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윌리 웜뱃
(편집) (2)
(편집 필터 규칙)
1408,2345
== 상세 == 윌리 웜뱃은 당시 새턴에 주력하던 허드슨이 유통한 외주제작 게임들 중 하나로, 제작발표시부터 마츠시타 스스무의 일러스트를 전면에 내세워 홍보했다. 게임의 대사들은 전부 음성 지원이 되지만, 특이하게도 영어로만 더빙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게임은 일본에서만 발매되고 미국을 포함한 서구권에는 아예 나오지 못했다. 특이사항이라면, 너티독이 만든 크래쉬 밴디쿳의 원래 프로젝트명이 ‘윌리 더 웜뱃(Willie the wombat)‘이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먼저 등록된 이 게임의 존재로 인해서(발매는 더 늦었지만) 제목이 ‘크래쉬 밴디쿳’으로 변경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발매된 벌크슬래쉬 (Bulk Slash, バルクスラッシュ)와 마찬가지로 허드슨이 유통은 담당했지만 큰 자본을 투자하지도 않았고 크게 홍보를 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조용히 묻혀버린 게임이다. 고전적인 쿼터뷰 액션게임 감각을 3D배경에서 살려낸 것이 매력포인트로, 게임 발표시에는 경쟁기종인 PS1의 크래쉬 밴디쿳이나 슈퍼 마리오 64의 경쟁자가 되리라는 예측도 있었으나, 게임 자체가 너무 고전적인 게임에 가깝워 화려함이 부족한 그래픽, 높은 난이도로 악명을 높였을 뿐 화제거리도 되지 못했다. 나온 시기를 감안해도 확실히 저렴하게 만든 티가 풀풀나는데다가 마츠시타 스스무 특유의 이질적 디자인과 고난이도, 거기에 (의도한 바겠지만) 영어로 더빙된 대사가 서양게임같은 느낌을 강하게 주던 탓인지 일본에서는 거의 완벽하게 망했다. 미국의 가수 돈 마리 무어(Dawn Marie Moore)가 오프닝 엔딩곡을 부르기도 했지만, OST는 물론이고 정식 싱글앨범 한장 내지 못하고 사라졌을 정도로 정말 완벽하게 쫄딱망해버렸다. 그러나 무게있는 시나리오, 32비트기에서 역으로 줄어든 기믹을 이용한 공략법을 즐기는 게임 시스템 등은 일부에게 호평을 받아서 의외로 진성팬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상세 == 윌리 웜뱃은 당시 새턴에 주력하던 허드슨이 유통한 외주제작 게임들 중 하나로, 제작발표시부터 마츠시타 스스무의 일러스트를 전면에 내세워 홍보했다. 게임의 대사들은 전부 음성 지원이 되지만, 특이하게도 영어로만 더빙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게임은 일본에서만 발매되고 미국을 포함한 서구권에는 아예 나오지 못했다. 특이사항이라면, 너티독이 만든 크래쉬 밴디쿳의 원래 프로젝트명이 ‘윌리 더 웜뱃(Willie the wombat)‘이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먼저 등록된 이 게임의 존재로 인해서(발매는 더 늦었지만) 제목이 ‘크래쉬 밴디쿳’으로 변경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발매된 벌크슬래쉬 (Bulk Slash, バルクスラッシュ)와 마찬가지로 허드슨이 유통은 담당했지만 큰 자본을 투자하지도 않았고 크게 홍보를 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조용히 묻혀버린 게임이다. 고전적인 쿼터뷰 액션게임 감각을 3D배경에서 살려낸 것이 매력포인트로, 게임 발표시에는 경쟁기종인 PS1의 크래쉬 밴디쿳이나 슈퍼 마리오 64의 경쟁자가 되리라는 예측도 있었으나, 게임 자체가 너무 고전적인 게임에 가깝워 화려함이 부족한 그래픽, 높은 난이도로 악명을 높였을 뿐 화제거리도 되지 못했다. 나온 시기를 감안해도 확실히 저렴하게 만든 티가 풀풀나는데다가 마츠시타 스스무 특유의 이질적 디자인과 고난이도, 거기에 (의도한 바겠지만) 영어로 더빙된 대사가 서양게임같은 느낌을 강하게 주던 탓인지 일본에서는 거의 완벽하게 망했다. 미국의 가수 돈 마리 무어(Dawn Marie Moore)가 오프닝 엔딩곡을 부르기도 했지만, OST는 물론이고 정식 싱글앨범 한장 내지 못하고 사라졌을 정도로 정말 완벽하게 쫄딱망해버렸다. 그러나 무게있는 시나리오, 32비트기에서 역으로 줄어든 기믹을 이용한 공략법을 즐기는 게임 시스템 등은 일부에게 호평을 받아서 의외로 진성팬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