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6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호치민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579,3076
== 생애 == 호치민은 1890년 5월 19일 베트남 응에안 성에서 태어났다. 당시 그의 이름은 응우옌 신 꿍으로 아버지가 지어준 이름이었다. 이후 과거시험에 합격한 아버지를 따라 옛 황궁의 수도 후에로 갔고, 10살이 되던 해 응우옌 탓 타인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청소년 시절 프랑스식 국립학교인 국학에서 공부했고, 그 시기 조세 반대를 요구하는 반프랑스 시위에 참여했다가, 학교에서 쫓겨났다. 이후 베트남을 떠돌다가 1911년 사이공에 있는 프랑스 기선 아미랄 라투셰 트레빌 호를 타고 해외로 나간다. 이렇게 해서 30년 간의 해외생활을 시작한다. 당시 호치민은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 국가들, 미국, 남아메리카 등을 돌아다녔고, 미국과 영국 그리고 프랑스에서 잡일을 하며 살았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참이던 1917년에 프랑스에서 활동했고,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인 1919년 안남애국자 연합을 결성하여‘안남 민족의 요구’라는 8개조 조항을 베르사유 조약 당시 청원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기댄 것이었지만, 강대국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결과 1917년 레닌이 일으킨 러시아 혁명과 볼셰비키가 주장하는 민족해방이론에 감명받아 1920년 프랑스 공산당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1922년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프랑스 식민주의를 비판하는 신문인 <르 파리아>를 창간하고 편집인으로 활동했다. 르 파리아의 신문사는 주로 프랑스의 식민정책을 비판하고 특히 프랑스의 베트남 지배를 비판했다. 이후 프랑스 결찰 당국의 감시가 심해지자 1923년 6월 소련의 수도 모스크바로 가서 제3인터내셔널에서 활동했다. 1924년 레닌이 사망한 이후 그의 장례식에도 참가했다고 한다. 소련 코민테른에서 공부하며 유학하다가 중국으로 가서 1925년에 베트남 혁명 청년회를 결성했었다. 이후 중국과 태국에서 여러 독립활동을 했고, 1930년 베트남 공산당 즉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창당하기에 이른다.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창당한 이후 베트남에서 반프랑스 봉기가 일어났는데, 그의 조직 또한 봉기를 일으켰으나 프랑스 당국의 잔혹한 진압으로 실패했다. 그리고 1년 뒤인 1931년 영국당국에 체포되었고, 1년 뒤 영국 공산당 인사의 도움으로 석방됐다. 1934년에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와 대숙청이 한참이던 1938년까지 소련에서 지냈다. 이후 다시 중국으로 갔고, 1940년부터 베트남의 독립운동 조직을 만드는데 헌신을 다했다. 그렇게 해서 1941년에 만들어진 조직인 베트남 독립 동맹 줄여서 베트민이다. 베트민은 1940년에 베트남에 들어온 일본과 기존의 지배자 프랑스에 맞서 독립투쟁을 전개했다. 1941년 30년 만에 귀국하여 베트민 활동을 전개했다. 태평양 전쟁 와중에 연합국의 지원을 얻고자 했는데, 국민당 측에게 스파이로 오인받아 감옥살이를 보내기도 했다. 1943년에 석방된 이후 지속적으로 반프랑스 반일투쟁을 전개했으며, 미국의 OSS팀과 협력하여 대일전을 준비하기도 했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8월 봉기를 일으켜 베트남 전국을 접수했고, 그해 9월 2일 하노이 바딘광장에서 독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의 프랑스가 다시 들어왔고, 1946년에는 그들과 협상하여 독립을 쟁취하고자 했지만, 1946년 11월 하이퐁에서 프랑스 군함이 선제공격을 하게 되면서 침략자 프랑스에 맞서 전쟁을 치렀다. 이것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8년간 지속되었고, 1950년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으면서 그가 이끄는 베트민도 정규군대로 성장했다. 이 전쟁은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가 베트민측의 승리로 끝나면서 베트민이 승리하게 되었다.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 최정예 부대를 섬멸하는 민족해방투쟁사에 있어서 전무후무한 업적을 남겼다. 프랑스가 물러난 이후엔 미국이 개입했고, 미국에 맞서 반미투쟁을 전개했다. 이후 17도선을 중심으로 남북이 분단되자, 토지개혁을 완수했다. 제네바 협정에 따라 2년 이내에 총선을 치러야 했지만 응오딘지엠 정권과 미국 아이젠 하워 대통령이 이를 파기하면서 결국 무산되었다. 응오딘지엠 독재와 부패정치가 계속되면서 1960년에는 베트콩이 탄생했고, 호치민과 북베트남 공산당 또한 이를 지원했다. 이렇게 되자 믹국은 케네디 정부때부터 군사고문단을 보내는 형식으로 맞섰지만, 남베트남이 무너질 기미가 보이자 1964년 통킹만 사건을 조작하여 베트남을 침략했다. 침략전쟁에서 미국의 최신식 폭격기와 고엽제 투하, 융단 폭격같은 전쟁범죄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제국주의에 맞서 항전했다. 그의 존재와 그가 하는 감동적인 연설은 베트남의 수많은 젊은이들을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싸우게 하는 원동력이었다. 1960년대 호치민은 건강이 안좋아 중국에 들려 요양하는 날이 적지 않았지만, 반미투쟁을 지속적으로 이끌고자 했다. 1968년 구정 공세 이후 남베트남에 내려가 해방전사들을 격려하고자 했지만, 건강상의 문제로 그러지 못했다. 1969년에도 그는 북베트남 공산당 동료들과 함께 해방전쟁을 이끌었지만, 그해 9월 2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나이 79세였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생애 == 호치민은 1890년 5월 19일 베트남 응에안 성에서 태어났다. 