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28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드림캐스트
(편집) (2)
(편집 필터 규칙)
2826,inf
== 역사 == 드림캐스트는 세가새턴의 열기가 플레이스테이션1에 밀려 점차 식어가는 1997년 즈음에 시작되었다. 세가는 세가새턴의 일본시장에서의 사실상 실패에 더해서 1위나 다름없었던 북미와 유럽시장을 통째로 빼앗기고 말았다는 뼈저린 후회속에서 이전세대에서 일방적으로 진행했던 차세대기의 개발에대한 논의를 북미와 공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특히 이 시기에 SOA, 세가 오브 어메리카의 대표는 E3쇼에서 ‘새턴은 우리의 미래가 아니다’라는 발언이 나올 정도로 일본 세가의 독선적인 태도로인한 실패에 반발하고 있었다) 세가 재팬과 세가 오브 어메리카는 서로 다른 기계를 설계하되 기본적으로 ‘개발이 용이하고’, ‘하드웨어적으로 커스텀화시켜 단가 하락에 용이한’ 하드웨어를 타겟으로 한다는 전제를 두고 시작하게 된다. 이것은 모두 결쟁기종이었던 플레이스테이션의 성공에서 본받은 것이었다. 그 결과로 두가지 샘플이 만들어지게 된다. 하나는 북미에서 디자인한 코드명 ‘블랙벨트(Blackbelt)’, 또 하나는 일본쪽에서 디자인한 코드명 ‘카타나(Katana)‘였다. 이 두 기종은 기본적으로 같은 방향성을 전제로 만들어졌으나 CPU와 그래픽 처리 로직을 각각 다른 것을 채용하고 있었다. 먼저 나온 것은 일본에서 디자인한 ‘카타나(Katana)‘로, 초기 코드명으로 버추어 파이터의 보스인 ‘듀랄(Dural)‘을 사용하여 먼저 알려졌으나 중간에 코드명이 ‘카타나’로 바뀌었다. 이 코드네임은 ‘칼(刀, かたな)‘에서 따온 것이 아니라 관서 지방 사투리로 ‘이겨야만 한다(카타나 아칸)‘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이 제품은 새턴의 CPU인 SH2를 만들었던 히타치가 만든 모바일 지향의 프로세서 SH4를 CPU로 장착하고 비디오로직(현 이미지네이션)에서 설계하고 NEC에서 생산할 예정이었던 효율성 중시의 GPU PowerVR을 장착한 기기였다. 뒤이어 만들어진 것은 미국쪽에서 설계한 ‘블랙벨트(Blackbelt)‘로, 실제로 외부에 유출된 적이 없어 명확치는 않으나, CPU로는 모토롤라의 PowerPC 계열을, GPU로는 3DFX사에서 만든 유명 칩셋 부두 시리즈가 장착될 예정이었다고 한다. 두 기종 모두 상당히 밸런스잡힌 성능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상당기간동안 경합을 다투었다. 블랙벨트의 경우 부두라는 이미 검증된 하드웨어 성능과 생산력으로 안정감이 있었고, 카타나의 경우엔 더 높은 성능과 낮은 단가, 효율성이 있었다. 경합 과정에서 여러 논의가 오갔으며, 일본과 미국 양쪽에서 많은 실험을 거친 결과 카타나 프로젝트가 승리를 거두는 형태로 결론이 나게 된다. 이 과정에는 성능도 성능이지만, 세가의 PC시장 진출과 맞물려서 드림캐스트에 당시 PC시장에 확산되어가고 있었던 마이크로소프트의 DirectX를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우 CE]] 커스텀 버전을 지원하려는 기획과도 연관되어 GLiDE로 대표되는 부두의 자체 라이브러리를 쓰는 것보다는 PowerVR 쪽이 더 유리하리라는 판단도 포함되어있었다. 이 과정에서 세가와 3DFX간에는 약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3DFX는 테스트기종에 장착된 자사의 칩셋과 커스텀을 제공하면서 자신들이 채택되리라고 확신한 나머지 ‘세가의 차세대기에 부두 칩이 들어간다’는 내용의 광고를 했던 것이다. 3DFX는 비밀준수 의무를 저버린 행위를 한것으로 인해 SOA와의 소송전이 벌어지게 되었던 것이다. 단 이 때문에 카타나 프로젝트가 선정된 것은 아니었다고 당시 세가 미국지부의 사장이었던 스톨라 씨는 밝히고 있다.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615150920/https://wiki.nex32.net/%EA%B2%8C%EC%9E%84%EA%B8%B0/%EB%93%9C%EB%A6%BC%EC%BA%90%EC%8A%A4%ED%8A%B8|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역사 == 드림캐스트는 세가새턴의 열기가 플레이스테이션1에 밀려 점차 식어가는 1997년 즈음에 시작되었다. 