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62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자유주의
(편집) (3)
(편집 필터 규칙)
627,1840
=== 개인의 권리 === 언론의 자유, 양심의 자유, 종교의 자유, 집회의 자유, 출판의 자유 등 인간 행위의 부문별 자유를 주장한다. 이러한 자유는 그 성격상 독립적으로 나열할 수 있는 성격은 아니며, 헌법 구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장되는 권리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재산권·생명권·평등권을 가지고(=부여된) 있는 존재라는 천부인권(天賦人權, natural rights)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자유주의 사상에 따르면, 권리는 보편적으로 부여된 것이기에 의무 수반과 관계가 없이 인간에게는 태초의 권리를 누릴 수 있는 실질적 환경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원칙이 존재한다. 천부인권은 영국의 권리장전·미국 독립선언·프랑스 인권선언·세계인권선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엄관용 저, '전제권력의 해체와 근대정치로의 이행: 고전적 자유주의의 정치적 함의'(2007년, 세종연구소) 참조]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입장에서 자유주의 천부인권을 해석할 때, 이는 전형적인 관념론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입장에서 개인의 권리는 공중누각식의 개념이 아니며, 생산력과 생산 관계에 따른 모순의 특정한 단계에 따른, 인간의 의식 행위로서 등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권리의 내용은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모순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불변의 것이 아니다. 오늘날 자유주의에서 여성 참정권은 빠질 수 없는 요소이나, 근대 시기 자유주의 이론가들은 여성의 참정권에 대해서 기회주의적 입장을 내보였었다. 일례로, 프랑스는 1944년이 되어서야 여성 참정권을 인정했다.[* [[https://information.tv5monde.com/terriennes/21-avril-1944-les-francaises-ont-enfin-le-droit-de-voter-3230|"21 avril 1944 : les Françaises ont (enfin) le droit de voter"]]. tv5monde.com. December 24, 2014.] 영국은 1918년에 여성 참정권을 인정했으나, 남성에 비해 더 높은 나이를 요구했기에 사실상 제한적인 참정권을 보장한 것에 불과했다. 이러한 나이 제한은 1928년에 되어서야 남성과 동등한 수준으로 개정된다.[* Peter N. Stearns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modern world, Volume 7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p. 160]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개인의 권리 === 언론의 자유, 양심의 자유, 종교의 자유, 집회의 자유, 출판의 자유 등 인간 행위의 부문별 자유를 주장한다. 이러한 자유는 그 성격상 독립적으로 나열할 수 있는 성격은 아니며, 헌법 구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장되는 권리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재산권·생명권·평등권을 가지고(=부여된) 있는 존재라는 천부인권(天賦人權, natural rights)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자유주의 사상에 따르면, 권리는 보편적으로 부여된 것이기에 의무 수반과 관계가 없이 인간에게는 태초의 권리를 누릴 수 있는 실질적 환경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원칙이 존재한다. 천부인권은 영국의 권리장전·미국 독립선언·프랑스 인권선언·세계인권선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엄관용 저, '전제권력의 해체와 근대정치로의 이행: 고전적 자유주의의 정치적 함의'(2007년, 세종연구소) 참조]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입장에서 자유주의 천부인권을 해석할 때, 이는 전형적인 관념론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입장에서 개인의 권리는 공중누각식의 개념이 아니며, 생산력과 생산 관계에 따른 모순의 특정한 단계에 따른, 인간의 의식 행위로서 등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권리의 내용은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모순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불변의 것이 아니다. 오늘날 자유주의에서 여성 참정권은 빠질 수 없는 요소이나, 근대 시기 자유주의 이론가들은 여성의 참정권에 대해서 기회주의적 입장을 내보였었다. 일례로, 프랑스는 1944년이 되어서야 여성 참정권을 인정했다.[* [[https://information.tv5monde.com/terriennes/21-avril-1944-les-francaises-ont-enfin-le-droit-de-voter-3230|"21 avril 1944 : les Françaises ont (enfin) le droit de voter"]]. tv5monde.com. December 24, 2014.] 영국은 1918년에 여성 참정권을 인정했으나, 남성에 비해 더 높은 나이를 요구했기에 사실상 제한적인 참정권을 보장한 것에 불과했다. 이러한 나이 제한은 1928년에 되어서야 남성과 동등한 수준으로 개정된다.[* Peter N. Stearns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modern world, Volume 7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p. 16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