 ==== 디씨인사이드에서 ‘디제이늅‘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로 디씨 일렉트로니카 갤러리에서 활동을 하며, 이외에도 스폰지박, 다이소댄스, 디제이늅, 도련늼 등의 닉네임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일단 공식 갤로그 명은 디제이늅. 원래 익명 중심인 디씨에서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채 활동을 했었으나, 2008년 7월 28일 새벽에 취중에 당시 디씨에서 한창 유행하던 유행하는 빠삐놈 시리즈[* 당시 개봉된 영화 ‘놈놈놈’의 배경음악 때문이다.]를 보고 소위 ‘삘받아서’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hit&no=6417&page=1|빠삐놈병神디스코믹스]]‘라는 곡을 올렸다. 이 곡은 전진의 노래를 베이스로 각종 음악과 빠삐코 광고 음악을 믹싱한 음악과 영상을 합성해서 만든 영상물이었는데, 이 영상이 미칠듯한 인기를 끌며 디씨 사장이었던 ‘김유식 대장’이 와서 덧글을 달았을 정도였다. 술이 깬 이후에 요청에 따라서 MP3파일을 첨부하고 추가 멘트를 넣을 때 마치 아마추어인 듯한 코멘트를 달았으나, 나중에 가서는 결국은 자신이 만든 것임을 인정했다. 단순히 디씨 안에서의 화제가 아니라 외부에까지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자 박진배 본인도 꽤 놀란듯 했다. 이후 무한도전에 출연중이던 전진 본인이 해당 음악을 이용해서 방송에 내보고 싶다고 요청을 해왔고, 이에 박진배가 해당 음악에서 방송상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는 특정상표(빠삐코)에서 ‘빠삐’만을 넣고 리믹스한 ‘잔삐놈’을 리믹스해 주었고, 전진은 실제로 이 믹싱을 기반으로 단발성 뮤직비디오까지 찍어 방송에 나가는 놀라운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이 일대 센세이션 이후에는 상당한 홍역도 뒤따랐는데, 해당 문제에 대한 글은 현재 삭제되어 사라진 상태이나,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composition_dc&no=67658&page=1|정리해놓은 페이지]]가 남아있으니 그 때의 복잡하고 착찹했을 창작자들의 기분을 일부나마 느껴볼 수 있다. ==== 동인활동 ==== 하이텔 시절 애드립이나 미디 등의 음원을 자료실에 올리는 등의 활동으로 음악을 시작했고, 프로데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신이 만든 곡이나 타인이 만든 음악을 재해석한 리믹스 등을 통해서 음악을 만들어 왔다. 일본쪽의 뮤지션과도 활발한 교류를 유지하여 일본쪽에서도 나름 인지도가 있는 편으로, 2005.09.30에 발매된 [[동방프로젝트]]의 리믹스 음반인 동방자향화에 ‘환상의 여름, 요괴의 여름’을 수록하기도 했다. 2008년 5월에 개최된 서브컬쳐 동인 행사인 리니어 26회에 게스트로 참여한 적도 있다. === 프로 활동 === 1998년 SoundTeMP (사운드 템프)가 배경음악을 담당한 소프트맥스의 게임 창세기전 외전 서풍의 광시곡의 배경 음악을 제작하면서 프로 음악가로서 데뷔했으며, 이후 EZ2DJ를 통해서 그 이름을 널리 알리기 시작했다. EZ2DJ에서 이름이 크게 알려진 이유는 게임 시작 전의 로딩 화면에서 해당음악을 제작한 DJ명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한게임의 크레이지 아케이드의 봄버맨 짝퉁게임 BnB 음악 제작에도 참여했으며, 이후 소프트맥스의 4leaf, 마그나카르타, 테일즈 위버와 그라비티의 라그나록 온라인, 그리곤 엔터테인먼트의 씰 온라인, 엔트리브 소프트의 팡야와 [[엔씨소프트]]의 아이온 등에 참여했다. 이 중 팡야 시리즈의 경우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많은 인기가 있는 게임이었는데, 홍보용 PV에서 작곡과 편곡 뿐만 아니라 가사까지 직접 담당하고 일본어 가사를 삽입하는 등의 센스를 발휘해 곡만으로도 많은 인기를 끌었다. 