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8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NGINX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453,1526
== 개요 == NGINX는 러시아의 서버 관리자이자 개발자인 이고르 시쇼에프(Игорь Сысоев)가 만든 리버스 프록시 서버 프로그램으로, 2002년부터 개발내용을 발표하기 시작해 2004년 10월 4일 첫 정식버전을 런칭했다. ‘엔진엑스’라고 발음하지만, 표기가 특이해서 페이지는 원어명을 따서 만들었으므로 참고하자. 웹서버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정적인 파일 서버로서의 성능이 무척 뛰어나며, CGI나 SCGI, FastCGI 기법을 통해서 다양한 프로그램과의 연동으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리버스 프록시 서버이기 때문에 모듈을 붙이는 것에 따라 웹서버 뿐만 아니라 메일서버 등으로도 사용가능하다. HTTP, HTTPS, SMTP, POP3, IMAP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모듈에 따라 해당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으며, HTTP계열 서비스에서는 FLV, MP4 등의 동영상 파일 스트리밍 전송 기능도 제공한다. 대표적인 웹서버인 아파치 웹서버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나 쓰레드 방식이 아닌 비동기 이벤트 구조로 작동하며, 기본적으로 단일 쓰레드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로인해 프로세스나 쓰레드 방식에서 발생하는 블록킹에 의한 지연이나 자원 소모가 적어 가벼운 프로그램 구조와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서버업계에서 2000년대 중후반부터 입소문을 타기 시작해 점차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엔진엑스의 영향만은 아니겠지만 아파치도 이벤트 방식의 MPM을 지원하게 되었고, 2.4버전부터는 이벤트 방식이 메인으로 바뀌었다.] 아무래도 안정성이 성능이나 비용보다도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보수적인 서버 업계의 특성과 거의 하나의 플랫폼으로 확대되어버린 아파치 웹서버의 영향력이 큰 탓에 아직까지는 전체 사용률은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기타 플랫폼에 묶인 경우라도 해당 플랫폼 윗단에 프록시(Proxy) 서버나 부하분산(로드 밸런스, Load balance) 서버로 엔진엑스를 채용해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현재 넷플릭스, 훌루, 핀터레스트, 클라우드 플레어, 워드프레스, 깃허브, 사운드 클라우드, 징가 등 많은 업체들이 서비스에 엔진엑스를 채용하고 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개요 == NGINX는 러시아의 서버 관리자이자 개발자인 이고르 시쇼에프(Игорь Сысоев)가 만든 리버스 프록시 서버 프로그램으로, 2002년부터 개발내용을 발표하기 시작해 2004년 10월 4일 첫 정식버전을 런칭했다. ‘엔진엑스’라고 발음하지만, 표기가 특이해서 페이지는 원어명을 따서 만들었으므로 참고하자. 웹서버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정적인 파일 서버로서의 성능이 무척 뛰어나며, CGI나 SCGI, FastCGI 기법을 통해서 다양한 프로그램과의 연동으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리버스 프록시 서버이기 때문에 모듈을 붙이는 것에 따라 웹서버 뿐만 아니라 메일서버 등으로도 사용가능하다. HTTP, HTTPS, SMTP, POP3, IMAP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모듈에 따라 해당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으며, HTTP계열 서비스에서는 FLV, MP4 등의 동영상 파일 스트리밍 전송 기능도 제공한다. 대표적인 웹서버인 아파치 웹서버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나 쓰레드 방식이 아닌 비동기 이벤트 구조로 작동하며, 기본적으로 단일 쓰레드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로인해 프로세스나 쓰레드 방식에서 발생하는 블록킹에 의한 지연이나 자원 소모가 적어 가벼운 프로그램 구조와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서버업계에서 2000년대 중후반부터 입소문을 타기 시작해 점차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엔진엑스의 영향만은 아니겠지만 아파치도 이벤트 방식의 MPM을 지원하게 되었고, 2.4버전부터는 이벤트 방식이 메인으로 바뀌었다.] 아무래도 안정성이 성능이나 비용보다도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보수적인 서버 업계의 특성과 거의 하나의 플랫폼으로 확대되어버린 아파치 웹서버의 영향력이 큰 탓에 아직까지는 전체 사용률은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기타 플랫폼에 묶인 경우라도 해당 플랫폼 윗단에 프록시(Proxy) 서버나 부하분산(로드 밸런스, Load balance) 서버로 엔진엑스를 채용해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현재 넷플릭스, 훌루, 핀터레스트, 클라우드 플레어, 워드프레스, 깃허브, 사운드 클라우드, 징가 등 많은 업체들이 서비스에 엔진엑스를 채용하고 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