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56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00:16:44] MZ세대
[00:16:21] 지싱
[00:16:20] MZ세대
[00:16:18] 헌터들이 집착하는 정신상...
[23:36:50] 장가행
[23:19:13] 이낙
[23:17:12] 핑키팝토이
[23:16:50] 류광인 : 시간의 칼날
[02:44:09] 체스
[02:43:55] 하프라이프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오딘 스피어 레이브스라시르
(편집) (2)
(편집 필터 규칙)
2080,4305
== 상세 == 2015년 7월 20일 니코니코동화에서 진행된 ‘아틀러스X바닐라웨어 신 본격 HD프로젝트’라는 방송을 통해서 오딘스피어의 HD리메이크버전인 레이브스라시르의 존재가 처음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당시 발표회장에서 이미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이 진행된 상태였으며, 데모영상을 통해서 고해상도로 리뉴얼된 그래픽과 개량된 전투시스템을 비롯한 각종 변경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픽의 경우 PS2판에 사용된 리소스를 리터치하여 1080P 고해상도로 완전 리뉴얼하여 각 씬이 거의 회화수준의 아름다움을 뽐내게 변경되었다. 단순히 PS2에 사용된 리소스를 고해상도로 뽑은 것이 아니라 HD해상도에 맞춰 리터칭하며 4:3해상도에 맞춰진 원본을 16:9 비율에 맞춰 재배치하면서 화면의 아트웍 또한 자연스럽게 재구성되었다. PS2 스펙 한계와 최적화 문제로 인하여 프레임 저하가 심화되었던 문제도 해결되었고 PS3, PS4 가정용 뿐만 아니라 휴대용 게임기인 PSV로도 이식되면서 플레이 환경을 넓혔다. 네트워크를 이용한 크로스 세이브 기능을 지원함으로서 가정용과 휴대용을 번갈아가면서 플레이할 수 이게 하는 등 편의성도 신경을 썼다. 일본회사의 특성인지 아쉽게도 크로스 바이는 지원하지 않아서 개별 타이틀을 구매해야한다. 기본적으로 HD 그래픽 리뉴얼을 메인으로 하지만, 그 뿐만 아니라 기본 시스템 전반에대한 대대적인 보수를 거쳐 기반만 동일하고 완전 다른 게임으로 환골탈태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바닐라웨어의 처녀작[* 프린세스 크라운은 바닐라웨어가 만들어지기 전에 아틀러스 소속으로 제작한 작품.]이었던 오딘 스피어는 기본적으로 프린세스 크라운(Princess Crown)의 후속작 감각으로 개발이 시작되어 매우 낡은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중에 만들어진 바닐라웨어의 게임인 오보로 무라마사(朧村正)나 드래곤즈 크라운(Dragon's Crown)의 요소를 참조하여 많은 부분을 개선했다. 가장 크게 바뀐 부분은 기본 공격기 사용에 POW게이지 소모가 사라져 기본기를 사용하는데 제약이 없어진 부분과 빨라진 액션(대신 클래식 모드보다 캐릭터가 약간 축소되어 출력됨), 다중 연속기 액션(공중 연속기 포함), 패시브, 액티브 스킬을 개방함으로서 임의적 캐릭터 성장이 가능해진 등의 액션 파트와, 게임 내부와 관련된 기능 모두를 심리스 형태로 별도 메뉴화면 없이 링 인벤토리 등으로 컨트롤하는 형식이었던 오리지널 형식에서 메뉴화면을 별도로 분리해 각종 편의성을 확대하고 소지 아이템 숫자를 대폭 늘린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신규 맵과 신규 몬스터 및 보스 등의 컨텐츠도 강화되었고, 그에 따라서 스테이지 랭크 집계 방식도 변경되었다. 그리고 스테이지 중간중간에 레시피와 재료를 주면 요리를 만들어주는 모리의 출장 레스토랑이 추가되어 레벨업을 위한 포존 농사(?) 의존도도 크게 낮아졌다. 그에 따라서 바닐라웨어의 특기인 다양한 음식 만들기와 먹는 모습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리파인된 버전 뿐만 아니라 PS2용 오리지널 스타일을 HD로 업그레이드된 화질로 즐길 수 있게 그대로 이식한 ‘클래식 모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PS2판이 궁금한 사람은 굳이 PS2판을 구매할 필요 없이 클래식 모드에 들어가서 바로 예전 시스템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세이브 파일은 리파인 모드와 완전 별개로 분리되어있으며, 어디까지나 부록에 가까운 요소라서 트로피 획득을 위해서 굳이 플레이할 필요는 없다. (게임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느끼기 위해서라도 잠깐은 플레이해보면 좋다) 2016년 1월 14일 일본에서 정식발매되었고, 아시아는 일본어 음성에 텍스트만 자국어 버전이 각각 발매되었다. 국내의 경우에는 일본과 같은 날 일본어판이, 아시아판이 발매된 4월 28일 한국어 자막판이 발매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어판 발매에서 설명.) 북미에는 영어 더빙된 버전이 6월 7일 발매되었고, 유럽 버전은 6월 24일 각각 발매되었다. 북미는 아틀러스 USA가, 유럽은 니뽄이치 소프트가, 호주는 반다이 남코에서 유통을 각각 담담하고있다. 발매 후 각종 웹진을 비롯한 게임 관련 매체에서 매우 큰 호평을 받았다. 원작의 후광도 있겠으나, 시스템 대부분을 뒤엎으며 최근 게임 분위기에 맞춰 일신한 공을 인정하는 평도 많이 받았다. 