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210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편집) (2)
(편집 필터 규칙)
960,3173
== 전개 == 1946년 11월 프랑스는 베트남의 항구도시인 하이퐁을 무차별 포격했다. 프랑스군의 무차별 포격으로 그날 대략 6000명 이상의 민간인이 학살당했고, 하이퐁을 무자비하게 폭격한 프랑스군은 1946년 12월 수도 하노이에 입성하여 베트민군과의 전투를 전개했다. 당연히 장비면에서 우수했던 프랑스군은 베트민군을 하노이에서 쫒아냈고, 베트민들은 프랑스군에 맞서 게릴라전을 전개하게 됐다. 이에 맞서 베트민을 지휘하던 보 응우옌 잡 장군은 1947년 1월 탄라오로 완전히 철수할 때까지 하노이의 후방 교란적전을 계속했다.<ref>베트남 10000일의 전쟁 p.59</ref> 하지만 압도적인 화력으로 승승장구하던 프랑스군은 1947년 10월 레아 작전을 전개하여 베트민군의 거점인 비엣 박을 공격하여 호치민을 체포할 뻔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호치민을 체포하지 못했고, 베트민을 상대로 사실상 진전이 없는 전투를 치렀다. 1949년 베트민에게도 전황적으로 유리한 상황이 전개되기 시작했는데, 그 해 10월 1일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이 국공내전에서 승리했기 때문이다. 1950년에는 마오쩌둥의 중국과 스탈린의 소련이 프랑스의 침략에 맞서 독립투쟁을 전개하고 있던 베트민을 공식적으로 인정했고, 마오쩌둥은 중월 국경지대 근처에서 베트민들을 훈련시키며, 무기 및 물자를 제공했다. 이에 힘입은 베트님은 1950년 10월 말에는 북부 통킹지역의 홍강 삼각주 전역에 입성함으로써 프랑스군을 격퇴시켰다. 더 나아가 베트민을 지휘하던 보 응우옌 잡은 그해 12월 총 공격을 계획했고, 1951년 2월에 총 공격을 개시했다. 그러나 프랑스 측은 미국으로 부터 지원받은 네이팜 폭탄으로 맞섰고, 총 공격은 처참한 실패로 끝이 났다. 1945년 호치민이 도움을 요청했을 당시 미국은 그저 이를 방관했었지만, 1946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일어나고, 1949년에서 1950년 사이 중국의 공산화와 소련의 핵개발 그리고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미국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자본주의 대 공산주의의 대결로 바라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은 프랑스에게 상당한 물자를 제공했고, 1954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끝날 때 까지 대략 80%에 달하는 전쟁비용을 프랑스 대신 지불했다. 당시 프랑스군을 보면 M-1 개런드 소총이나, M1A1 톰슨 기관단총 그리고 M1 카빈 소총으로 무장했고, 무스탕 전투기나 네이팜 폭탄을 사용했었는데, 그게 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미국이 프랑스에게 제공한 무기들이었다. 어쨌든 보 응우옌 잡이 계획했던 총 공격은 실패로 끝이났고, 상황은 크게 반전되지 않았다. 그러나 1952년 다시 베트민에게 전세는 유리하게 전개되는데, 호아 빈 전투의 승리가 전세를 역전시킬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호아 빈 전투에서 승리한 베트민은 이에 힘입어 1953년에는 대부분의 북베트남의 통킹 지역을 장악하게 됐고, 라오스까지 넘보는 상횡이 되었다. 프랑스의 앙리 나바르는 1953년 11월 라오스 국경지대 근처에 있는 디엔 비엔 푸 지역에 대규모의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점령한 뒤, 대규모 요새를 구축하고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주둔시켰다. 1954년 제네바 회담이 시작되기 전 베트남과 프랑스 양측은 서로가 우위를 점하기 위해 대규모의 전투를 치를 준비를 했었는데, 그게 바로 디엔 비엔 푸 전투였던 것이다. 디엔비엔푸 전투는 1954년 3월 13일에 시작되었다. 디엔 비엔 푸 전투 당시 보 응우옌 잡 장군은 대략 50000명의 병사로 1만 6천 명의 프랑스군을 섬멸하기 위해 디엔 비엔 푸 비행장을 사방에서 포위했다. 잡 장군 휘하의 베트민들은 200대 이상의 대포를 순수 인력으로 산에다 배치했고, 따라서 프랑스군의 비행장을 포위할 수 있었다. 3월 13일 포위를 시작한 베트민군은 프랑스군 기지를 향해 대포를 발사했다. 당시 디엔 비엔 푸를 방어하던 프랑스군은 병력 지원을 받기 위해선 비행기를 통해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불리했고, 그런 상태에서 전투를 치렀다. 결국 디엔 비엔 푸 전투는 1954년 5월 초 프랑스군의 외각 방어선이 뚫리며 내부 방어선 까지 붕괴되자 그해 5월 7일 56일 간의 포위 끝에 프랑스군 1만 명 이상이 베트민군에게 항복하면서 끝이났다. 디엔 비엔 푸 전투가 베트민의 승리로 끝나면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도 끝이 나게 된다. 