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FreeBSD
(편집) (12)
(편집 필터 규칙)
6265,7747
=== 시작 === 처음 BSD 개발은 유닉스 제6판의 추가 기능(add-on)이라는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1977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대학원생이었던 빌 조이(Bill Joy)는 미니컴퓨터 PDP-11에 설치된 유닉스에 사용할 파스칼(Pascal) 컴파일러와 라인에디터 Ex를 작성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패키지를 만들어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이라는 이름으로 배포하였다. 그 이듬해 1978년에는 vi 에디터와 C 셸을 작성하고 이것을 포함한 두 번째 배포본 “Second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2BSD라는 약칭으로 불렸다. 이후 개량이 지속되어 1983년에는 유닉스 버전 7을 기반으로 한 온전한 운영 체제 배포본으로서 2.9BSD로 완성되었다. 한편, 1979년 말에는 새로 도입된 VAX 기종에서 3BSD가 탄생한다. 3BSD는 VAX용 유닉스인 UNIX/32V를 개량하여 가상메모리를 구현한 새로운 커널을 만들고 2BSD를 흡수하여 새로운 운영 체제로 만들어졌다. 이어 1980년에는 3BSD를 개량하여 4BSD가 만들어지고 그 성능을 개선한 4.1BSD가 1981년에 나왔으며, 1983년에는 TCP/IP 구현과 새로운 파일시스템 FFS를 포함한 4.2BSD가 개발되었다. 1986년에 발표된 4.3BSD는 기능 개선보다는 4.2BSD의 성능 향상이 주요 목표였는데, 4.3BSD 배포 후에 기존 VAX 시스템으로부터 Power 6/32로 이전하여 1988년 4.3BSD-Tahoe가 나오면서 코드를 시스템 의존적인 부분과 비의존적인 부분으로 나누는 한편, AT&T의 원본 유닉스 코드와 완전히 결합된 형태가 되었다. 이에 따라, BSD의 사용에서도 AT&T의 라이선스가 필요하게 되는데, AT&T 코드와 분리된 배포 요구에 따라 1989년 AT&T의 유닉스 코드를 제외한 ‘Networking Release 1 (Net/1)‘이 만들어지고 자유롭게 재배포할 수 있는 BSD 라이선스를 적용하였다. 1990년 초에는 4.3BSD-Reno가 나오며 CMU 마크(Mach)의 가상메모리 시스템과 Sun의 NFS이 구현되었다. 마침내 1991년에는 대부분의 AT&T 코드를 BSD 코드로 대체한 ‘Networking Release 2 (Net/2)‘가 나왔는데, 이것은 PC로 옮겨져 386BSD와 BSD/386의 기반이 되었다. 1992년에 발생한 저작권 및 상표권을 둘러싼 USL과 BSD의 법정 공방 끝에, 1994년 4.3BSD-Net/2는 AT&T 라이선스가 필요한 4.4BSD-Encumbered와 완전히 자유로운 4.4BSD-Lite로 나뉘어 다시 배포되었다. 1995년에는 BSD의 최종판인 4.4BSD-Lite Release 2가 나오며, CSRG는 그동안의 모든 연구와 개발을 마무리하고 해산하였다. 이즈음 386BSD는 FreeBSD와 NetBSD로 이어졌고 BSD/386은 BSD/OS이 되어 4.4BSD를 계승한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시작 === 처음 BSD 개발은 유닉스 제6판의 추가 기능(add-on)이라는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1977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대학원생이었던 빌 조이(Bill Joy)는 미니컴퓨터 PDP-11에 설치된 유닉스에 사용할 파스칼(Pascal) 컴파일러와 라인에디터 Ex를 작성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패키지를 만들어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이라는 이름으로 배포하였다. 그 이듬해 1978년에는 vi 에디터와 C 셸을 작성하고 이것을 포함한 두 번째 배포본 “Second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2BSD라는 약칭으로 불렸다. 이후 개량이 지속되어 1983년에는 유닉스 버전 7을 기반으로 한 온전한 운영 체제 배포본으로서 2.9BSD로 완성되었다. 한편, 1979년 말에는 새로 도입된 VAX 기종에서 3BSD가 탄생한다. 3BSD는 VAX용 유닉스인 UNIX/32V를 개량하여 가상메모리를 구현한 새로운 커널을 만들고 2BSD를 흡수하여 새로운 운영 체제로 만들어졌다. 이어 1980년에는 3BSD를 개량하여 4BSD가 만들어지고 그 성능을 개선한 4.1BSD가 1981년에 나왔으며, 1983년에는 TCP/IP 구현과 새로운 파일시스템 FFS를 포함한 4.2BSD가 개발되었다. 1986년에 발표된 4.3BSD는 기능 개선보다는 4.2BSD의 성능 향상이 주요 목표였는데, 4.3BSD 배포 후에 기존 VAX 시스템으로부터 Power 6/32로 이전하여 1988년 4.3BSD-Tahoe가 나오면서 코드를 시스템 의존적인 부분과 비의존적인 부분으로 나누는 한편, AT&T의 원본 유닉스 코드와 완전히 결합된 형태가 되었다. 이에 따라, BSD의 사용에서도 AT&T의 라이선스가 필요하게 되는데, AT&T 코드와 분리된 배포 요구에 따라 1989년 AT&T의 유닉스 코드를 제외한 ‘Networking Release 1 (Net/1)‘이 만들어지고 자유롭게 재배포할 수 있는 BSD 라이선스를 적용하였다. 1990년 초에는 4.3BSD-Reno가 나오며 CMU 마크(Mach)의 가상메모리 시스템과 Sun의 NFS이 구현되었다. 마침내 1991년에는 대부분의 AT&T 코드를 BSD 코드로 대체한 ‘Networking Release 2 (Net/2)‘가 나왔는데, 이것은 PC로 옮겨져 386BSD와 BSD/386의 기반이 되었다. 1992년에 발생한 저작권 및 상표권을 둘러싼 USL과 BSD의 법정 공방 끝에, 1994년 4.3BSD-Net/2는 AT&T 라이선스가 필요한 4.4BSD-Encumbered와 완전히 자유로운 4.4BSD-Lite로 나뉘어 다시 배포되었다. 1995년에는 BSD의 최종판인 4.4BSD-Lite Release 2가 나오며, CSRG는 그동안의 모든 연구와 개발을 마무리하고 해산하였다. 이즈음 386BSD는 FreeBSD와 NetBSD로 이어졌고 BSD/386은 BSD/OS이 되어 4.4BSD를 계승한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