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핀란드-환국 극초전쟁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자유인사전]] |핀란드-환국 극초전쟁[br]Finno-Korean Hyperwar|<-2><table align=right> [[외부:https://pbs.twimg.com/media/FEBdpa4WUAoVTjT.png:large|width=450]] || || 날짜 ||8245 BC ~ 6172 BC[br](2073년간) || || 장소 ||유럽, 아시아, 레무리아, 이집트, 외부 우주 등 || || 결과 ||네피림들이 떠남 (약 8000 BC) * 레무리아 대륙이 사라짐[br]환국 내전 (6201 ~ ? BC) * 환국 정권의 패배: 대환제국의 붕괴[br]인도-유럽 반란 (약 6000 BC) * 제3차 네안데르탈인 대학살[br]핀란드, 자폐증과의 전쟁 진행중[br]고대 핀란드 신성 로마 카간국의 영토 분할[br]환국의 아프리카 양도 || ||<-2> 교전국 || ||대환제국 ||고대 핀란드 신성 로마 카간국[br]레무리아 코뮌 || ||<-2> 지휘관 || ||조선[br]칭총[br]소녀시대[br]†성룡 (논쟁중)[br]오비완 케노비[br]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Spurdo Spärde I Spurdo[br]Spärda Spärdo I Spurdo[br]Spürdo Spärde II Spurdo[br]프레드 맥플리 로저스[br]징기스 칸[br]ņ̸̢̣͂͜g̴̬͍̺͌͆͛́͠͝e̴̗̼̿́=̷̭̣̬̤̐̾̐́̈́ỏ̴̦͚͕͎̪̫͋̄l̵̙̟̱̥͖͑̊̑̏͒̍̈ă̷̪͇̫͍̓̑̃́̀̆w̵͓̆̀̓i̸̗̦͈̿͜o̷̙̿ͅp̸̼̆̇ of Lemuria || ||<-2> 병력 || ||제국 제다이 기사 500명[br]강화 기마병 20530명[br]대제국 우주함대[br]환국 고대 닌자 300명[br]성룡 ||웅(熊)기병 2100명[br]고대 기마궁수 21000명[br]레무리아 함대[br]스위스 용병 2500명[br]티라노사우루스 렉스 || ||<-2> 피해 상황 || ||극심한 지상 손실[br]기사 400명, 군인 800명 포로로 잡힘[br]사상자 수 알 수 없음[br]제국 우주함대 증발[br]대환제국의 붕괴[br]평균 자지 길이 3인치 상실 ||극심한 지상 손실[br]약 200만명 사망, 1천만명 이상 부상[br]레무리아 대륙, 세력 소실[br]고대 핀란드 신성 로마 카간국의 분할 및 해산[br]핀란드인의 사회성 상실 || [clearfix] == 개요 == 고대에 핀란드 대제국과 환제국 간에 벌어졌던 대전쟁이다. 또는 환핀대전이라고도 한다. 우주 전함을 건조했을 정도로 강성했던 고대 인류 문명을 대부분 멸망시킨 이 전쟁은 그 규모로 인해 극초전쟁(Hyperwar)이라고 불리게 되며, 이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 잊혀지거나 하르마게돈, 라그나로크 등의 신화로 이어져 왔다.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 4대 문명은 고대의 슈퍼파워 둘이 격돌하고 몰락한 뒤, 극초 시대(Hyper Era)의 종말과 함께 찾아온 암흑시대를 거쳐 그 후손들이 다시 세운 문명이라 [[카더라]]. 위의 틀은 2000년 이상 지속되어온 전쟁을 아주 간략히 요약한 원본의 번역판이다. 원본은 [[https://i.kym-cdn.com/photos/images/newsfeed/002/566/418/4a8.png|이것]] == 영상 == [youtube(PKbQWtmTpjw)] [Include(틀:가져옴,O=자유인사전,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web.archive.org/web/20210621010634/https://licentium.net/wiki/%ED%95%80%EB%9E%80%EB%93%9C-%ED%99%98%EA%B5%AD_%EC%B4%88%EC%9B%94%EC%A0%84%EC%9F%81|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자유인사전]] |핀란드-환국 