당시 그의 이름은 응우옌 신 꿍으로 아버지가 지어준 이름이었다. 이후 과거시험에 합격한 아버지를 따라 옛 황궁의 수도 후에로 갔고, 10살이 되던 해 응우옌 탓 타인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청소년 시절 프랑스식 국립학교인 국학에서 공부했고, 그 시기 조세 반대를 요구하는 반프랑스 시위에 참여했다가, 학교에서 쫓겨났다. 이후 베트남을 떠돌다가 1911년 사이공에 있는 프랑스 기선 아미랄 라투셰 트레빌 호를 타고 해외로 나간다. 이렇게 해서 30년 간의 해외생활을 시작한다. 당시 호치민은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 국가들, 미국, 남아메리카 등을 돌아다녔고, 미국과 영국 그리고 프랑스에서 잡일을 하며 살았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참이던 1917년에 프랑스에서 활동했고,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인 1919년 안남애국자 연합을 결성하여‘안남 민족의 요구’라는 8개조 조항을 베르사유 조약 당시 청원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기댄 것이었지만, 강대국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결과 1917년 레닌이 일으킨 러시아 혁명과 볼셰비키가 주장하는 민족해방이론에 감명받아 1920년 프랑스 공산당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1922년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프랑스 식민주의를 비판하는 신문인 <르 파리아>를 창간하고 편집인으로 활동했다. 르 파리아의 신문사는 주로 프랑스의 식민정책을 비판하고 특히 프랑스의 베트남 지배를 비판했다. 이후 프랑스 결찰 당국의 감시가 심해지자 1923년 6월 소련의 수도 모스크바로 가서 제3인터내셔널에서 활동했다. 1924년 레닌이 사망한 이후 그의 장례식에도 참가했다고 한다. 소련 코민테른에서 공부하며 유학하다가 중국으로 가서 1925년에 베트남 혁명 청년회를 결성했었다. 이후 중국과 태국에서 여러 독립활동을 했고, 1930년 베트남 공산당 즉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창당하기에 이른다.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창당한 이후 베트남에서 반프랑스 봉기가 일어났는데, 그의 조직 또한 봉기를 일으켰으나 프랑스 당국의 잔혹한 진압으로 실패했다. 그리고 1년 뒤인 1931년 영국당국에 체포되었고, 1년 뒤 영국 공산당 인사의 도움으로 석방됐다. 1934년에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와 대숙청이 한참이던 1938년까지 소련에서 지냈다. 이후 다시 중국으로 갔고, 1940년부터 베트남의 독립운동 조직을 만드는데 헌신을 다했다. 그렇게 해서 1941년에 만들어진 조직인 베트남 독립 동맹 줄여서 베트민이다. 베트민은 1940년에 베트남에 들어온 일본과 기존의 지배자 프랑스에 맞서 독립투쟁을 전개했다. 1941년 30년 만에 귀국하여 베트민 활동을 전개했다. 태평양 전쟁 와중에 연합국의 지원을 얻고자 했는데, 국민당 측에게 스파이로 오인받아 감옥살이를 보내기도 했다. 1943년에 석방된 이후 지속적으로 반프랑스 반일투쟁을 전개했으며, 미국의 OSS팀과 협력하여 대일전을 준비하기도 했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8월 봉기를 일으켜 베트남 전국을 접수했고, 그해 9월 2일 하노이 바딘광장에서 독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의 프랑스가 다시 들어왔고, 1946년에는 그들과 협상하여 독립을 쟁취하고자 했지만, 1946년 11월 하이퐁에서 프랑스 군함이 선제공격을 하게 되면서 침략자 프랑스에 맞서 전쟁을 치렀다. 이것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8년간 지속되었고, 1950년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으면서 그가 이끄는 베트민도 정규군대로 성장했다. 이 전쟁은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가 베트민측의 승리로 끝나면서 베트민이 승리하게 되었다.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 최정예 부대를 섬멸하는 민족해방투쟁사에 있어서 전무후무한 업적을 남겼다. 프랑스가 물러난 이후엔 미국이 개입했고, 미국에 맞서 반미투쟁을 전개했다. 이후 17도선을 중심으로 남북이 분단되자, 토지개혁을 완수했다. 제네바 협정에 따라 2년 이내에 총선을 치러야 했지만 응오딘지엠 정권과 미국 아이젠 하워 대통령이 이를 파기하면서 결국 무산되었다. 응오딘지엠 독재와 부패정치가 계속되면서 1960년에는 베트콩이 탄생했고, 호치민과 북베트남 공산당 또한 이를 지원했다. 이렇게 되자 믹국은 케네디 정부때부터 군사고문단을 보내는 형식으로 맞섰지만, 남베트남이 무너질 기미가 보이자 1964년 통킹만 사건을 조작하여 베트남을 침략했다. 침략전쟁에서 미국의 최신식 폭격기와 고엽제 투하, 융단 폭격같은 전쟁범죄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제국주의에 맞서 항전했다. 그의 존재와 그가 하는 감동적인 연설은 베트남의 수많은 젊은이들을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싸우게 하는 원동력이었다. 1960년대 호치민은 건강이 안좋아 중국에 들려 요양하는 날이 적지 않았지만, 반미투쟁을 지속적으로 이끌고자 했다. 1968년 구정 공세 이후 남베트남에 내려가 해방전사들을 격려하고자 했지만, 건강상의 문제로 그러지 못했다. 1969년에도 그는 북베트남 공산당 동료들과 함께 해방전쟁을 이끌었지만, 그해 9월 2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나이 79세였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