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9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쉬다오완 발전소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중국]] ||<table align=right><-3> '''{{{+2 쉬다오완 발전소[* 스다오만 발전소라고도 부른다.]}}}''' [br]石岛湾核电站[* 석도만핵전참] / Shidao Bay Nuclear Power Plant || ||<-2> 좌표 || 36° 58′ 20″ N, 122° 31′ 44″ E || ||<-2> 원자로 || 페블베드 원자로 || ||<-2> 형식 || HTGR || ||<|2> 목록 || 가동 || 1 x 200 MW || || 건설 || 1 × 1000 MW[br]4 × 1250 MW[br]1 × 1400 MW[br]1 × 1700 MW || == 개요 == [[중국]]의 원자력 발전소. 2012년 12월 9일 착공[* 원래 2011년 착공 예정이었으나 [[inter:나무위키: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으로 중국에서 진행중이던 모든 원전 프로젝트가 중지되면서 연기되었다.]하여 현재 건설중에 있으며, 1500억 위안의 투자액이 들어간 중국 최대의 원전이기도 하다.[* 목표 발전용량도 660만kW다.] 건설 투자에 화넝, CNNC, [[칭화대학]]이 공동으로 투자하였으며, 건설 과정에서 중국의 자체 개발 4세대 원전 기술이 활용되었다고 한다. [[https://overseas.mofa.go.kr/cn-qingdao-ko/brd/m_1414/view.do?seq=1079300|#]] 본래는 2017년부터 시험운전 예정이었으나 계속 연기되어, 2021년 12월부터 발전을 시작하였다. [[http://kr.people.com.cn/n3/2021/1221/c207467-9935751.html|#]] == 한국 == 한국의 연평도에서 불과 200km[* 직선거리. 강화도에서는 348㎞이다.] 떨어져 있어서, 사고나 문제가 생기면 바닷물이나 편서풍으로 방사능 피해가 우려되어 걱정된다는 시각이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10480471|#]]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cbyh&wr_id=21|##]] 전문가의 의견에 따르면 만약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한나절이면 요오드가 실려와서 사흘 안에 한반도 전역에 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http://www.ske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3899|#]]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중국]] ||<table align=right><-3> '''{{{+2 쉬다오완 발전소[* 스다오만 발전소라고도 부른다.]}}}''' [br]石岛湾核电站[* 석도만핵전참] / Shidao Bay Nuclear Power Plant || ||<-2> 좌표 || 36° 58′ 20″ N, 122° 31′ 44″ E || ||<-2> 원자로 || 페블베드 원자로 || ||<-2> 형식 || HTGR || ||<|2> 목록 || 가동 || 1 x 200 MW || || 건설 || 1 × 1000 MW[br]4 × 1250 MW[br]1 × 1400 MW[br]1 × 1700 MW || == 개요 == [[중국]]의 원자력 발전소. 2012년 12월 9일 착공[* 원래 2011년 착공 예정이었으나 [[inter:나무위키: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으로 중국에서 진행중이던 모든 원전 프로젝트가 중지되면서 연기되었다.]하여 현재 건설중에 있으며, 1500억 위안의 투자액이 들어간 중국 최대의 원전이기도 하다.[* 목표 발전용량도 660만kW다.] 건설 투자에 화넝, CNNC, [[칭화대학]]이 공동으로 투자하였으며, 건설 과정에서 중국의 자체 개발 4세대 원전 기술이 활용되었다고 한다. [[https://overseas.mofa.go.kr/cn-qingdao-ko/brd/m_1414/view.do?seq=1079300|#]] 본래는 2017년부터 시험운전 예정이었으나 계속 연기되어, 2021년 12월부터 발전을 시작하였다. [[http://kr.people.com.cn/n3/2021/1221/c207467-9935751.html|#]] == 한국 == 한국의 연평도에서 불과 200km[* 직선거리. 강화도에서는 348㎞이다.] 떨어져 있어서, 사고나 문제가 생기면 바닷물이나 편서풍으로 방사능 피해가 우려되어 걱정된다는 시각이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10480471|#]]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cbyh&wr_id=21|##]] 전문가의 의견에 따르면 만약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한나절이면 요오드가 실려와서 사흘 안에 한반도 전역에 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http://www.ske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3899|#]]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