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23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2:06:41] 07th Expansio...
[12:06:22] 비스크돌은 사랑을 한다 ...
[22:28:23] 몰락영애 아니거든요!
[20:33:31] 홍진호
[20:33:17] SCP-1170
[23:56:07] 응 아니야
[12:16:26] 잡썰일지/2023-202...
[02:26:44] 잡썰일지
[02:26:31] 잡썰일지/2023-202...
[21:34:17] 운영일지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위키페땅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1004,2092
== 역사 == 2006년 1월 5일 위키피디아의 마스코트를 선발하는 투표가 이뤄지고 있었는데, 이 때 일본쪽에서 OS땅같은 귀여운 의인화 캐릭터가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올라왔고, 이 의견에 동조하듯 1월 8일 현재의 위키페땅의 작가인 카스가가 그린 캐릭터의 초안 이미지가 후타바 채널에 올라왔다. 이 이미지는 후타바채널 내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고, 이 이미지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위키피디아 투표에 올라와 다른 캐릭터 시안과 함께 투표에 참가하게 되었다. 투표에서는 총 27표를 얻어 1위인 Centipede의 37표와 2위인 Leaf-cutter ants의 35표에 이어 3위를 차지했으나, 1위 캐릭터 자체가 좀 매력이 없기도 했고, 위키피디아의 특성상 특정 국가에서 정한 마스코트나 기호화가 전체 위키피디아를 대변하기는 어렵다는 특성때문에 공식 마스코트 선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동년 6월에는 미국쪽의 미디어에서 OS땅 소개하는 글에서 ‘그 외의 의인화’항목으로 위키페땅이 소개되는 등 대외적으로 존재를 알리기 시작했으며, 동월에 위키피디아의 애니메이션 및 만화 쪽 항목의 테마캐릭터로 채용되어있던 미도리의 나날의 미도리가 저작권문제로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지자 이 즈음에 앞서 위키피디아의 프로젝트 중 하나인 ‘위키미디어 공용 매체’에 공개된 카스가의 이미지가 지지를 받아 미도리의 이미지를 위키페땅으로 교체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1년여가 흐르면서 관련 이미지도 많아지고 인지도도 상당히 많이 올라갔으나, 2007년 6월에 미국쪽 로리콘 (Lolicom) 항목에서 ‘로리 캐릭터’로 위키페땅과, 같은 카스가가 그림을 담당한 커먼즈땅 등의 이미지가 사용되자 위키피디아의 설립자인 지미 웨일스는 ‘위키피디아를 상징하는 마스코트 캐릭터가 소아성애자를 지칭하는 항목에 포함되는 것은 곤란하다’며 위키미디어 공용 매체 항목에서 위키페땅과 커먼즈땅을 삭제할 것을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논의에서 삭제하지 않는 쪽으로 결론이 났고, 로리콘 항목에서 위키페땅을 비롯한 마스코트 캐릭터를 빼고 다른 이미지를 넣음으로서 해결을 봤다. 단, 현재는 로리콘 관련 문서에는 위키페땅을 비롯한 마스코트의 잠옷 그림이 설명에 사용되고 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역사 == 2006년 1월 5일 위키피디아의 마스코트를 선발하는 투표가 이뤄지고 있었는데, 이 때 일본쪽에서 OS땅같은 귀여운 의인화 캐릭터가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올라왔고, 이 의견에 동조하듯 1월 8일 현재의 위키페땅의 작가인 카스가가 그린 캐릭터의 초안 이미지가 후타바 채널에 올라왔다. 이 이미지는 후타바채널 내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고, 이 이미지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위키피디아 투표에 올라와 다른 캐릭터 시안과 함께 투표에 참가하게 되었다. 투표에서는 총 27표를 얻어 1위인 Centipede의 37표와 2위인 Leaf-cutter ants의 35표에 이어 3위를 차지했으나, 1위 캐릭터 자체가 좀 매력이 없기도 했고, 위키피디아의 특성상 특정 국가에서 정한 마스코트나 기호화가 전체 위키피디아를 대변하기는 어렵다는 특성때문에 공식 마스코트 선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동년 6월에는 미국쪽의 미디어에서 OS땅 소개하는 글에서 ‘그 외의 의인화’항목으로 위키페땅이 소개되는 등 대외적으로 존재를 알리기 시작했으며, 동월에 위키피디아의 애니메이션 및 만화 쪽 항목의 테마캐릭터로 채용되어있던 미도리의 나날의 미도리가 저작권문제로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지자 이 즈음에 앞서 위키피디아의 프로젝트 중 하나인 ‘위키미디어 공용 매체’에 공개된 카스가의 이미지가 지지를 받아 미도리의 이미지를 위키페땅으로 교체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1년여가 흐르면서 관련 이미지도 많아지고 인지도도 상당히 많이 올라갔으나, 2007년 6월에 미국쪽 로리콘 (Lolicom) 항목에서 ‘로리 캐릭터’로 위키페땅과, 같은 카스가가 그림을 담당한 커먼즈땅 등의 이미지가 사용되자 위키피디아의 설립자인 지미 웨일스는 ‘위키피디아를 상징하는 마스코트 캐릭터가 소아성애자를 지칭하는 항목에 포함되는 것은 곤란하다’며 위키미디어 공용 매체 항목에서 위키페땅과 커먼즈땅을 삭제할 것을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논의에서 삭제하지 않는 쪽으로 결론이 났고, 로리콘 항목에서 위키페땅을 비롯한 마스코트 캐릭터를 빼고 다른 이미지를 넣음으로서 해결을 봤다. 단, 현재는 로리콘 관련 문서에는 위키페땅을 비롯한 마스코트의 잠옷 그림이 설명에 사용되고 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