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君に、胸キュン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346,1212
== YMO 오리지널 == ||<-2><table align=center> {{{+1 君に、胸キュン}}} || || 한국어명 || 너에게, 가슴 꾸욱 || || 수록작 || 마리아 홀릭 || || 수록앨범 || 마리아 홀릭 엔딩 싱글 || || 발매일 || 1983년 3월 25일 || || 작사 || 마츠모토 타카시(松本隆) || || 작곡 || 호소노 하루오미(細野晴臣), 사카모토 류이치(坂本龍一), 타카하시 유키히로(高橋幸宏) || || 편곡 ||<|2> YMO || || 부른이 || 사카모토 류이치, 호소노 하루오미, 타카하시 유키히로 3인이 결성한 그룹 옐로우 매직 오케스트라, 통칭 YMO의 정식앨범인 ‘바람난 우리들(浮気なぼくら)‘에 수록되기에 앞서 싱글로 선보인 곡이다. 테크노 디스코라는 시대를 앞서간 장르와 독특한 비트를 살린 가사 등, 당시로서도 충격적인 음악이었고, 현재 들어도 다른 의미로 충격적인 노래이다. 무엇보다 일본을 대표하는 음악가들 셋이 모여서 말그대로 ‘바람난’ 음악을 했던 YMO에 경의를 표하도록 하자. 여름에 바닷가에서 한눈에 반한 이성에게 마음이 흔들린다는 내용의 곡인데, 뮤직비디오를 봐야 이 곡이 얼마나 대단한 곡인지 확인해볼 수 있다. 놓치지 말고 꼭 봐두도록 하자. 이 곡이 담긴 싱글이 나온 것이 1983년 3월 25일이었으니 얼마나 시간을 앞선 노래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당시 이 노래는 엄청난 붐을 불러일으켰으며, 오리콘챠트 2위에 오르기도 했으며, 그 인기에 힘입어 화장품 CM에 삽입될 정도였다. ‘가슴꾸욱(胸キュン, 무네큥)‘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노래로 유명하며, 이후 가슴 꾸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은 모두 이 곡에 기원을 둔다고 보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YMO 오리지널 == ||<-2><table align=center> {{{+1 君に、胸キュン}}} || || 한국어명 || 너에게, 가슴 꾸욱 || || 수록작 || 마리아 홀릭 || || 수록앨범 || 마리아 홀릭 엔딩 싱글 || || 발매일 || 1983년 3월 25일 || || 작사 || 마츠모토 타카시(松本隆) || || 작곡 || 호소노 하루오미(細野晴臣), 사카모토 류이치(坂本龍一), 타카하시 유키히로(高橋幸宏) || || 편곡 ||<|2> YMO || || 부른이 || 사카모토 류이치, 호소노 하루오미, 타카하시 유키히로 3인이 결성한 그룹 옐로우 매직 오케스트라, 통칭 YMO의 정식앨범인 ‘바람난 우리들(浮気なぼくら)‘에 수록되기에 앞서 싱글로 선보인 곡이다. 테크노 디스코라는 시대를 앞서간 장르와 독특한 비트를 살린 가사 등, 당시로서도 충격적인 음악이었고, 현재 들어도 다른 의미로 충격적인 노래이다. 무엇보다 일본을 대표하는 음악가들 셋이 모여서 말그대로 ‘바람난’ 음악을 했던 YMO에 경의를 표하도록 하자. 여름에 바닷가에서 한눈에 반한 이성에게 마음이 흔들린다는 내용의 곡인데, 뮤직비디오를 봐야 이 곡이 얼마나 대단한 곡인지 확인해볼 수 있다. 놓치지 말고 꼭 봐두도록 하자. 이 곡이 담긴 싱글이 나온 것이 1983년 3월 25일이었으니 얼마나 시간을 앞선 노래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당시 이 노래는 엄청난 붐을 불러일으켰으며, 오리콘챠트 2위에 오르기도 했으며, 그 인기에 힘입어 화장품 CM에 삽입될 정도였다. ‘가슴꾸욱(胸キュン, 무네큥)‘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노래로 유명하며, 이후 가슴 꾸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은 모두 이 곡에 기원을 둔다고 보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