세가는 세가새턴의 일본시장에서의 사실상 실패에 더해서 1위나 다름없었던 북미와 유럽시장을 통째로 빼앗기고 말았다는 뼈저린 후회속에서 이전세대에서 일방적으로 진행했던 차세대기의 개발에대한 논의를 북미와 공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특히 이 시기에 SOA, 세가 오브 어메리카의 대표는 E3쇼에서 ‘새턴은 우리의 미래가 아니다’라는 발언이 나올 정도로 일본 세가의 독선적인 태도로인한 실패에 반발하고 있었다) 세가 재팬과 세가 오브 어메리카는 서로 다른 기계를 설계하되 기본적으로 ‘개발이 용이하고’, ‘하드웨어적으로 커스텀화시켜 단가 하락에 용이한’ 하드웨어를 타겟으로 한다는 전제를 두고 시작하게 된다. 이것은 모두 결쟁기종이었던 플레이스테이션의 성공에서 본받은 것이었다. 그 결과로 두가지 샘플이 만들어지게 된다. 하나는 북미에서 디자인한 코드명 ‘블랙벨트(Blackbelt)’, 또 하나는 일본쪽에서 디자인한 코드명 ‘카타나(Katana)‘였다. 이 두 기종은 기본적으로 같은 방향성을 전제로 만들어졌으나 CPU와 그래픽 처리 로직을 각각 다른 것을 채용하고 있었다. 먼저 나온 것은 일본에서 디자인한 ‘카타나(Katana)‘로, 초기 코드명으로 버추어 파이터의 보스인 ‘듀랄(Dural)‘을 사용하여 먼저 알려졌으나 중간에 코드명이 ‘카타나’로 바뀌었다. 이 코드네임은 ‘칼(刀, かたな)‘에서 따온 것이 아니라 관서 지방 사투리로 ‘이겨야만 한다(카타나 아칸)‘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이 제품은 새턴의 CPU인 SH2를 만들었던 히타치가 만든 모바일 지향의 프로세서 SH4를 CPU로 장착하고 비디오로직(현 이미지네이션)에서 설계하고 NEC에서 생산할 예정이었던 효율성 중시의 GPU PowerVR을 장착한 기기였다. 뒤이어 만들어진 것은 미국쪽에서 설계한 ‘블랙벨트(Blackbelt)‘로, 실제로 외부에 유출된 적이 없어 명확치는 않으나, CPU로는 모토롤라의 PowerPC 계열을, GPU로는 3DFX사에서 만든 유명 칩셋 부두 시리즈가 장착될 예정이었다고 한다. 두 기종 모두 상당히 밸런스잡힌 성능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상당기간동안 경합을 다투었다. 블랙벨트의 경우 부두라는 이미 검증된 하드웨어 성능과 생산력으로 안정감이 있었고, 카타나의 경우엔 더 높은 성능과 낮은 단가, 효율성이 있었다. 경합 과정에서 여러 논의가 오갔으며, 일본과 미국 양쪽에서 많은 실험을 거친 결과 카타나 프로젝트가 승리를 거두는 형태로 결론이 나게 된다. 이 과정에는 성능도 성능이지만, 세가의 PC시장 진출과 맞물려서 드림캐스트에 당시 PC시장에 확산되어가고 있었던 마이크로소프트의 DirectX를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우 CE]] 커스텀 버전을 지원하려는 기획과도 연관되어 GLiDE로 대표되는 부두의 자체 라이브러리를 쓰는 것보다는 PowerVR 쪽이 더 유리하리라는 판단도 포함되어있었다. 이 과정에서 세가와 3DFX간에는 약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3DFX는 테스트기종에 장착된 자사의 칩셋과 커스텀을 제공하면서 자신들이 채택되리라고 확신한 나머지 ‘세가의 차세대기에 부두 칩이 들어간다’는 내용의 광고를 했던 것이다. 3DFX는 비밀준수 의무를 저버린 행위를 한것으로 인해 SOA와의 소송전이 벌어지게 되었던 것이다. 단 이 때문에 카타나 프로젝트가 선정된 것은 아니었다고 당시 세가 미국지부의 사장이었던 스톨라 씨는 밝히고 있다.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615150920/https://wiki.nex32.net/%EA%B2%8C%EC%9E%84%EA%B8%B0/%EB%93%9C%EB%A6%BC%EC%BA%90%EC%8A%A4%ED%8A%B8|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