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59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샤를리 엡도 테러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구스위키]] [[외부:https://pbs.twimg.com/media/Ggrfsv5XsAAK4o6.jpg|width=400]] Attentat contre Charlie Hebdo / Charlie Hebdo shooting 2015년 1월 7일, 프랑스의 주간지 샤를리 엡도 본사에서 발생한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사건.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 지부(AQAP) 괴한 2명이 난입하여 기관총 등을 이용해 무차별 총기를 난사하고 도주하면서 편집장과 만화가 등 12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하였다. == 샤를리 엡도 == 샤를리 엡도는 1969년에 설립된 프랑스의 주간 풍자 신문으로, 주로 만화, 르포, 논쟁, 농담 등을 게재하였다. 1981년 폐간되었다가 1992년 재창간되었으며, 표현의 자유를 중요시 하였다. 좌파 서양으로 알려져 있으나, 성역 없는 풍자를 모토로 하는 모두까기 언론사였고, 가톨릭, 교황, 예수, 이슬람, 무함마드, 유대교, 극우 정권, 심지어 [[이슬라모포비아]][* 당시 가장 최신호 커버스토리가 이슬라모포비아를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2&aid=0002560777|#]]]에 이르기까지 가리지 않고 희화화하며 풍자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특히나 2011년엔 이슬람교를 풍자한다며 제호를 샤리아 엡도로 고치고 편집장이 무하마드라는 활동을 하다가 회사 사무실이 화염병 테러를 당하는 일도 있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이슬람에 대한 날 선 풍자를 지속했고 이슬람 극단주의자들로부터 협박 전화를 받는 등 이슬람계와는 꾸준히 대립각을 세워왔다. == 희생자 == || 이름 || 직업 || || Stéphane Charbonnier || 편집장. 필명 Charb || || Jean Cabut || 만화가. 필명 Cabu || || Georges Wolinski || 유명 원로 만화가 || || Bernard Velhac || 만화가. 필명 Tignous || || Bernard Maris || 경제학자 및 칼럼니스트 || || Philippe Honore || 만화가, 트위터 계정 관리 담당 || || Mustapha Ourad || 신문사 교정자 || || Elsa Cayat || 정신과 의사 및 심리 분석자 || || Michel Renaud || 초청된 저널리스트 || || Frederic Boisseau || 건물 관리 직원 || || Ahmed Merabat || 경찰관[* 무슬림이었다. 테러범들은 자비를 구하는 아흐메드를 확인 사살하였다.] || || Franck Brinsolaro || 경호원 || == 범인 == || [[외부:https://pbs.twimg.com/media/GguMLfoW8AAPxQm?format=jpg&name=large|width=300]] || 테러를 실행한 용의자들은 쿠아시 형제로, 사이드 쿠아시(سعيد كواشي, Said Kouachi, 당시 34세)와 셰리프 쿠아시(شريف كواشي, Cherif Kouachi, 당시 32세)였다. 초기에는 샤르리 엡도가 IS를 조롱하는 만평을 게재한 전력이 있어 IS의 소행으로 의심되었으나, 관련 증언과 수사를 통해 AQAP의 소행임이 확실시되었다. 이들은 테러를 저지른 뒤 차량을 탈취해 파리 북서부로 도주했다. 그리고 2015년 1월 9일 디마르탱 엉 고엘르 마을에 위치한 한 간판 제작사에 난입하여 여성 1명을 인질로 잡고 인질극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자신들이 예멘 알카에다 소속임을 밝혔으며, 순교자로 죽고 싶다고 말했다. 현지 시각 오후 4시(한국 시각 1월 10일 오전 1시)에 GIGN이 진압 작전을 개시하여 범인들을 사살했고, 인질로 잡힌 여성은 무사히 구출되었다. 주변 이웃들은 쿠아시 형제에 대해 "친절했고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할 정도로 박애정신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증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외의 증언은 오히려 대중들 사이에서 무슬림 전체에 대한 공포를 확산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 반응 == 사건 직후 테러 규탄 및 희생자 추모를 위한 시위가 프랑스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각국에서 일어났다. 특히 내가 샤를리다(Je suis Charlie)라는 슬로건이 널리 퍼지며 표현의 자유 수호를 촉구하는 움직임이 거세게 일었다. 