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72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3:08:34] √2
[02:05:46] 아이온 갤러리
[02:05:38] 하루한끼 one meal...
[02:05:32] 수학 갤러리
[11:21:56] 오개념/국가
[11:20:59] 오개념/국가
[11:17:13] 편견/국가
[11:14:34] 편견/국가
[11:14:17] 편견
[11:13:52] 편견/국가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세가 마크3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2><table align=right> {{{+1 세가 마크3}}} || ||<-2><bgcolor=#fff> [[외부:https://i.imgur.com/h9vwNwL.jpg|width=400]] || || 일본어 || セガ マークIII || || 영어 || SEGA MarkIII || || 세대 || 3세대 || || 개발사 || [[세가]] || || 발매 || 1985년 10월 20일 || || 매체 || 롬 카트리지, 세가 마이카드 || || 저장매체 || 카트리지 내장 배터리 백업메모리 || || 호환기기 || [[세가 마스터 시스템]] || || 하위호환 || [[SG-1000]], SC-3000 || || 상위호환 || [[메가드라이브]] || || CPU || 자일로그 Z80A || || 메인 메모리 || 8KB || || 비디오 메모리 || 16KB || || 그래픽칩 || TI TMS9918A || || 해상도 || 256*192, 256*224 (NTSC), 256*240 (PAL/SECAM) || || 색상 || 64색 중 16색 || || 화면 출력 || RF단자 || || 사운드칩 || TI SN76489 || || 음원 || PSG 4채널 모노(3채널 구형파+1채널 노이즈) || || 음원 출력 || 모노 || || 전원 || 어댑터 (9V 850mA) || || 에뮬레이터 || Fusion || 정식 명칭은 ‘SG-1000 Mark III’, 통칭 세가 마크 III(세가 마크 쓰리)로 불리우는 게임기. [[세가]]에서 발매된 가정용 게임기로 1985년 10월 일본에서 처음 발매되었다. 기기 자체는 3세대 게임기로, 기본적으로 패밀리 컴퓨터와 대결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세가 [[SG-1000]]의 완성형이라고 할 수 있다. 아케이드 시장에서 날리던 세가에서 만든 가정용 게임기답게 성능 면에서는 닌텐도의 경쟁기종인 패밀리보다 앞섰으나 서드파티 제도를 도입하지 않아 세가 자사의 게임만 발매되었기 때문에 서드파티에서 수많은 게임들을 내놓는 패밀리와의 경쟁에서 뒤져 일본에서는 큰 흥행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그러나 선행 기종인 세가 SG-1000과 SC-3000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과 세가의 유명작이 공급된다는 점 등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87년에는 세가마크3에 연사 패드와 FM사운드팩(일본, 한국 외 지역은 옵션), 3D안경 어댑터를 탑재한 개량 버전인 세가 마스터 시스템 (SEGA Master System)으로 해외 시장에 발매, 이 즈음 시기상 일본에서 발매된 메가드라이브와 시대가 겹치면서도 게임기어와 스펙을 공유함으로서 소프트 생명주기를 늘림으로서 소프트가 장기간 공급된 점 등이 어필해 유럽과 남미 등지에서 큰 흥행에 성공하면서 도합 1500만대가 넘는 판매량을 보인 시리즈이다. 주요 흥행 기기 자체가 마스터 시스템인만큼 자세한 사항은 [[세가 마스터 시스템]]을 참조하도록 하자. == 스펙 == 통일성을 위해 마스터 시스템으로 이관하니 마스터 시스템 항목을 참조. 여기서는 차이만을 언급하도록 한다. * 3D안경 어댑터 별매 : 마스터 시스템에는 기본 내장 * FM 사운드 유닛 별매 : 일본판 마스터 시스템은 기본 내장 * 패드 연사 버튼 없음 : 마스터 시스템은 기본 장착 == 악세서리 == === 텔레콘 팩 === 세가 마크III는 출력에 RF케이블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세가 마크III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공중파 TV를 시청할 수 없다. 그 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별매 어댑터. === 테레비 오에카키 === 투명한 플라스틱 태블릿과 일체화된 오에카키 소프트웨어. 조이패드와 태블릿으로 조작을 하고, 화면에 그 결과가 나온다. SC-3000과 SG-1000, 멀티비젼 및 SD-G5에서도 사용 가능. === FM 사운드 유닛 === YM2413 대응 게임 40여종을 위한 주변기기. 마이 카드 슬롯에 꽂아 사용한다. 마스터 시스템에서는 그 의미가 없다. 3-D 어댑터와의 동시 사용은 불가능. === 3D 글라스 === 잭슨 3D, 스페이스 해리어 3D 등의 입체 영상 게임을 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이다. TV에서의 영상은 좌측과 우측이 매 프레임마다 전환되어 나와 화면이 흔들리는것 처럼 느껴지므로, 옵션/치트로 2D 모드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게임에서 필수적이다. 마크 III나 마스터 시스템/파워 베이스에서는 구매시 동봉된 3-D 어댑터를 마이 카드 슬롯에 꽂아 3D 안경 입력단자로 사용할 수 있다. FM사운드 유닛과의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다. === 스포츠 패드 === 스포츠 패드 사커 전용 필수 주변기기. 버튼부와 방향부의 위치가 바뀌었으며, 트랙볼을 채택. 출시당시 별매품으로의 가격은 9800엔.