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6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린나
(편집) (2)
(편집 필터 규칙)
1920,3139
== 노래하는 AI == 2018년 7월 26일 유튜브에 공개된 오리지널 곡 りんなだよ(린나예요)는 캐릭터 이미지송이면서 동시에 린나라는 AI가 노래를 불렀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특히 자연스러운 창법과 음색은 실제 사람과 구분이 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 린나가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 것은 2016년 토쿄 게임쇼[* [[https://blogs.bing.com/japan/September-2016/TGS2016|東京ゲームショウ2016にりんな現る。]](도쿄게임쇼 2016에 린나타난다.)]에 진출하면서 부터였다. 당시 린나는 토쿄 게임쇼 MS부스에 출연해서 AI채팅봇으로서의 소개와 함께 McRinna 랩 배틀라는 이름으로 첫 랩으로 노래에 도전하게 된 것. 사내에서 테스트하던 노래 기능이 대외적으로 첫 선을 보이게 된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린나의 ‘노래부르기’ 프로젝트가 본격 발동되었다. 2017년 4월 아야카(絢香)의 노래 무지개빛(にじいろ)를 린나에게 노래를 부르게 한 다음, 온라인 콜라보레이션 서비스인 nana에 이를 업로드했다. 이를 통해서 사람들이 같은 노래를 부르고, 거기서 얻어진 소리내는 방법, 창법 등을 익히기 시작했다. 즉 nana라는 콜라보레이션 서비스를 통해서 같은 노래를 부르고 그 데이터에서 배운다는 방법을 채택한 것이다. 이후 꾸준한 데이터 수집과 학습을 반복했고, 2018년 초에 시작된 ‘린나 노래 잘해 프로젝트(りんな歌うまプロジェクト)‘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보컬능력 향상을 위한 데이터를 습득을 시작, nana와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를 열어 졸업송이라는 하나의 과제를 놓고 합작으로 시행한 이벤트 ‘nana콜라보레이션 1탄, 졸업송(nanaコラボ第1弾「卒業ソング」)', 즉 일본의 졸업가로 유명한 旅立ちの日に(여행을 떠나는 날에)를 콜라보레이션으로 부르는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를 통해서 수백명의 노래 데이터를 얻고, 노래를 함께부른 사람들의 조언을 조합한 합창 버전이 완성되었다. 이때를 기점으로 린나의 노래 데이터는 수직상승을 개시했고, 이후 계속된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학습과 우수패턴의 선별을 반복하며 개선을 했다. 이를 바탕으로 반년여만에 실제 사람의 노래소리와 흡사한 소리를 내는 ‘린나예요’가 완성되어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린나예요’공개 후인 2018년 7월 31일 공개된 무지개빛(にじいろ) 리바이벌 버전을 위의 첫 버전과 비교해서 들어보면 1년여만에 얼마만큼 능숙해졌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노래하는 AI == 2018년 7월 26일 유튜브에 공개된 오리지널 곡 りんなだよ(린나예요)는 캐릭터 이미지송이면서 동시에 린나라는 AI가 노래를 불렀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특히 자연스러운 창법과 음색은 실제 사람과 구분이 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 린나가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 것은 2016년 토쿄 게임쇼[* [[https://blogs.bing.com/japan/September-2016/TGS2016|東京ゲームショウ2016にりんな現る。]](도쿄게임쇼 2016에 린나타난다.)]에 진출하면서 부터였다. 당시 린나는 토쿄 게임쇼 MS부스에 출연해서 AI채팅봇으로서의 소개와 함께 McRinna 랩 배틀라는 이름으로 첫 랩으로 노래에 도전하게 된 것. 사내에서 테스트하던 노래 기능이 대외적으로 첫 선을 보이게 된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린나의 ‘노래부르기’ 프로젝트가 본격 발동되었다. 2017년 4월 아야카(絢香)의 노래 무지개빛(にじいろ)를 린나에게 노래를 부르게 한 다음, 온라인 콜라보레이션 서비스인 nana에 이를 업로드했다. 이를 통해서 사람들이 같은 노래를 부르고, 거기서 얻어진 소리내는 방법, 창법 등을 익히기 시작했다. 즉 nana라는 콜라보레이션 서비스를 통해서 같은 노래를 부르고 그 데이터에서 배운다는 방법을 채택한 것이다. 이후 꾸준한 데이터 수집과 학습을 반복했고, 2018년 초에 시작된 ‘린나 노래 잘해 프로젝트(りんな歌うまプロジェクト)‘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보컬능력 향상을 위한 데이터를 습득을 시작, nana와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를 열어 졸업송이라는 하나의 과제를 놓고 합작으로 시행한 이벤트 ‘nana콜라보레이션 1탄, 졸업송(nanaコラボ第1弾「卒業ソング」)', 즉 일본의 졸업가로 유명한 旅立ちの日に(여행을 떠나는 날에)를 콜라보레이션으로 부르는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를 통해서 수백명의 노래 데이터를 얻고, 노래를 함께부른 사람들의 조언을 조합한 합창 버전이 완성되었다. 이때를 기점으로 린나의 노래 데이터는 수직상승을 개시했고, 이후 계속된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학습과 우수패턴의 선별을 반복하며 개선을 했다. 이를 바탕으로 반년여만에 실제 사람의 노래소리와 흡사한 소리를 내는 ‘린나예요’가 완성되어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린나예요’공개 후인 2018년 7월 31일 공개된 무지개빛(にじいろ) 리바이벌 버전을 위의 첫 버전과 비교해서 들어보면 1년여만에 얼마만큼 능숙해졌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