해당 곡이 공개되고 일본 동영상 UCC 사이트인 니코니코 동화에서는 해당 곡을 삽입한 적지않은 매드무비 (MAD Movie)가 제작되기도 했다. 일본 회사와 함께 일한 케이스로는 반다이 남코의 게임 릿지레이서7에 삽입된 곡을 만들기도 했고, Lillian에서 제작한 트윙클 크루세이더 등에 참여했다. 2010년에는 남코의 유명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아이돌마스터2의 DLC로 들어가는 추가곡 'Little Match Girl’을 만들기도 했다. 보컬이 들어가는 곡들은 DJ MAX에서 호흡을 맞춘 Sanch와 많은 작업을 해왔으며, 아이돌마스터2의 삽입곡을 작사, 작곡을 담당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처음으로 Miya와 함께 엔트리브 소프트의 트릭스터 에피소드6에 참여하기도 했다. == 작품 == === 프로 === || 연도 || 타이틀 || 저작권사 || 기타사항 || || 1998 || 창세기전 외전 서풍의 광시곡 || 소프트맥스 || SoundTemp 멤버로 참여 || || 1999~2000 || EZ2DJ, EZ2Dancer || 어뮤즈월드 || || 2001~2004 || 드림체이서 || 소프트맥스 || || 2001~2004 || 크레이지 아케이드 BnB Adventure || 소프트맥스, 넥슨 || || 2001~2004 || 4leaf || 소프트맥스 || || 2001~2004 || 마그나카르타 || 소프트맥스 || || 2001~2004 || 테일즈 위버 || 소프트맥스, 넥슨 || || 2002~2006 || 라그나로크 온라인 || 그라비티 || || 2003~2005 || 플리프 || Aeonsoft || || 2003~2005 || 씰 온라인 || 그리곤 엔터테인먼트 || || 2002~2006 || 그라나도 에스파다 || 한빛소프트 || SoundTeMP 멤버로 참여 || || 2004~2006 || 아이온 || 엔씨소프트 || || 2004~2008 || 디제이맥스 || 펜타비전 || || 2005~2006 || 라테일 || 액토즈소프트 || || 2006 || 다이버스타 (in 스타이리아) || 그라비티, 손노리 || || 2006 || 릿지 레이서 7 || 반다이 남코 게임스 || || 2006 || 팡야 Season 3 || 엔트리브 소프트 || || 2006 || 디제이맥스 포터블 || 펜타비전 || || 2007 || 디제이맥스 포터블 2 || 펜타비전 || || 2008 || 넥슨별 || 넥슨 || || 2008 || 판타지 골프 팡야 포터블 || 엔트리브 소프트 || || 2008 || 팡야 Season 4 || 엔트리브 소프트 || || 2008 || G2 || 한게임 || || 2009~2010 || 아이돌마스터2 || 반다이남코 || || 2010~2011 || i-angel || 소프트맥스 || || 2010 || 말과 나의 이야기, 앨리샤 || 엔트리브 소프트 || || 2011 || 트윙클 크루세이더 SBX || 펜슬 || || 2011 || 메이플 스토리 던전 마스터 || 넥슨 모바일 || || 2011 || 트릭스터 에피소드6 || 엔트리브 소프트 || || 2011 || 사이퍼즈 || 네오플, 넥슨 || === 동인 === || 연도 || 참여작 || 관련사 || 기타사항 || || 2005 || 동방자향화 || 동인앨범[br](발매는 토라노아나) || ‘환상의 여름, 요괴의 여름’으로 참가 || || 2006 || 아침노을의 보더라인 || Voltage of Imagination 4곡에 참여 || || 2008 || 빠삐놈병神디스코믹스 || [[디시인사이드]] || == 외부 == * [[http://eskimos.egloos.com/586|ESTi의 이글루 피플 인터뷰]] * [[http://esti.egloos.com|ESTi의 이글루(현재 폐쇄)]]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623154708/https://wiki.nex32.net/%EC%82%AC%EB%9E%8C/esti|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