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725225927/https://wiki.nex32.net/%EA%B2%8C%EC%9E%84%EA%B8%B0/%EC%84%B8%EA%B0%80_%EB%A7%88%ED%81%AC3|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2><table align=right> {{{+1 세가 마크3}}} || ||<-2><bgcolor=#fff> [[외부:https://i.imgur.com/h9vwNwL.jpg|width=400]] || || 일본어 || セガ マークIII || || 영어 || SEGA MarkIII || || 세대 || 3세대 || || 개발사 || [[세가]] || || 발매 || 1985년 10월 20일 || || 매체 || 롬 카트리지, 세가 마이카드 || || 저장매체 || 카트리지 내장 배터리 백업메모리 || || 호환기기 || [[세가 마스터 시스템]] || || 하위호환 || [[SG-1000]], SC-3000 || || 상위호환 || [[메가드라이브]] || || CPU || 자일로그 Z80A || || 메인 메모리 || 8KB || || 비디오 메모리 || 16KB || || 그래픽칩 || TI TMS9918A || || 해상도 || 256*192, 256*224 (NTSC), 256*240 (PAL/SECAM) || || 색상 || 64색 중 16색 || || 화면 출력 || RF단자 || || 사운드칩 || TI SN76489 || || 음원 || PSG 4채널 모노(3채널 구형파+1채널 노이즈) || || 음원 출력 || 모노 || || 전원 || 어댑터 (9V 850mA) || || 에뮬레이터 || Fusion || 정식 명칭은 ‘SG-1000 Mark III’, 통칭 세가 마크 III(세가 마크 쓰리)로 불리우는 게임기. [[세가]]에서 발매된 가정용 게임기로 1985년 10월 일본에서 처음 발매되었다. 기기 자체는 3세대 게임기로, 기본적으로 패밀리 컴퓨터와 대결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세가 [[SG-1000]]의 완성형이라고 할 수 있다. 아케이드 시장에서 날리던 세가에서 만든 가정용 게임기답게 성능 면에서는 닌텐도의 경쟁기종인 패밀리보다 앞섰으나 서드파티 제도를 도입하지 않아 세가 자사의 게임만 발매되었기 때문에 서드파티에서 수많은 게임들을 내놓는 패밀리와의 경쟁에서 뒤져 일본에서는 큰 흥행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그러나 선행 기종인 세가 SG-1000과 SC-3000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과 세가의 유명작이 공급된다는 점 등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87년에는 세가마크3에 연사 패드와 FM사운드팩(일본, 한국 외 지역은 옵션), 3D안경 어댑터를 탑재한 개량 버전인 세가 마스터 시스템 (SEGA Master System)으로 해외 시장에 발매, 이 즈음 시기상 일본에서 발매된 메가드라이브와 시대가 겹치면서도 게임기어와 스펙을 공유함으로서 소프트 생명주기를 늘림으로서 소프트가 장기간 공급된 점 등이 어필해 유럽과 남미 등지에서 큰 흥행에 성공하면서 도합 1500만대가 넘는 판매량을 보인 시리즈이다. 주요 흥행 기기 자체가 마스터 시스템인만큼 자세한 사항은 [[세가 마스터 시스템]]을 참조하도록 하자. == 스펙 == 통일성을 위해 마스터 시스템으로 이관하니 마스터 시스템 항목을 참조. 여기서는 차이만을 언급하도록 한다. * 3D안경 어댑터 별매 : 마스터 시스템에는 기본 내장 * FM 사운드 유닛 별매 : 일본판 마스터 시스템은 기본 내장 * 패드 연사 버튼 없음 : 마스터 시스템은 기본 장착 == 악세서리 == === 텔레콘 팩 === 세가 마크III는 출력에 RF케이블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세가 마크III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공중파 TV를 시청할 수 없다. 그 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별매 어댑터. === 테레비 오에카키 === 투명한 플라스틱 태블릿과 일체화된 오에카키 소프트웨어. 조이패드와 태블릿으로 조작을 하고, 화면에 그 결과가 나온다. SC-3000과 SG-1000, 멀티비젼 및 SD-G5에서도 사용 가능. === FM 사운드 유닛 === YM2413 대응 게임 40여종을 위한 주변기기. 마이 카드 슬롯에 꽂아 사용한다. 마스터 시스템에서는 그 의미가 없다. 3-D 어댑터와의 동시 사용은 불가능. === 3D 글라스 === 잭슨 3D, 스페이스 해리어 3D 등의 입체 영상 게임을 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이다. TV에서의 영상은 좌측과 우측이 매 프레임마다 전환되어 나와 화면이 흔들리는것 처럼 느껴지므로, 옵션/치트로 2D 모드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게임에서 필수적이다. 마크 III나 마스터 시스템/파워 베이스에서는 구매시 동봉된 3-D 어댑터를 마이 카드 슬롯에 꽂아 3D 안경 입력단자로 사용할 수 있다. FM사운드 유닛과의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다. === 스포츠 패드 === 스포츠 패드 사커 전용 필수 주변기기. 버튼부와 방향부의 위치가 바뀌었으며, 트랙볼을 채택. 출시당시 별매품으로의 가격은 9800엔.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725225927/https://wiki.nex32.net/%EA%B2%8C%EC%9E%84%EA%B8%B0/%EC%84%B8%EA%B0%80_%EB%A7%88%ED%81%AC3|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