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80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6:01:15] 목이케이
[16:01:13] 롯데리아 갤러리
[15:32:31] 孝
[15:15:42] 효도
[21:33:05] 논리적 오류
[18:47:59] 논리적 오류
[00:47:19] 마쓰춘
[00:47:13] 유덕화
[00:47:00] 이위당관
[00:46:47] 해양경찰 마이너 갤러리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시내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자유인사전]] 한 도시가 생겨날 때 그 중심이 되는 곳. 즉, 오래전에 발생해 상업이 발달하고 관공서가 들어서 있는 곳이다. == 특징 == 거의 대부분의 대도시 시내는 가장 상업이 번영한 곳이 차량진입금지 보행자도로로 되어있다. 배경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현대의 시내는 거의 일제 시대때 본정통(혼마찌도리,本町通り)이라는 큰 길을 설정해놓고 발전했던으며, 이에 상점이 계속 그 주변에 오밀조밀하게 밀집하다보니 보행하는 유동인구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차가 진입하기 어려워지다가 결국 사고를 막기위해 차량 진입을 아예 금지시킨 것. 전형적인 일본식 도시구조이다. 서울의 시내는 엄밀히 말하면 종로 일대이다. == 계획도시 == 서울, 경기도 대도시에 사는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개념이다. 당연히 수원 정도가 아니면 자연스럽게 발전한 동네가 아니기 때문이다. 신도시, 뉴타운 사업으로 조성된 구역으로 도심에서 살던 사람들이 옮겨가고 또 다른 시내를 만들어 내면서 시내의 구분 자체가 의미 없어진다. 예를 들면, 성남시라는 허허벌판에 급조되어 나온 도시도 결국 가장 가까운 모란시장 일대를 엄밀한 의미의 시내로 칠 수 있지만, 분당신도시라는 어마어마한 신도시가 같은 시(市) 안에 생겨버려서 그 위상이 하락하는 경우가 있다. 서울은 박정희 때 삼핵화 개발 이전에도 마포, 청량리 같은 강북의 한성 변두리의 큰 상권이 있었다. 심지어는 시내 바로 옆에도 일제가 아사히마찌(회현동), 혼마찌(명동), 에이라쿠마찌(저동) 등 남촌 일대를 개발하면서 시내를 구분하는 의미가 없어졌다. 이래서 지금 이 종로부터 경복궁, 명동, 남대문 등 일대를 도심이라고 뭉뚱그려 표현한다. 현대에는 지하철 역세권이 생기면서 굳이 시내라는 곳을 찾아가지 않아도 될 정도로 지하철 역 근처의 상권이 크기 때문에 시내를 의식하지 않는 면도 있다. == 각 도시의 시냇길 == 각 시내를 대표하는 시장과 길을 모아본다 === 수도권 === * 수원: 팔달문 일대 * 성남: 종합시장 일대, 신흥역 주변. * 남양주: 퇴계원 === 강원 === * 춘천: 명동길[* 서울이랑 어원이 똑같다. 일제시대에 명치정이라는 이름에서 나옴.] === 충청 === * 대전: 으능정이 일대 * 청주: 육거리시장, 성안길 일대 === 호남 === * 광주: 충장로 일대. === 영남 === * 대구: 동성로 일대 == 영상 == [youtube(NfZu8bRGVoI)] [Include(틀:가져옴,O=자유인사전,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200812054428/https://licentium.net/w/index.php?title=%EC%8B%9C%EB%82%B4&diff=26088&oldid=23177|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자유인사전]] 한 도시가 생겨날 때 그 중심이 되는 곳. 즉, 오래전에 발생해 상업이 발달하고 관공서가 들어서 있는 곳이다. == 특징 == 거의 대부분의 대도시 시내는 가장 상업이 번영한 곳이 차량진입금지 보행자도로로 되어있다. 배경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현대의 시내는 거의 일제 시대때 본정통(혼마찌도리,本町通り)이라는 큰 길을 설정해놓고 발전했던으며, 이에 상점이 계속 그 주변에 오밀조밀하게 밀집하다보니 보행하는 유동인구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차가 진입하기 어려워지다가 결국 사고를 막기위해 차량 진입을 아예 금지시킨 것. 전형적인 일본식 도시구조이다. 서울의 시내는 엄밀히 말하면 종로 일대이다. == 계획도시 == 서울, 경기도 대도시에 사는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개념이다. 당연히 수원 정도가 아니면 자연스럽게 발전한 동네가 아니기 때문이다. 신도시, 뉴타운 사업으로 조성된 구역으로 도심에서 살던 사람들이 옮겨가고 또 다른 시내를 만들어 내면서 시내의 구분 자체가 의미 없어진다. 예를 들면, 성남시라는 허허벌판에 급조되어 나온 도시도 결국 가장 가까운 모란시장 일대를 엄밀한 의미의 시내로 칠 수 있지만, 분당신도시라는 어마어마한 신도시가 같은 시(市) 안에 생겨버려서 그 위상이 하락하는 경우가 있다. 서울은 박정희 때 삼핵화 개발 이전에도 마포, 청량리 같은 강북의 한성 변두리의 큰 상권이 있었다. 심지어는 시내 바로 옆에도 일제가 아사히마찌(회현동), 혼마찌(명동), 에이라쿠마찌(저동) 등 남촌 일대를 개발하면서 시내를 구분하는 의미가 없어졌다. 이래서 지금 이 종로부터 경복궁, 명동, 남대문 등 일대를 도심이라고 뭉뚱그려 표현한다. 현대에는 지하철 역세권이 생기면서 굳이 시내라는 곳을 찾아가지 않아도 될 정도로 지하철 역 근처의 상권이 크기 때문에 시내를 의식하지 않는 면도 있다. == 각 도시의 시냇길 == 각 시내를 대표하는 시장과 길을 모아본다 === 수도권 === * 수원: 팔달문 일대 * 성남: 종합시장 일대, 신흥역 주변. * 남양주: 퇴계원 === 강원 === * 춘천: 명동길[* 서울이랑 어원이 똑같다. 일제시대에 명치정이라는 이름에서 나옴.] === 충청 === * 대전: 으능정이 일대 * 청주: 육거리시장, 성안길 일대 === 호남 === * 광주: 충장로 일대. === 영남 === * 대구: 동성로 일대 == 영상 == [youtube(NfZu8bRGVoI)] [Include(틀:가져옴,O=자유인사전,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200812054428/https://licentium.net/w/index.php?title=%EC%8B%9C%EB%82%B4&diff=26088&oldid=23177|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