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250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5:32:31] 孝
[15:15:42] 효도
[21:33:05] 논리적 오류
[18:47:59] 논리적 오류
[00:47:19] 마쓰춘
[00:47:13] 유덕화
[00:47:00] 이위당관
[00:46:47] 해양경찰 마이너 갤러리
[10:34:57] BEMIL 군사세계
[10:28:15] BEMIL 군사세계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범종설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진보위키]] [[외부:https://pbs.twimg.com/media/FpldQfmXEAE3Wdf.jpg|width=400]] 汎種說 / panspermia[* 생명의 씨앗(spore 또는 germ)이 우주 전체(pan)에 널리 퍼져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지구]]의 생명체가 지구 자체에서 자연 발생한 것이 아니라, 다른 천체에서 발생하여 운석이나 혜성, 우주 먼지 등을 통해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다가 지구에 도달하여 정착하고 진화했다는 가설이다. 배종발달설(胚種發達說), 포자범재설(胞子汎在說), 음차한 판스페르미아설이라고도 칭한다. 이 가설은 생명의 기원에 대한 여러 논의 중 하나로, 생명 자체의 최초 발생보다는 지구 생명의 직접적인 기원에 초점을 맞춘다. == 실험 == 일본 도쿄대학 연구팀은 방사선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가 집락을 이뤄 우주에서 수년을 버틸 수 있으며 지구와 화성 사이의 우주여행 기간 동안 살아남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0.5 밀리미터 이상의 집락에서는 3년간 우주 환경에 노출된 뒤에도 일부가 생존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하며, 집락 표면에 있는 박테리아는 살아남지 못했지만, 이들이 보호층을 만들어 그 안에 있는 데이노코쿠스 박테리아는 생존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연구팀은 실험자료를 토대로 0.5 밀리미터 이상 두께를 가진 집락의 데이노코쿠스 박테리아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15~45년 존속하고, 우주 공간에서는 지름 1 밀리미터 집락으로 8년까지 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추산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1839898|'극한' 박테리아 1㎜ 무리 지어 지구~화성 우주여행 가능]]] == 외부 ==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28&aid=0002289011|지구 생명이 외계서 왔다는 크릭의 가설]] == 영상 == [youtube(9NXHzQyfx8k)] [Include(틀:가져옴, O=진보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210401071334/https://jinbowiki.org/wiki/index.php/%EB%B2%94%EC%A2%85%EC%84%A4|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진보위키]] [[외부:https://pbs.twimg.com/media/FpldQfmXEAE3Wdf.jpg|width=400]] 汎種說 / panspermia[* 생명의 씨앗(spore 또는 germ)이 우주 전체(pan)에 널리 퍼져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지구]]의 생명체가 지구 자체에서 자연 발생한 것이 아니라, 다른 천체에서 발생하여 운석이나 혜성, 우주 먼지 등을 통해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다가 지구에 도달하여 정착하고 진화했다는 가설이다. 배종발달설(胚種發達說), 포자범재설(胞子汎在說), 음차한 판스페르미아설이라고도 칭한다. 이 가설은 생명의 기원에 대한 여러 논의 중 하나로, 생명 자체의 최초 발생보다는 지구 생명의 직접적인 기원에 초점을 맞춘다. == 실험 == 일본 도쿄대학 연구팀은 방사선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가 집락을 이뤄 우주에서 수년을 버틸 수 있으며 지구와 화성 사이의 우주여행 기간 동안 살아남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0.5 밀리미터 이상의 집락에서는 3년간 우주 환경에 노출된 뒤에도 일부가 생존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하며, 집락 표면에 있는 박테리아는 살아남지 못했지만, 이들이 보호층을 만들어 그 안에 있는 데이노코쿠스 박테리아는 생존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연구팀은 실험자료를 토대로 0.5 밀리미터 이상 두께를 가진 집락의 데이노코쿠스 박테리아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15~45년 존속하고, 우주 공간에서는 지름 1 밀리미터 집락으로 8년까지 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추산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1839898|'극한' 박테리아 1㎜ 무리 지어 지구~화성 우주여행 가능]]] == 외부 ==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28&aid=0002289011|지구 생명이 외계서 왔다는 크릭의 가설]] == 영상 == [youtube(9NXHzQyfx8k)] [Include(틀:가져옴, O=진보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210401071334/https://jinbowiki.org/wiki/index.php/%EB%B2%94%EC%A2%85%EC%84%A4|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