극초전쟁[br]Finno-Korean Hyperwar|<-2><table align=right> [[외부:https://pbs.twimg.com/media/FEBdpa4WUAoVTjT.png:large|width=450]] || || 날짜 ||8245 BC ~ 6172 BC[br](2073년간) || || 장소 ||유럽, 아시아, 레무리아, 이집트, 외부 우주 등 || || 결과 ||네피림들이 떠남 (약 8000 BC) * 레무리아 대륙이 사라짐[br]환국 내전 (6201 ~ ? BC) * 환국 정권의 패배: 대환제국의 붕괴[br]인도-유럽 반란 (약 6000 BC) * 제3차 네안데르탈인 대학살[br]핀란드, 자폐증과의 전쟁 진행중[br]고대 핀란드 신성 로마 카간국의 영토 분할[br]환국의 아프리카 양도 || ||<-2> 교전국 || ||대환제국 ||고대 핀란드 신성 로마 카간국[br]레무리아 코뮌 || ||<-2> 지휘관 || ||조선[br]칭총[br]소녀시대[br]†성룡 (논쟁중)[br]오비완 케노비[br]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Spurdo Spärde I Spurdo[br]Spärda Spärdo I Spurdo[br]Spürdo Spärde II Spurdo[br]프레드 맥플리 로저스[br]징기스 칸[br]ņ̸̢̣͂͜g̴̬͍̺͌͆͛́͠͝e̴̗̼̿́=̷̭̣̬̤̐̾̐́̈́ỏ̴̦͚͕͎̪̫͋̄l̵̙̟̱̥͖͑̊̑̏͒̍̈ă̷̪͇̫͍̓̑̃́̀̆w̵͓̆̀̓i̸̗̦͈̿͜o̷̙̿ͅp̸̼̆̇ of Lemuria || ||<-2> 병력 || ||제국 제다이 기사 500명[br]강화 기마병 20530명[br]대제국 우주함대[br]환국 고대 닌자 300명[br]성룡 ||웅(熊)기병 2100명[br]고대 기마궁수 21000명[br]레무리아 함대[br]스위스 용병 2500명[br]티라노사우루스 렉스 || ||<-2> 피해 상황 || ||극심한 지상 손실[br]기사 400명, 군인 800명 포로로 잡힘[br]사상자 수 알 수 없음[br]제국 우주함대 증발[br]대환제국의 붕괴[br]평균 자지 길이 3인치 상실 ||극심한 지상 손실[br]약 200만명 사망, 1천만명 이상 부상[br]레무리아 대륙, 세력 소실[br]고대 핀란드 신성 로마 카간국의 분할 및 해산[br]핀란드인의 사회성 상실 || [clearfix] == 개요 == 고대에 핀란드 대제국과 환제국 간에 벌어졌던 대전쟁이다. 또는 환핀대전이라고도 한다. 우주 전함을 건조했을 정도로 강성했던 고대 인류 문명을 대부분 멸망시킨 이 전쟁은 그 규모로 인해 극초전쟁(Hyperwar)이라고 불리게 되며, 이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 잊혀지거나 하르마게돈, 라그나로크 등의 신화로 이어져 왔다.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 4대 문명은 고대의 슈퍼파워 둘이 격돌하고 몰락한 뒤, 극초 시대(Hyper Era)의 종말과 함께 찾아온 암흑시대를 거쳐 그 후손들이 다시 세운 문명이라 [[카더라]]. 위의 틀은 2000년 이상 지속되어온 전쟁을 아주 간략히 요약한 원본의 번역판이다. 원본은 [[https://i.kym-cdn.com/photos/images/newsfeed/002/566/418/4a8.png|이것]] == 영상 == [youtube(PKbQWtmTpjw)] [Include(틀:가져옴,O=자유인사전,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web.archive.org/web/20210621010634/https://licentium.net/wiki/%ED%95%80%EB%9E%80%EB%93%9C-%ED%99%98%EA%B5%AD_%EC%B4%88%EC%9B%94%EC%A0%84%EC%9F%81|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