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26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앨리스 인 사이버랜드
(편집) (2)
(편집 필터 규칙)
1313,1920
== 상세 == 그람스의 플레이스테이션 데뷔작으로, 당시 메인으로 제작하고있던 쿼바디스 시리즈와 더불어서 미디어 믹스로 전개하기 위해서 만든 게임으로, 제목은 척봐도 알 수 있듯 루이스 캐럴이 쓴 유명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거울 나라의 앨리스’를 패러디한 것으로, 번역하자면 ‘전뇌나라의 앨리스’라고 할 수 있겠다. 미디어 중심의 짧고 간단한 게임을 선호하는 사람에게는 충분히 어필할만한 작품이지만, 진중하게 바라보면 헛점이 많다는 중평. 게임의 길이도 짧아서 빨리 플레이하면 2~3시간만에 게임 클리어가능하다. 애니메이션을 보는 느낌으로 즐긴다면 충분히 즐길만한 작품이다. 미디어믹스 전개를 전제로 만든 작품답게 화려한 성우진을 자랑하며, 캐릭터 보컬을 비롯한 다양한 보컬곡과 애니메이션 영상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제작에 참여한 스탭들은 상당히 호화로워 크르노 크루세이드의 작가 모리야마 다이스케(森山大輔)가 캐릭터 디자인과 원화를, Serial experiments lain의 각본가 코나카 치아키(小中千昭)가 각본을 맡았다. 성우진도 아사다 요우코, 아라키 카에, 미야무라 요우코, 이노우에 키쿠코, 히카미 쿄코, 탄게 사쿠라 등 유명 성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상세 == 그람스의 플레이스테이션 데뷔작으로, 당시 메인으로 제작하고있던 쿼바디스 시리즈와 더불어서 미디어 믹스로 전개하기 위해서 만든 게임으로, 제목은 척봐도 알 수 있듯 루이스 캐럴이 쓴 유명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거울 나라의 앨리스’를 패러디한 것으로, 번역하자면 ‘전뇌나라의 앨리스’라고 할 수 있겠다. 미디어 중심의 짧고 간단한 게임을 선호하는 사람에게는 충분히 어필할만한 작품이지만, 진중하게 바라보면 헛점이 많다는 중평. 게임의 길이도 짧아서 빨리 플레이하면 2~3시간만에 게임 클리어가능하다. 애니메이션을 보는 느낌으로 즐긴다면 충분히 즐길만한 작품이다. 미디어믹스 전개를 전제로 만든 작품답게 화려한 성우진을 자랑하며, 캐릭터 보컬을 비롯한 다양한 보컬곡과 애니메이션 영상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제작에 참여한 스탭들은 상당히 호화로워 크르노 크루세이드의 작가 모리야마 다이스케(森山大輔)가 캐릭터 디자인과 원화를, Serial experiments lain의 각본가 코나카 치아키(小中千昭)가 각본을 맡았다. 성우진도 아사다 요우코, 아라키 카에, 미야무라 요우코, 이노우에 키쿠코, 히카미 쿄코, 탄게 사쿠라 등 유명 성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