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9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북한이탈주민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北韓離脫住民 / North Korean defectors 북한에서 이탈한 주민. 구체적으로는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주소, 직계가족 등을 두고 있다가 북한의 관할권에서 벗어나 대한민국에 정착한 북한 주민을 말한다. 탈북자(脫北者)나 탈북민(脫北民) 또는 새터민이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 헌법 제3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되지만, 북한 체제 하에서 오랫동안 살아왔기 때문에 남한 사회에 적응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별한 보호와 지원을 받는다. 2025년 기준 누적 입국 인원은 약 34,000명에 달한다.[* 2009년 연간 2,914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이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국경 봉쇄 이후엔 급감하였다.] 성별로는 전체의 약 72%가 여성으로 여성 비율이 높으며, 연령은 20~40대가 주류이다. 탈북 경로는 휴전선을 직접 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대부분 압록강이나 두만강을 건너 중국으로 탈출한 뒤, 동남아시아 등 제3국을 거쳐 대한민국으로 입국하는 경로를 이용한다. == 용어 ==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이들을 지칭하는 용어도 계속해서 변해왔다. 냉전이 치열했던 1980년대까지는 귀순자나 귀순용사, 귀순북한동포처럼 '귀순'이 들어가는 용어를 사용하다가, 탈북자,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등 대체 용어가 만들어지면서 쓰이고 있다. == 정치 갈등 == 일부 북한이탈주민은 극우 단체 등에 이용당해 과격한 언행을 하거나 잘못된 설([[inter:나무위키:5.18 민주화운동/왜곡/북한 개입설|5.18 민주화운동 북한 개입설]] 등)을 주장하여 문제가 되기도 한다. == 영상 == [youtube(54JgoN5CFMs)]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北韓離脫住民 / North Korean defectors 북한에서 이탈한 주민. 구체적으로는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주소, 직계가족 등을 두고 있다가 북한의 관할권에서 벗어나 대한민국에 정착한 북한 주민을 말한다. 탈북자(脫北者)나 탈북민(脫北民) 또는 새터민이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 헌법 제3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되지만, 북한 체제 하에서 오랫동안 살아왔기 때문에 남한 사회에 적응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별한 보호와 지원을 받는다. 2025년 기준 누적 입국 인원은 약 34,000명에 달한다.[* 2009년 연간 2,914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이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국경 봉쇄 이후엔 급감하였다.] 성별로는 전체의 약 72%가 여성으로 여성 비율이 높으며, 연령은 20~40대가 주류이다. 탈북 경로는 휴전선을 직접 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대부분 압록강이나 두만강을 건너 중국으로 탈출한 뒤, 동남아시아 등 제3국을 거쳐 대한민국으로 입국하는 경로를 이용한다. == 용어 ==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이들을 지칭하는 용어도 계속해서 변해왔다. 냉전이 치열했던 1980년대까지는 귀순자나 귀순용사, 귀순북한동포처럼 '귀순'이 들어가는 용어를 사용하다가, 탈북자,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등 대체 용어가 만들어지면서 쓰이고 있다. == 정치 갈등 == 일부 북한이탈주민은 극우 단체 등에 이용당해 과격한 언행을 하거나 잘못된 설([[inter:나무위키:5.18 민주화운동/왜곡/북한 개입설|5.18 민주화운동 북한 개입설]] 등)을 주장하여 문제가 되기도 한다. == 영상 == [youtube(54JgoN5CFMs)]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