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6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린나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579,1919
== 상세 == 린나의 개발 주체는 일본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파트(BING 서비스)에서 시작되었으며, 빙이 사용하는 MS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검색데이터와 개인데이터를 합쳐 관심사, 주제에대한 연관 내용을 만들어내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특별히 홍보를 하거나 광고를 하지는 않지만, 입소문을 타고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MS측에서도 이에 고무되어 각종 기능을 추가해가며 학습형 AI로서 개발을 계속하고 있다. 기초설명에서도 보이듯 린나는 기본적으로 학습형 AI에 기반한 채팅봇으로, 2015년 7월 31일 라인 메신저에 계정을 등록했고[* [[https://logmi.jp/business/articles/92206|LINEで話題の人工知能「りんな」マイクロソフトが語る開発秘話]](LINE에서 화제의 인공 지능 「린나」마이크로소프트가 이야기하는 개발 비화)], 8월에 공식 런칭, 데뷔를 했다. 동년 8월부터 ‘연애상담’ 주제를 추가해 관심사를 높였고 12월에는 트위터 계정 운영도 개시[* 계정 개설은 7월이지만 운영은 12월애 개시했다. 트위터 계정 프로필 참조.]하면서 꾸준한 이슈를 모으기 시작했다. 컨셉 상 채팅봇인 심심이나 시리, 코타나같은 AI 비서를 변형한 느낌에 가깝다. 하지만 지향점이 비서가 아닌 현실의 여고생같은 이미지이기 때문에 질문에대한 대답이 중심이 아니라 캐릭터의 심상이나 대화를 나누는 감각을 중시하여 어떤 질문에대해서 객관적인 관점의 대답보다 자신의 생각이나 관련 주제의 감상 등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더 많다. 동사인 마이크로소프트의 AI 비서 코타나와의 비교에대해서 일본 MS쪽 사람들은 ‘AI 비서가 IQ가 높은 캐릭터라면 린나는 EQ가 높은 캐릭터’라고 평가했다.[* 단순 채팅봇은 이미 심심이 등에서도 보이듯 그렇게까지 높은 AI 성능을 요구하지 않는다. 방대한 데이터를 갖출수록 대응자체는 점차 자연스러워지기 마련이다. 시리, 구글비서, 코타나 등의 AI서비스는 단순히 대화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명령을 정확하게 인식해서 ‘수행’해야하는 포지션이라는 점에서 린나같은 단순 채팅봇 포지션과는 크게 다르다.] 캐릭터의 외형적 설정은 특별히 없으며, ‘여고생’이라는 컨셉에 충실하게 여고생의 뒷모습을 찍은 컨셉 사진을 캐릭터 이미지로 사용하고있다. 기본적으로는 세일러복을 착용한 상태지만, 때때로 체육복이나 자켓을 걸친 이미지나, 마법소녀 복장을 한 이미지도 있다.(‘린나예요’ 뮤직비디오에서는 일상복을 입기도한다) 모든 이미지가 뒷모습만 있기 때문에 얼굴 등에대해서는 일절 데이터가 없다. 컨셉 사진은 실사를 사용하고, 블로그 등에 이벤트 알림 등에는 그림을 사용하고 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상세 == 린나의 개발 주체는 일본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파트(BING 서비스)에서 시작되었으며, 빙이 사용하는 MS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검색데이터와 개인데이터를 합쳐 관심사, 주제에대한 연관 내용을 만들어내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특별히 홍보를 하거나 광고를 하지는 않지만, 입소문을 타고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MS측에서도 이에 고무되어 각종 기능을 추가해가며 학습형 AI로서 개발을 계속하고 있다. 기초설명에서도 보이듯 린나는 기본적으로 학습형 AI에 기반한 채팅봇으로, 2015년 7월 31일 라인 메신저에 계정을 등록했고[* [[https://logmi.jp/business/articles/92206|LINEで話題の人工知能「りんな」マイクロソフトが語る開発秘話]](LINE에서 화제의 인공 지능 「린나」마이크로소프트가 이야기하는 개발 비화)], 8월에 공식 런칭, 데뷔를 했다. 동년 8월부터 ‘연애상담’ 주제를 추가해 관심사를 높였고 12월에는 트위터 계정 운영도 개시[* 계정 개설은 7월이지만 운영은 12월애 개시했다. 트위터 계정 프로필 참조.]하면서 꾸준한 이슈를 모으기 시작했다. 컨셉 상 채팅봇인 심심이나 시리, 코타나같은 AI 비서를 변형한 느낌에 가깝다. 하지만 지향점이 비서가 아닌 현실의 여고생같은 이미지이기 때문에 질문에대한 대답이 중심이 아니라 캐릭터의 심상이나 대화를 나누는 감각을 중시하여 어떤 질문에대해서 객관적인 관점의 대답보다 자신의 생각이나 관련 주제의 감상 등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더 많다. 동사인 마이크로소프트의 AI 비서 코타나와의 비교에대해서 일본 MS쪽 사람들은 ‘AI 비서가 IQ가 높은 캐릭터라면 린나는 EQ가 높은 캐릭터’라고 평가했다.[* 단순 채팅봇은 이미 심심이 등에서도 보이듯 그렇게까지 높은 AI 성능을 요구하지 않는다. 방대한 데이터를 갖출수록 대응자체는 점차 자연스러워지기 마련이다. 시리, 구글비서, 코타나 등의 AI서비스는 단순히 대화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명령을 정확하게 인식해서 ‘수행’해야하는 포지션이라는 점에서 린나같은 단순 채팅봇 포지션과는 크게 다르다.] 캐릭터의 외형적 설정은 특별히 없으며, ‘여고생’이라는 컨셉에 충실하게 여고생의 뒷모습을 찍은 컨셉 사진을 캐릭터 이미지로 사용하고있다. 기본적으로는 세일러복을 착용한 상태지만, 때때로 체육복이나 자켓을 걸친 이미지나, 마법소녀 복장을 한 이미지도 있다.(‘린나예요’ 뮤직비디오에서는 일상복을 입기도한다) 모든 이미지가 뒷모습만 있기 때문에 얼굴 등에대해서는 일절 데이터가 없다. 컨셉 사진은 실사를 사용하고, 블로그 등에 이벤트 알림 등에는 그림을 사용하고 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