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62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행인두부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외부:https://pbs.twimg.com/media/BF79jo8CUAAdusF.jpg|width=300]] 杏仁豆腐 행인두부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일종의 젤리로, 이름과 달리 두부는 아니다. 색이 하얗기 때문에 두부같다는 의미로 두부라고 이름 붙인 것. 일종의 고유대명사로 보면 적당하다. 일본에서는 ‘안닌도후(あんにんどふ)‘라고도 부르고, 서양에서는 아몬드 젤리(Almond Jelly), 혹은 ‘아몬드 푸딩(Almond pudding)‘으로 부른다. 중국 본토에서도 먹지만, 중국 본토보다 화교가 진출한 지역, 홍콩,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의 지역에서 중국 요리의 후식 형식으로 제공되면서 널리 퍼져 유명세를 탄 음식이다. 한국에서도 코스요리 등을 시키면 후식으로 나오는 가게들이 꽤 있다. 이름 그대로 원래는 살구씨(杏仁, apricot kernels)를 갈아서 우유 등을 섞어 한천이나 젤라틴을 섞어 응고시킨 것이다. 하지만 잘 보면 음식으로서는 특이하게도 재료와 안맞는 이름이 붙어있는 걸 알 수 있다. 행인두부는 콩을 써서 만드는 음식이 아니므로 일단 ‘두부’가 아니다. 영어식 표현인 ‘아몬드 젤리’ 또한 행인두부의 맛이 아몬드같다고 해서 붙은 것이지 실제 아몬드를 넣어서 붙은 이름이 아니다. 상당히 특이한 경우라 하지않을 수 없다. 단 현재는 이래저래 변형이 많이 이루어져서 실제로 살구씨 대신에 코코넛 파우더나, 아몬드 파우더로 만드는 행인두부도 있는 등, 역으로 의미를 쫓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일본에서도 인기있는 디저트라서 패키징된 완제품이나 제조를 위한 분말 재료 형식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단 저가형 중에는 살구씨는 고사하고 아몬드 가루조차 안들어가고 아몬드 익스트랙같은걸로 고소한 풍미만 낸 제품도 많다고 한다. 심지어는 그것도 없이 그냥 화학물질로 비슷한 풍미를 낸 제품도 팔리고 있는듯. == 영상 == [youtube(JTeTlZ-dtt0)]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623143236/https://wiki.nex32.net/%EC%9D%8C%EC%8B%9D/%ED%96%89%EC%9D%B8%EB%91%90%EB%B6%80|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외부:https://pbs.twimg.com/media/BF79jo8CUAAdusF.jpg|width=300]] 杏仁豆腐 행인두부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일종의 젤리로, 이름과 달리 두부는 아니다. 색이 하얗기 때문에 두부같다는 의미로 두부라고 이름 붙인 것. 일종의 고유대명사로 보면 적당하다. 일본에서는 ‘안닌도후(あんにんどふ)‘라고도 부르고, 서양에서는 아몬드 젤리(Almond Jelly), 혹은 ‘아몬드 푸딩(Almond pudding)‘으로 부른다. 중국 본토에서도 먹지만, 중국 본토보다 화교가 진출한 지역, 홍콩,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의 지역에서 중국 요리의 후식 형식으로 제공되면서 널리 퍼져 유명세를 탄 음식이다. 한국에서도 코스요리 등을 시키면 후식으로 나오는 가게들이 꽤 있다. 이름 그대로 원래는 살구씨(杏仁, apricot kernels)를 갈아서 우유 등을 섞어 한천이나 젤라틴을 섞어 응고시킨 것이다. 하지만 잘 보면 음식으로서는 특이하게도 재료와 안맞는 이름이 붙어있는 걸 알 수 있다. 행인두부는 콩을 써서 만드는 음식이 아니므로 일단 ‘두부’가 아니다. 영어식 표현인 ‘아몬드 젤리’ 또한 행인두부의 맛이 아몬드같다고 해서 붙은 것이지 실제 아몬드를 넣어서 붙은 이름이 아니다. 상당히 특이한 경우라 하지않을 수 없다. 단 현재는 이래저래 변형이 많이 이루어져서 실제로 살구씨 대신에 코코넛 파우더나, 아몬드 파우더로 만드는 행인두부도 있는 등, 역으로 의미를 쫓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일본에서도 인기있는 디저트라서 패키징된 완제품이나 제조를 위한 분말 재료 형식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단 저가형 중에는 살구씨는 고사하고 아몬드 가루조차 안들어가고 아몬드 익스트랙같은걸로 고소한 풍미만 낸 제품도 많다고 한다. 심지어는 그것도 없이 그냥 화학물질로 비슷한 풍미를 낸 제품도 팔리고 있는듯. == 영상 == [youtube(JTeTlZ-dtt0)]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623143236/https://wiki.nex32.net/%EC%9D%8C%EC%8B%9D/%ED%96%89%EC%9D%B8%EB%91%90%EB%B6%80|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