각국 지도자들은 이번 테러 사건을 강력히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교황 프란치스코는 추도 전문을 보냈다. == 영상 == [youtube(jZh1MttPhPc)] [Include(틀:가져옴,O=구스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50316121245/http://gooswiki.com:80/index.php?title=%EC%83%A4%EB%A5%BC%EB%A6%AC_%EC%97%A1%EB%8F%84_%ED%85%8C%EB%9F%AC%EC%82%AC%EA%B1%B4|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구스위키]] [[외부:https://pbs.twimg.com/media/Ggrfsv5XsAAK4o6.jpg|width=400]] Attentat contre Charlie Hebdo / Charlie Hebdo shooting 2015년 1월 7일, 프랑스의 주간지 샤를리 엡도 본사에서 발생한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사건.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 지부(AQAP) 괴한 2명이 난입하여 기관총 등을 이용해 무차별 총기를 난사하고 도주하면서 편집장과 만화가 등 12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하였다. == 샤를리 엡도 == 샤를리 엡도는 1969년에 설립된 프랑스의 주간 풍자 신문으로, 주로 만화, 르포, 논쟁, 농담 등을 게재하였다. 1981년 폐간되었다가 1992년 재창간되었으며, 표현의 자유를 중요시 하였다. 좌파 서양으로 알려져 있으나, 성역 없는 풍자를 모토로 하는 모두까기 언론사였고, 가톨릭, 교황, 예수, 이슬람, 무함마드, 유대교, 극우 정권, 심지어 [[이슬라모포비아]][* 당시 가장 최신호 커버스토리가 이슬라모포비아를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2&aid=0002560777|#]]]에 이르기까지 가리지 않고 희화화하며 풍자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특히나 2011년엔 이슬람교를 풍자한다며 제호를 샤리아 엡도로 고치고 편집장이 무하마드라는 활동을 하다가 회사 사무실이 화염병 테러를 당하는 일도 있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이슬람에 대한 날 선 풍자를 지속했고 이슬람 극단주의자들로부터 협박 전화를 받는 등 이슬람계와는 꾸준히 대립각을 세워왔다. == 희생자 == || 이름 || 직업 || || Stéphane Charbonnier || 편집장. 필명 Charb || || Jean Cabut || 만화가. 필명 Cabu || || Georges Wolinski || 유명 원로 만화가 || || Bernard Velhac || 만화가. 필명 Tignous || || Bernard Maris || 경제학자 및 칼럼니스트 || || Philippe Honore || 만화가, 트위터 계정 관리 담당 || || Mustapha Ourad || 신문사 교정자 || || Elsa Cayat || 정신과 의사 및 심리 분석자 || || Michel Renaud || 초청된 저널리스트 || || Frederic Boisseau || 건물 관리 직원 || || Ahmed Merabat || 경찰관[* 무슬림이었다. 테러범들은 자비를 구하는 아흐메드를 확인 사살하였다.] || || Franck Brinsolaro || 경호원 || == 범인 == || [[외부:https://pbs.twimg.com/media/GguMLfoW8AAPxQm?format=jpg&name=large|width=300]] || 테러를 실행한 용의자들은 쿠아시 형제로, 사이드 쿠아시(سعيد كواشي, Said Kouachi, 당시 34세)와 셰리프 쿠아시(شريف كواشي, Cherif Kouachi, 당시 32세)였다. 초기에는 샤르리 엡도가 IS를 조롱하는 만평을 게재한 전력이 있어 IS의 소행으로 의심되었으나, 관련 증언과 수사를 통해 AQAP의 소행임이 확실시되었다. 이들은 테러를 저지른 뒤 차량을 탈취해 파리 북서부로 도주했다. 그리고 2015년 1월 9일 디마르탱 엉 고엘르 마을에 위치한 한 간판 제작사에 난입하여 여성 1명을 인질로 잡고 인질극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자신들이 예멘 알카에다 소속임을 밝혔으며, 순교자로 죽고 싶다고 말했다. 현지 시각 오후 4시(한국 시각 1월 10일 오전 1시)에 GIGN이 진압 작전을 개시하여 범인들을 사살했고, 인질로 잡힌 여성은 무사히 구출되었다. 주변 이웃들은 쿠아시 형제에 대해 "친절했고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할 정도로 박애정신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증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외의 증언은 오히려 대중들 사이에서 무슬림 전체에 대한 공포를 확산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 반응 == 사건 직후 테러 규탄 및 희생자 추모를 위한 시위가 프랑스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각국에서 일어났다. 특히 내가 샤를리다(Je suis Charlie)라는 슬로건이 널리 퍼지며 표현의 자유 수호를 촉구하는 움직임이 거세게 일었다. 각국 지도자들은 이번 테러 사건을 강력히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교황 프란치스코는 추도 전문을 보냈다. == 영상 == [youtube(jZh1MttPhPc)] [Include(틀:가져옴,O=구스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50316121245/http://gooswiki.com:80/index.php?title=%EC%83%A4%EB%A5%BC%EB%A6%AC_%EC%97%A1%EB%8F%84_%ED%85%8C%EB%9F%AC%EC%82%AC%EA%B1%B4|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