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6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어슐러 K. 르 귄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1623,3295
== 생애 == 캘리포니아 버클리 태생. 아버지는 미국에서 최초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콜럼비아 대학교) 미국에서 두번째로 인류학과를 개설한(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인류학자 알프레드 L. 크뢰버였다. 어머니 시어도라 크뢰버는 르 귄의 아버지에 대한 전기를 썼는데, 이 책은 르 귄의 유년 시절과 훗날 르 귄의 작품에 반영된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이를테면 사회인류학에 대한 관심이라던가. 부모가 유복한 학자들이었던데다 세 명의 오빠와 함께 자랐기 때문에, 고독이나 결핍 등과는 거리가 먼 유년 시절을 보냈다. 다만 크뢰버 부부가 유명한 북미 원주민 연구자였던 만큼 부모를 통해서 사라진 원주민들에 대한 증언을 많이 들을 수 있었고, 여름이면 나파 밸리에 있는 농장에 가서 인디언 ‘삼촌’들과 지내며 구전되어온 신화와 전설을 듣곤 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르 귄은 유년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인류학적 정서가 몸에 베게 된다. 필립 딕과 같은 시기에 버클리 고등학교를 다녔고, 심지어 졸업반 때는 같은 반에서 수업까지 들었으나 당시에는 서로에게 별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필립 딕과는 훗날 폴란드의 SF 작가 스타니스와프 렘을 놓고 벌어진 'SFWA 논쟁'에서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래드클리프 칼리지에 진학하였고, 미국 전역의 대학 졸업자 중 극소수의 성적 우수자만이 가입 가능한 파이 베타 카파(Phi Beta Kappa) 클럽에 들어갔다. 콜럼비아 대학교에서 중세 프랑스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파리에 체류하던 중 남편인 역사가 찰스 르 귄을 만났다. 1953년에 결혼. 1958년부터 오레건 주 포틀랜드에서 거주중이다. 슬하에는 세 자녀와 네 손자가 있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문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1살 때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지에 첫 이야기를 투고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1960년대 초부터 꾸준히 SF계열의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에 발표한 『어둠의 왼손』이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수상하면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이후 40년간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작가로서의 경력을 이어갔다.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각각 다섯 차례 수상하고 이외에도 SFWA 그랜드마스터로 선출되는 등 장르문학 진영 내의 위치를 확고히 했으며, 장르문학 진영 외부에서도 퓰리처상이나 전미도서상을 수여받는 등 상당한 인정을 받았다. 상당히 완고한 고전 애호가로 정평이 난 비평가 해럴드 블룸도 어슐러 르 귄을 미국의 고전 작가로 인정하였고, 『어둠의 왼손』에 대한 동료 비평가들의 글들을 책으로 엮어내면서 "르 권은 판타지 소설을 고급 문학으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톨킨을 앞선다. 그녀의 작품에 나오는 탐구자들은 우리가 살 수밖에 없는 세상, 프로이트의 현실원칙이 있는 세상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서문에 썼다. 그레이스 팔레이, 캐롤린 카이저, 게리 스나이더, 존 업다이크 등도 르 귄의 작품에 찬사를 남긴 바 있다. 그 외에는 버몬트나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창작을 가르치기도 했으며(현재는 은퇴) 그 자신이 많은 영향을 받았던 『도덕경』의 영역본을 내기도 했다. 1979년에는 자신의 소설 『하늘의 물레』를 극화한 동명의 PBS 영화 제작에 관여했으며 1985년에는 아방가르드 작곡가 데이비드 배드포드와 함께 스페이스 오페라인 《Rigel 9》의 대본을 썼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생애 == 캘리포니아 버클리 태생. 아버지는 미국에서 최초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콜럼비아 대학교) 미국에서 두번째로 인류학과를 개설한(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인류학자 알프레드 L. 크뢰버였다. 어머니 시어도라 크뢰버는 르 귄의 아버지에 대한 전기를 썼는데, 이 책은 르 귄의 유년 시절과 훗날 르 귄의 작품에 반영된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이를테면 사회인류학에 대한 관심이라던가. 부모가 유복한 학자들이었던데다 세 명의 오빠와 함께 자랐기 때문에, 고독이나 결핍 등과는 거리가 먼 유년 시절을 보냈다. 다만 크뢰버 부부가 유명한 북미 원주민 연구자였던 만큼 부모를 통해서 사라진 원주민들에 대한 증언을 많이 들을 수 있었고, 여름이면 나파 밸리에 있는 농장에 가서 인디언 ‘삼촌’들과 지내며 구전되어온 신화와 전설을 듣곤 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르 귄은 유년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인류학적 정서가 몸에 베게 된다. 필립 딕과 같은 시기에 버클리 고등학교를 다녔고, 심지어 졸업반 때는 같은 반에서 수업까지 들었으나 당시에는 서로에게 별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필립 딕과는 훗날 폴란드의 SF 작가 스타니스와프 렘을 놓고 벌어진 'SFWA 논쟁'에서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래드클리프 칼리지에 진학하였고, 미국 전역의 대학 졸업자 중 극소수의 성적 우수자만이 가입 가능한 파이 베타 카파(Phi Beta Kappa) 클럽에 들어갔다. 콜럼비아 대학교에서 중세 프랑스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파리에 체류하던 중 남편인 역사가 찰스 르 귄을 만났다. 1953년에 결혼. 1958년부터 오레건 주 포틀랜드에서 거주중이다. 슬하에는 세 자녀와 네 손자가 있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문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1살 때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지에 첫 이야기를 투고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1960년대 초부터 꾸준히 SF계열의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에 발표한 『어둠의 왼손』이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수상하면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이후 40년간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작가로서의 경력을 이어갔다.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각각 다섯 차례 수상하고 이외에도 SFWA 그랜드마스터로 선출되는 등 장르문학 진영 내의 위치를 확고히 했으며, 장르문학 진영 외부에서도 퓰리처상이나 전미도서상을 수여받는 등 상당한 인정을 받았다. 상당히 완고한 고전 애호가로 정평이 난 비평가 해럴드 블룸도 어슐러 르 귄을 미국의 고전 작가로 인정하였고, 『어둠의 왼손』에 대한 동료 비평가들의 글들을 책으로 엮어내면서 "르 권은 판타지 소설을 고급 문학으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톨킨을 앞선다. 그녀의 작품에 나오는 탐구자들은 우리가 살 수밖에 없는 세상, 프로이트의 현실원칙이 있는 세상을 떠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서문에 썼다. 그레이스 팔레이, 캐롤린 카이저, 게리 스나이더, 존 업다이크 등도 르 귄의 작품에 찬사를 남긴 바 있다. 그 외에는 버몬트나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창작을 가르치기도 했으며(현재는 은퇴) 그 자신이 많은 영향을 받았던 『도덕경』의 영역본을 내기도 했다. 1979년에는 자신의 소설 『하늘의 물레』를 극화한 동명의 PBS 영화 제작에 관여했으며 1985년에는 아방가르드 작곡가 데이비드 배드포드와 함께 스페이스 오페라인 《Rigel 9》의 대본을 썼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