당시 미국은 디엔 비엔 푸 전투에 병력 투입까지 고려했지만, 병력 투입을 결정하기 전 프랑스 측의 디엔 비엔 푸 요새가 함락되면서, 병력 투입은 하지 않았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전개 == 1946년 11월 프랑스는 베트남의 항구도시인 하이퐁을 무차별 포격했다. 프랑스군의 무차별 포격으로 그날 대략 6000명 이상의 민간인이 학살당했고, 하이퐁을 무자비하게 폭격한 프랑스군은 1946년 12월 수도 하노이에 입성하여 베트민군과의 전투를 전개했다. 당연히 장비면에서 우수했던 프랑스군은 베트민군을 하노이에서 쫒아냈고, 베트민들은 프랑스군에 맞서 게릴라전을 전개하게 됐다. 이에 맞서 베트민을 지휘하던 보 응우옌 잡 장군은 1947년 1월 탄라오로 완전히 철수할 때까지 하노이의 후방 교란적전을 계속했다.<ref>베트남 10000일의 전쟁 p.59</ref> 하지만 압도적인 화력으로 승승장구하던 프랑스군은 1947년 10월 레아 작전을 전개하여 베트민군의 거점인 비엣 박을 공격하여 호치민을 체포할 뻔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호치민을 체포하지 못했고, 베트민을 상대로 사실상 진전이 없는 전투를 치렀다. 1949년 베트민에게도 전황적으로 유리한 상황이 전개되기 시작했는데, 그 해 10월 1일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이 국공내전에서 승리했기 때문이다. 1950년에는 마오쩌둥의 중국과 스탈린의 소련이 프랑스의 침략에 맞서 독립투쟁을 전개하고 있던 베트민을 공식적으로 인정했고, 마오쩌둥은 중월 국경지대 근처에서 베트민들을 훈련시키며, 무기 및 물자를 제공했다. 이에 힘입은 베트님은 1950년 10월 말에는 북부 통킹지역의 홍강 삼각주 전역에 입성함으로써 프랑스군을 격퇴시켰다. 더 나아가 베트민을 지휘하던 보 응우옌 잡은 그해 12월 총 공격을 계획했고, 1951년 2월에 총 공격을 개시했다. 그러나 프랑스 측은 미국으로 부터 지원받은 네이팜 폭탄으로 맞섰고, 총 공격은 처참한 실패로 끝이 났다. 1945년 호치민이 도움을 요청했을 당시 미국은 그저 이를 방관했었지만, 1946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일어나고, 1949년에서 1950년 사이 중국의 공산화와 소련의 핵개발 그리고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미국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자본주의 대 공산주의의 대결로 바라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은 프랑스에게 상당한 물자를 제공했고, 1954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끝날 때 까지 대략 80%에 달하는 전쟁비용을 프랑스 대신 지불했다. 당시 프랑스군을 보면 M-1 개런드 소총이나, M1A1 톰슨 기관단총 그리고 M1 카빈 소총으로 무장했고, 무스탕 전투기나 네이팜 폭탄을 사용했었는데, 그게 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미국이 프랑스에게 제공한 무기들이었다. 어쨌든 보 응우옌 잡이 계획했던 총 공격은 실패로 끝이났고, 상황은 크게 반전되지 않았다. 그러나 1952년 다시 베트민에게 전세는 유리하게 전개되는데, 호아 빈 전투의 승리가 전세를 역전시킬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호아 빈 전투에서 승리한 베트민은 이에 힘입어 1953년에는 대부분의 북베트남의 통킹 지역을 장악하게 됐고, 라오스까지 넘보는 상횡이 되었다. 프랑스의 앙리 나바르는 1953년 11월 라오스 국경지대 근처에 있는 디엔 비엔 푸 지역에 대규모의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점령한 뒤, 대규모 요새를 구축하고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주둔시켰다. 1954년 제네바 회담이 시작되기 전 베트남과 프랑스 양측은 서로가 우위를 점하기 위해 대규모의 전투를 치를 준비를 했었는데, 그게 바로 디엔 비엔 푸 전투였던 것이다. 디엔비엔푸 전투는 1954년 3월 13일에 시작되었다. 디엔 비엔 푸 전투 당시 보 응우옌 잡 장군은 대략 50000명의 병사로 1만 6천 명의 프랑스군을 섬멸하기 위해 디엔 비엔 푸 비행장을 사방에서 포위했다. 잡 장군 휘하의 베트민들은 200대 이상의 대포를 순수 인력으로 산에다 배치했고, 따라서 프랑스군의 비행장을 포위할 수 있었다. 3월 13일 포위를 시작한 베트민군은 프랑스군 기지를 향해 대포를 발사했다. 당시 디엔 비엔 푸를 방어하던 프랑스군은 병력 지원을 받기 위해선 비행기를 통해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불리했고, 그런 상태에서 전투를 치렀다. 결국 디엔 비엔 푸 전투는 1954년 5월 초 프랑스군의 외각 방어선이 뚫리며 내부 방어선 까지 붕괴되자 그해 5월 7일 56일 간의 포위 끝에 프랑스군 1만 명 이상이 베트민군에게 항복하면서 끝이났다. 디엔 비엔 푸 전투가 베트민의 승리로 끝나면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도 끝이 나게 된다. 당시 미국은 디엔 비엔 푸 전투에 병력 투입까지 고려했지만, 병력 투입을 결정하기 전 프랑스 측의 디엔 비엔 푸 요새가 함락되면서, 병력 투입은 하지 않았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