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왕조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 [[외부:https://i.imgur.com/wfcddlv.jpeg|width=500px]] 왕조(王朝, Dynasty)는 군주국의 [[군주]] 작위를 대대로 세습하는 통치가문 또는 그러한 가문이 다스리는 시대를 말한다. == 상세 == 왕조란 [[군주정]]을 채택한 국가에서 황제, 왕 등의 군주 작위를 대대로 세습하는 가문으로, 다른 말로는 왕가라고 일컫는다. 다만 왕조는 아예 그 국가 자체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압바스 왕조, 아이유브 왕조 등] 유럽 국가에서는 왕조가 바뀌어도 보통 나라의 이름은 바뀌지 않았으나, 동양권에서는 왕조가 곧 국가였기 때문에 쿠데타 등으로 왕조가 뒤바뀌면 곧 나라가 바뀌는 것이었다. 카페-발루아-부르봉으로 이어지는 프랑스의 왕조와 매번 왕성이 바뀔 때마다 나라 이름도 같이 바뀌었던 [[한국]]의 역사를 생각하면 비교가 쉽다. 하지만 국명이 변했건 변하지 않았건 왕조가 뒤바뀌는 것은 역사적으로 큰 변화가 있는 반환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역사적인 시대를 나누는 기준점이 된다. 유럽에서 왕국, 제국 등의 왕조는 House of ~로 칭하지만, 격이 낮은 제후국의 왕조는 ~ Family로 낮춰서 부른다. == 목록 == * 팔라왕조 * 프라티하라왕조 * 라슈트라쿠타왕조 == 초소형국민체 == 군주정을 정치 제도로 채택한 [[초소형국민체]]는 일반적으로 창립자가 초대 군주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라도니아 공화왕국 등의 특수한 예외 사례가 있다.] 이렇게 창업군주가 새로이 개창한 왕조가 2대 이상 세습에 성공한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보통은 설립자의 관심이 줄어들면서 단명하는 것으로 끝난다. 따라서 세습에 성공했거나, 선거제 등을 택해서 세습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수십년간 여러 대를 거쳐서 이어진 군주의 계보를 가진 초소형국민체는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히 높게 칠 수 있다. === 목록 === * [[라도니아 공화왕국]] : 셸비 왕조[* 여성 상속제를 실시하는 왕조이다.] * [[시랜드 공국]] : 베이츠 왕조 * [[헛리버 공국]] : [[캐슬리 공가]] * ~~소제 왕국 : 푸르셰트 왕조~~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web.archive.org/web/20180214011229/http://red.wi.kiwi/%EC%99%95%EC%A1%B0|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 [[외부:https://i.imgur.com/wfcddlv.jpeg|width=500px]] 왕조(王朝, Dynasty)는 군주국의 [[군주]] 작위를 대대로 세습하는 통치가문 또는 그러한 가문이 다스리는 시대를 말한다. == 상세 == 왕조란 [[군주정]]을 채택한 국가에서 황제, 왕 등의 군주 작위를 대대로 세습하는 가문으로, 다른 말로는 왕가라고 일컫는다. 다만 왕조는 아예 그 국가 자체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압바스 왕조, 아이유브 왕조 등] 유럽 국가에서는 왕조가 바뀌어도 보통 나라의 이름은 바뀌지 않았으나, 동양권에서는 왕조가 곧 국가였기 때문에 쿠데타 등으로 왕조가 뒤바뀌면 곧 나라가 바뀌는 것이었다. 카페-발루아-부르봉으로 이어지는 프랑스의 왕조와 매번 왕성이 바뀔 때마다 나라 이름도 같이 바뀌었던 [[한국]]의 역사를 생각하면 비교가 쉽다. 하지만 국명이 변했건 변하지 않았건 왕조가 뒤바뀌는 것은 역사적으로 큰 변화가 있는 반환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역사적인 시대를 나누는 기준점이 된다. 유럽에서 왕국, 제국 등의 왕조는 House of ~로 칭하지만, 격이 낮은 제후국의 왕조는 ~ Family로 낮춰서 부른다. == 목록 == * 팔라왕조 * 프라티하라왕조 * 라슈트라쿠타왕조 == 초소형국민체 == 군주정을 정치 제도로 채택한 [[초소형국민체]]는 일반적으로 창립자가 초대 군주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라도니아 공화왕국 등의 특수한 예외 사례가 있다.] 이렇게 창업군주가 새로이 개창한 왕조가 2대 이상 세습에 성공한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보통은 설립자의 관심이 줄어들면서 단명하는 것으로 끝난다. 따라서 세습에 성공했거나, 선거제 등을 택해서 세습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수십년간 여러 대를 거쳐서 이어진 군주의 계보를 가진 초소형국민체는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히 높게 칠 수 있다. === 목록 === * [[라도니아 공화왕국]] : 셸비 왕조[* 여성 상속제를 실시하는 왕조이다.] * [[시랜드 공국]] : 베이츠 왕조 * [[헛리버 공국]] : [[캐슬리 공가]] * ~~소제 왕국 : 푸르셰트 왕조~~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web.archive.org/web/20180214011229/http://red.wi.kiwi/%EC%99%95%EC%A1%B0|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