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56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애더미아 제국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분류:애더미아 제국]] 애더미아 제국은 [[영국]] 요크셔에 있는 [[초소형국민체]]이다. == 개요 == ||<-2> 애더미아 제국의 국가 정보 || || 국명 || 애더미아 제국(Empire of Adammia) || || 건국일 || 2013년 4월 13일 || || 표어 || Quaerentibus sapientiam et honorem[* 라틴어로는 Seek wisdom and honour] || || 국가 || [[https://www.youtube.com/watch?v=L-I1x5Ic9Dw|Chariots of Fire]] || || 면적 || 3015 제곱미터 || || 위치 || 영국 요크셔 일대 || || 인구 || 70여명 || || 수도 || 프리모리아(Primoria) || || 정치체제 || 제국, 군주정 || || 군주 || 황제 애덤 1세 || || 정부수반 || 총리 제인 황태후 || || 공용어 || 영어 || || 수호성인 || 성 게이브 뉴웰 || || 정부 홈페이지 || [[http://www.empireofadammia.org.uk/|empireofadammia.org.uk]] || == 역사 == 2013년 4월 13일, 애덤 벨처(Adam Belcher)가 자신의 이름을 딴 애더미아 제국을 창건하였다. 참고로 창건 계기는 역사 숙제를 하던 중 발견한 초소형국민체주의(micronationalism)가 계기였다고 한다. [[http://www.empireofadammia.org.uk/monarchy/adam-i/|#]] 제국의 첫 영토는 황제 자신의 침실이었으며, 이후 제국의 영토는 벨처 일가의 집, 할아버지 등 친척의 집과 사유지 등으로 넓어졌으며, 벨처 가문 사람들은 이를 반쯤은 진지하게, 반쯤은 유쾌한 장난으로 받아들이고 제국에 동참하고 있다. == 지리 == 애더미아 제국의 수도이자 황제의 거처는 프리모리아(Primoria)로, 원래 벨처 일가의 집이었다. 프리모리아의 면적은 218 제곱미터이다. 또한 애더미아 제국은 프리모리아 외에 마테르니아, 마이웨이, 티타니아, 워터피아 등의 월경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애더미아에 가입한 미국인의 사유지도 해외 식민지로 거느리고 있다. == 정치 == 초기에는 황제에게 전권이 있는 전제군주정이었으나, 곧 [[통치 의회]](Ruling Council)라는 최고 입법 기관이 생기면서 입헌군주제가 되었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총선은 2015년 8월이었다. === 역대 황제 === || || 이름 || 생몰년 || 재위기간 || || 1대 || 애덤 1세(애덤 벨처) || 1998 ~ || 2013년 4월 13일 ~ || || 황태제 || 다니엘 벨처 || 1999 ~ || - || === 역대 총리 === [[통치 의회]] 문서 참조. == 경제 == 영국 파운드 스털링을 공식 화폐로 채택하였다. 또한 제국 내의 기업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기업청도 2014년에 설립되었으나 제대로 굴러가고 있는지 여부는 의심스럽다. 자세한 사항은 [[애더미아 제국 기업청]] 문서 참조. == 트리비아 == 제국의 수호성인은 밸브 코퍼레이션의 창업주인 게이브 뉴웰(Gabe Newell)이다. 멀쩡히 살아있는 사람을 죽은 사람으로 만드는 만행[* 오직 죽은 이만이 시성될 수 있다.]을 선보인 셈이다.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80312101133/http://red.wi.kiwi/%EC%95%A0%EB%8D%94%EB%AF%B8%EC%95%84_%EC%A0%9C%EA%B5%AD|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분류:애더미아 제국]] 애더미아 제국은 [[영국]] 요크셔에 있는 [[초소형국민체]]이다. == 개요 == ||<-2> 애더미아 제국의 국가 정보 || || 국명 || 애더미아 제국(Empire of Adammia) || || 건국일 || 2013년 4월 13일 || || 표어 || Quaerentibus sapientiam et honorem[* 라틴어로는 Seek wisdom and honour] || || 국가 || [[https://www.youtube.com/watch?v=L-I1x5Ic9Dw|Chariots of Fire]] || || 면적 || 3015 제곱미터 || || 위치 || 영국 요크셔 일대 || || 인구 || 70여명 || || 수도 || 프리모리아(Primoria) || || 정치체제 || 제국, 군주정 || || 군주 || 황제 애덤 1세 || || 정부수반 || 총리 제인 황태후 || || 공용어 || 영어 || || 수호성인 || 성 게이브 뉴웰 || || 정부 홈페이지 || [[http://www.empireofadammia.org.uk/|empireofadammia.org.uk]] || == 역사 == 2013년 4월 13일, 애덤 벨처(Adam Belcher)가 자신의 이름을 딴 애더미아 제국을 창건하였다. 참고로 창건 계기는 역사 숙제를 하던 중 발견한 초소형국민체주의(micronationalism)가 계기였다고 한다. [[http://www.empireofadammia.org.uk/monarchy/adam-i/|#]] 제국의 첫 영토는 황제 자신의 침실이었으며, 이후 제국의 영토는 벨처 일가의 집, 할아버지 등 친척의 집과 사유지 등으로 넓어졌으며, 벨처 가문 사람들은 이를 반쯤은 진지하게, 반쯤은 유쾌한 장난으로 받아들이고 제국에 동참하고 있다. == 지리 == 애더미아 제국의 수도이자 황제의 거처는 프리모리아(Primoria)로, 원래 벨처 일가의 집이었다. 프리모리아의 면적은 218 제곱미터이다. 또한 애더미아 제국은 프리모리아 외에 마테르니아, 마이웨이, 티타니아, 워터피아 등의 월경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애더미아에 가입한 미국인의 사유지도 해외 식민지로 거느리고 있다. == 정치 == 초기에는 황제에게 전권이 있는 전제군주정이었으나, 곧 [[통치 의회]](Ruling Council)라는 최고 입법 기관이 생기면서 입헌군주제가 되었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총선은 2015년 8월이었다. === 역대 황제 === || || 이름 || 생몰년 || 재위기간 || || 1대 || 애덤 1세(애덤 벨처) || 1998 ~ || 2013년 4월 13일 ~ || || 황태제 || 다니엘 벨처 || 1999 ~ || - || === 역대 총리 === [[통치 의회]] 문서 참조. == 경제 == 영국 파운드 스털링을 공식 화폐로 채택하였다. 또한 제국 내의 기업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기업청도 2014년에 설립되었으나 제대로 굴러가고 있는지 여부는 의심스럽다. 자세한 사항은 [[애더미아 제국 기업청]] 문서 참조. == 트리비아 == 제국의 수호성인은 밸브 코퍼레이션의 창업주인 게이브 뉴웰(Gabe Newell)이다. 멀쩡히 살아있는 사람을 죽은 사람으로 만드는 만행[* 오직 죽은 이만이 시성될 수 있다.]을 선보인 셈이다.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80312101133/http://red.wi.kiwi/%EC%95%A0%EB%8D%94%EB%AF%B8%EC%95%84_%EC%A0%9C%EA%B5%AD|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