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29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TCA 회로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외부:https://pbs.twimg.com/media/E9oZBYEX0AokCj8.jpg:large|width=500]] '''TCA 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 또는 '''크레브스 회로'''(Krebs Cycle, 크랩스 회로)는 세포 호흡과정에서 작용하는 순환 회로이다. == 과정 == 피루브산에서 만들어진 아세틸기가 반응을 하면서 시작한다. 아세틸 코엔자임A|아세틸 CoA는 옥살아세트산과 결합하여 시트르산이 되고, 이것은 α-케토글루타르산, 석신산, 푸마르산, 말산을 거쳐 다시 옥살아세트산이 되는데, 이 과정을 일컫는다. 이 과정을 통해 1분자의 아세틸 CoA에서 2분자의 이산화탄소|CO$_2$가 이탈되며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NADH 3분자와 플라빈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FADH$_2$ 1분자, 아데노신삼인산|ATP 1분자가 생성된다. 시트르산이 전자를 생산하는 일련의 산화반응을 거치면서 2개의 이산화탄소가 떨어져 나와 다시 옥살로아세트산이 된다. 재생된 옥살로아세트산은 다음 번의 TCA회로를 위해 또 다른 아세틸기와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 시트르산의 생성 === TCA 회로의 첫번째 반응으로, 아세틸 CoA는 옥살아세트산에 아세틸기를 첨가하여 시트르산을 생성한다. 아세틸 CoA의 2-탄소 아세틸기가 옥살로아세트산(oxloacetate)라는 4-탄소 분자와 결합한다. === α-케토글루타르산의 생성 === 시트르산은 이성질체인 이소시트르산으로 전환된 다음, 탈탄산 효소의 작용으로 이산화탄소를 이탈시키고 탈수소 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NAD$^+$를 NADH로 환원시키면서 α-케토글루타르산이 된다. 시트르산의 한 탄소로부터 물 분자 하나가 제거되고 물 분자는 다시 다른 탄소에 결합된다. 그 결과 -H와 -OH기의 위치 변동이 생긴다. 이렇게 해서 생기는 시트르산의 이성질체가 이소시트르산이다. 이러한 작용기의 재배열은 다음 이어지는 반응이 잘 일어나도록 해준다. 이소시트르산에서 산화적 탈카르복시화 반응이 일어난다. 이소시트르산이 산화되어 1쌍의 전자를 방출해 NAD+를 NADH로 환원시킨 다음 산화된 중간물질이 탈카르복시화되어 중심의 카르복실기가 떨어져 나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그결과로 5-탄소 분자인 α-케토글루타르산이 생성된다. === 석신산의 생성 === α-케토글루타르산은 탈탄산 효소의 작용으로 이산화탄소를 이탈시키고 탈수소 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NAD$^+$를 NADH로 환원시키면서 석신산이 된다. 이때 기질 수준 인산화가 진행되어 ATP가 생성된다. α-케토글루타르산이 피루브산 탈수소효소와 유사한 다효소복합체에 의해 탈카르복시화된다. 이산화탄소 제거 뒤에 남는 숙시닐기가 조효소A에 결합하여 숙시닐-조효소 A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2개의 전자가 방출되고, 이 전자는 NAD+를 NADH로 환원시킨다. 4-탄소의 숙시닐기와 조효소A의 결합은 고에너지 결합이다. 해당과정에서 일어나는 것과 유사한 공역반응을 통해 이 결합은 끊어지고, 이 때 방출된 에너지는 GDP를 GTP로 인산화시키는데 사용된다. == 참고 문헌 == * 고등학교 생명과학 2 HIGH TOP 1권. 두산동아 == 영상 == [youtube(2dXqrT775Rg)]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외부:https://pbs.twimg.com/media/E9oZBYEX0AokCj8.jpg:large|width=500]] '''TCA 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 또는 '''크레브스 회로'''(Krebs Cycle, 크랩스 회로)는 세포 호흡과정에서 작용하는 순환 회로이다. == 과정 == 피루브산에서 만들어진 아세틸기가 반응을 하면서 시작한다. 아세틸 코엔자임A|아세틸 CoA는 옥살아세트산과 결합하여 시트르산이 되고, 이것은 α-케토글루타르산, 석신산, 푸마르산, 말산을 거쳐 다시 옥살아세트산이 되는데, 이 과정을 일컫는다. 이 과정을 통해 1분자의 아세틸 CoA에서 2분자의 이산화탄소|CO$_2$가 이탈되며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NADH 3분자와 플라빈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FADH$_2$ 1분자, 아데노신삼인산|ATP 1분자가 생성된다. 시트르산이 전자를 생산하는 일련의 산화반응을 거치면서 2개의 이산화탄소가 떨어져 나와 다시 옥살로아세트산이 된다. 재생된 옥살로아세트산은 다음 번의 TCA회로를 위해 또 다른 아세틸기와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 시트르산의 생성 === TCA 회로의 첫번째 반응으로, 아세틸 CoA는 옥살아세트산에 아세틸기를 첨가하여 시트르산을 생성한다. 아세틸 CoA의 2-탄소 아세틸기가 옥살로아세트산(oxloacetate)라는 4-탄소 분자와 결합한다. === α-케토글루타르산의 생성 === 시트르산은 이성질체인 이소시트르산으로 전환된 다음, 탈탄산 효소의 작용으로 이산화탄소를 이탈시키고 탈수소 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NAD$^+$를 NADH로 환원시키면서 α-케토글루타르산이 된다. 시트르산의 한 탄소로부터 물 분자 하나가 제거되고 물 분자는 다시 다른 탄소에 결합된다. 그 결과 -H와 -OH기의 위치 변동이 생긴다. 이렇게 해서 생기는 시트르산의 이성질체가 이소시트르산이다. 이러한 작용기의 재배열은 다음 이어지는 반응이 잘 일어나도록 해준다. 이소시트르산에서 산화적 탈카르복시화 반응이 일어난다. 이소시트르산이 산화되어 1쌍의 전자를 방출해 NAD+를 NADH로 환원시킨 다음 산화된 중간물질이 탈카르복시화되어 중심의 카르복실기가 떨어져 나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그결과로 5-탄소 분자인 α-케토글루타르산이 생성된다. === 석신산의 생성 === α-케토글루타르산은 탈탄산 효소의 작용으로 이산화탄소를 이탈시키고 탈수소 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NAD$^+$를 NADH로 환원시키면서 석신산이 된다. 이때 기질 수준 인산화가 진행되어 ATP가 생성된다. α-케토글루타르산이 피루브산 탈수소효소와 유사한 다효소복합체에 의해 탈카르복시화된다. 이산화탄소 제거 뒤에 남는 숙시닐기가 조효소A에 결합하여 숙시닐-조효소 A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2개의 전자가 방출되고, 이 전자는 NAD+를 NADH로 환원시킨다. 4-탄소의 숙시닐기와 조효소A의 결합은 고에너지 결합이다. 해당과정에서 일어나는 것과 유사한 공역반응을 통해 이 결합은 끊어지고, 이 때 방출된 에너지는 GDP를 GTP로 인산화시키는데 사용된다. == 참고 문헌 == * 고등학교 생명과학 2 HIGH TOP 1권. 두산동아 == 영상 == [youtube(2dXqrT775Rg)]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