일본 이상으로 서양 미디어에서도 극찬을 받았고, 리메이크라는 마이너스 요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만 10만장 넘는 판매고를 올렸다. 4월 아시아권이나 6월 북미, 유럽, 호주에도 정식 발매가 이뤄지면서 판매량은 계속 늘어날 예정이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상세 == 2015년 7월 20일 니코니코동화에서 진행된 ‘아틀러스X바닐라웨어 신 본격 HD프로젝트’라는 방송을 통해서 오딘스피어의 HD리메이크버전인 레이브스라시르의 존재가 처음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당시 발표회장에서 이미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이 진행된 상태였으며, 데모영상을 통해서 고해상도로 리뉴얼된 그래픽과 개량된 전투시스템을 비롯한 각종 변경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픽의 경우 PS2판에 사용된 리소스를 리터치하여 1080P 고해상도로 완전 리뉴얼하여 각 씬이 거의 회화수준의 아름다움을 뽐내게 변경되었다. 단순히 PS2에 사용된 리소스를 고해상도로 뽑은 것이 아니라 HD해상도에 맞춰 리터칭하며 4:3해상도에 맞춰진 원본을 16:9 비율에 맞춰 재배치하면서 화면의 아트웍 또한 자연스럽게 재구성되었다. PS2 스펙 한계와 최적화 문제로 인하여 프레임 저하가 심화되었던 문제도 해결되었고 PS3, PS4 가정용 뿐만 아니라 휴대용 게임기인 PSV로도 이식되면서 플레이 환경을 넓혔다. 네트워크를 이용한 크로스 세이브 기능을 지원함으로서 가정용과 휴대용을 번갈아가면서 플레이할 수 이게 하는 등 편의성도 신경을 썼다. 일본회사의 특성인지 아쉽게도 크로스 바이는 지원하지 않아서 개별 타이틀을 구매해야한다. 기본적으로 HD 그래픽 리뉴얼을 메인으로 하지만, 그 뿐만 아니라 기본 시스템 전반에대한 대대적인 보수를 거쳐 기반만 동일하고 완전 다른 게임으로 환골탈태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바닐라웨어의 처녀작[* 프린세스 크라운은 바닐라웨어가 만들어지기 전에 아틀러스 소속으로 제작한 작품.]이었던 오딘 스피어는 기본적으로 프린세스 크라운(Princess Crown)의 후속작 감각으로 개발이 시작되어 매우 낡은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중에 만들어진 바닐라웨어의 게임인 오보로 무라마사(朧村正)나 드래곤즈 크라운(Dragon's Crown)의 요소를 참조하여 많은 부분을 개선했다. 가장 크게 바뀐 부분은 기본 공격기 사용에 POW게이지 소모가 사라져 기본기를 사용하는데 제약이 없어진 부분과 빨라진 액션(대신 클래식 모드보다 캐릭터가 약간 축소되어 출력됨), 다중 연속기 액션(공중 연속기 포함), 패시브, 액티브 스킬을 개방함으로서 임의적 캐릭터 성장이 가능해진 등의 액션 파트와, 게임 내부와 관련된 기능 모두를 심리스 형태로 별도 메뉴화면 없이 링 인벤토리 등으로 컨트롤하는 형식이었던 오리지널 형식에서 메뉴화면을 별도로 분리해 각종 편의성을 확대하고 소지 아이템 숫자를 대폭 늘린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신규 맵과 신규 몬스터 및 보스 등의 컨텐츠도 강화되었고, 그에 따라서 스테이지 랭크 집계 방식도 변경되었다. 그리고 스테이지 중간중간에 레시피와 재료를 주면 요리를 만들어주는 모리의 출장 레스토랑이 추가되어 레벨업을 위한 포존 농사(?) 의존도도 크게 낮아졌다. 그에 따라서 바닐라웨어의 특기인 다양한 음식 만들기와 먹는 모습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리파인된 버전 뿐만 아니라 PS2용 오리지널 스타일을 HD로 업그레이드된 화질로 즐길 수 있게 그대로 이식한 ‘클래식 모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PS2판이 궁금한 사람은 굳이 PS2판을 구매할 필요 없이 클래식 모드에 들어가서 바로 예전 시스템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세이브 파일은 리파인 모드와 완전 별개로 분리되어있으며, 어디까지나 부록에 가까운 요소라서 트로피 획득을 위해서 굳이 플레이할 필요는 없다. (게임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느끼기 위해서라도 잠깐은 플레이해보면 좋다) 2016년 1월 14일 일본에서 정식발매되었고, 아시아는 일본어 음성에 텍스트만 자국어 버전이 각각 발매되었다. 국내의 경우에는 일본과 같은 날 일본어판이, 아시아판이 발매된 4월 28일 한국어 자막판이 발매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어판 발매에서 설명.) 북미에는 영어 더빙된 버전이 6월 7일 발매되었고, 유럽 버전은 6월 24일 각각 발매되었다. 북미는 아틀러스 USA가, 유럽은 니뽄이치 소프트가, 호주는 반다이 남코에서 유통을 각각 담담하고있다. 발매 후 각종 웹진을 비롯한 게임 관련 매체에서 매우 큰 호평을 받았다. 원작의 후광도 있겠으나, 시스템 대부분을 뒤엎으며 최근 게임 분위기에 맞춰 일신한 공을 인정하는 평도 많이 받았다. 일본 이상으로 서양 미디어에서도 극찬을 받았고, 리메이크라는 마이너스 요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만 10만장 넘는 판매고를 올렸다. 4월 아시아권이나 6월 북미, 유럽, 호주에도 정식 발매가 이뤄지면서 판매량은 계속 늘어날 예정이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