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 [[외부:https://images.hometheaterreview.com/htr-stateless/public_html/images/hi-res-audio.JPG]]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High-Resolution Audio, Hi-Res Audio)는 [[CD]] 음원보다 음질이 좋은 고음질 음원을 뜻하는 말이다. [[inter:위키백과:고해상도 오디오]]라고도 한다. == 상세 == [[일본]] JEITA, JAS와 [[소니]] 등이 공동으로 지정한 표준으로, 한국에서는 MQS(Master Quality Sound)나 [[하이파이]] 사운드, 24비트 음원 등으로도 불린다. CD 음원의 음질은 16비트/44.1kHz보다 더 높은 음질로 샘플링을 한다.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는 아날로그 녹음의 파형을 디지털로 최대한 유사하게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종류 == 24비트 음원이 현재 표준에 준하는 상태로 유통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샘플링 레이트는 24비트/96kHz이다. 그 외에도 24비트/48kHz, 192kHz, 384kHz 등 다양한 규격이 있으며 32비트 음원 또한 존재한다. 대체로 인코딩은 무손실 압축 포맷인 FLAC으로 되며, 애플의 빠와로 인해 ALAC도 점유율이 늘고 있다. 소니와 [[필립스]]가 SACD용으로 개발한 DSD라는 규격 또한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로 인정이 되고 있다. == 논란 == 이미 CD 음원이 인간의 가청 주파수 영역을 모두 담고 있기 때문에,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가 근본적인 음질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항상 논란거리이다. 실제 CD 음원과 차이가 느껴지는 경우도 음장 장난질을 쳤다는 것이 중론. 물론 하이파이를 넘어서 황금귀질에 빠지신 분들에게 이런 말을 꺼냈다간 집단 린치를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재생 == [[컴퓨터]]를 통해서도 재생할 수 있지만 컴퓨터에 들어간 내장 사운드 칩셋이 못미더운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대부분 DAP를 장만해서 재생을 한다. 소니 등에서 판매하는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대응 [[헤드폰]] 등도 있으면 좋다. 보통의 헤드폰은 가청 주파수 영역 이내만 구현하지만, 이런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대응 헤드폰은 더 넓은 주파수에 대응한다.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web.archive.org/web/20180312023610/http://red.wi.kiwi/%ED%95%98%EC%9D%B4_%EB%A0%88%EC%A1%B8%EB%A3%A8%EC%85%98_%EC%98%A4%EB%94%94%EC%98%A4|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 [[외부:https://images.hometheaterreview.com/htr-stateless/public_html/images/hi-res-audio.JPG]]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High-Resolution Audio, Hi-Res Audio)는 [[CD]] 음원보다 음질이 좋은 고음질 음원을 뜻하는 말이다. [[inter:위키백과:고해상도 오디오]]라고도 한다. == 상세 == [[일본]] JEITA, JAS와 [[소니]] 등이 공동으로 지정한 표준으로, 한국에서는 MQS(Master Quality Sound)나 [[하이파이]] 사운드, 24비트 음원 등으로도 불린다. CD 음원의 음질은 16비트/44.1kHz보다 더 높은 음질로 샘플링을 한다.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는 아날로그 녹음의 파형을 디지털로 최대한 유사하게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종류 == 24비트 음원이 현재 표준에 준하는 상태로 유통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샘플링 레이트는 24비트/96kHz이다. 그 외에도 24비트/48kHz, 192kHz, 384kHz 등 다양한 규격이 있으며 32비트 음원 또한 존재한다. 대체로 인코딩은 무손실 압축 포맷인 FLAC으로 되며, 애플의 빠와로 인해 ALAC도 점유율이 늘고 있다. 소니와 [[필립스]]가 SACD용으로 개발한 DSD라는 규격 또한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로 인정이 되고 있다. == 논란 == 이미 CD 음원이 인간의 가청 주파수 영역을 모두 담고 있기 때문에,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가 근본적인 음질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항상 논란거리이다. 실제 CD 음원과 차이가 느껴지는 경우도 음장 장난질을 쳤다는 것이 중론. 물론 하이파이를 넘어서 황금귀질에 빠지신 분들에게 이런 말을 꺼냈다간 집단 린치를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재생 == [[컴퓨터]]를 통해서도 재생할 수 있지만 컴퓨터에 들어간 내장 사운드 칩셋이 못미더운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대부분 DAP를 장만해서 재생을 한다. 소니 등에서 판매하는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대응 [[헤드폰]] 등도 있으면 좋다. 보통의 헤드폰은 가청 주파수 영역 이내만 구현하지만, 이런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대응 헤드폰은 더 넓은 주파수에 대응한다.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web.archive.org/web/20180312023610/http://red.wi.kiwi/%ED%95%98%EC%9D%B4_%EB%A0%88%EC%A1%B8%EB%A3%A8%EC%85%98_%EC%98%A4%EB%94%94%EC%98%A4|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