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괭이갈매기 울 적에
(편집) (30)
(편집 필터 규칙)
20356,21855
=== 시리즈 구성 === 각 화의 부제로 체스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에피소드 || # || 부제 (해설) || || Episode1 || ep I-I (제1화)[br]ep I-II (제2화)[br]ep I-III (제3화)[br]ep I-IV (제4화)[br]ep I-V (제5화) || opening (대국의 시작 부분)[br]first move (첫 수)[br]dubious move3 (나쁜 수)[br]blunder (중대한 실수)[br]fool's mate (어이없는 체크메이트) || || Episode2 || ep II-I (제6화)[br]ep II-II (제7화)[br]ep II-III (제8화)[br]ep II-IV (제9화)[br]ep II-V (제10화)[br]ep II-VI (제11화) || middle game (대국의 중간 부분)[br]early queen move (퀸의 조기 사용)[br]weak square[* 방영시에는 week square였으나 후에 수정되었다.] (취약한 부분)[br]skewer (스큐어)[* 일직선상에 있는 복수의 상대편 말을 동시에 공격하는 기술. 꼬챙이로 끼우는 듯한 모양새라서 꼬챙이를 의미하는 skewer라고 이름붙여졌다.][br]accept (허용)[br]back rank mate (허술한 본진에 체크메이트) || || Episode3 || ep III-I (제12화)[br]ep III-II (제13화)[br]ep III-III (제14화)[br]ep III-IV (제15화)[br]ep III-V (제16화)[br]ep III-VI (제17화)[br]ep III-VII (제18화) || castling (캐슬링)[* 체스에서 킹과 룩이 서로 위치를 교환하는 기술. 킹을 보호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체스 기술 중 하나이다.][br]gambit (속임수)[br]positional play (포지션 중시 플레이)[br]isolated pawn (고립된 폰)[br]queening square (폰의 승급단계)[br]promotion (승급)[* 폰이 전진을 거듭해 가장 마지막 줄(Rank)에 도착하면 퀸, 룩, 비숍, 나이트 중에 하나로 승급할 수 있는 룰을 말한다.][br]swindles (모험적인 수) || || Episode4 || ep IV-I (제19화)[br]ep IV-II (제20화)[br]ep IV-III (제21화)[br]ep IV-IV (제22화)[br]ep IV-V (제23화)[br]ep IV-VI (제24화)[br]ep IV-VII (제25화)[br]ep IV-VIII (제26화) || end game (대국의 마지막 부분)[br]zugzwang (불리하지만 피할 수 없는 강요된 수)[br]prophylaxis (위협)[br]problem child (폰에 가로막혀 움직이지 못하는 비숍)[br]breakthrough (희생을 내면서 적의 진형을 부수기)[br]adjourn (휴식)[br]forced move (강요된 수)[br]sacrifice (희생) ||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시리즈 구성 === 각 화의 부제로 체스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에피소드 || # || 부제 (해설) || || Episode1 || ep I-I (제1화)[br]ep I-II (제2화)[br]ep I-III (제3화)[br]ep I-IV (제4화)[br]ep I-V (제5화) || opening (대국의 시작 부분)[br]first move (첫 수)[br]dubious move3 (나쁜 수)[br]blunder (중대한 실수)[br]fool's mate (어이없는 체크메이트) || || Episode2 || ep II-I (제6화)[br]ep II-II (제7화)[br]ep II-III (제8화)[br]ep II-IV (제9화)[br]ep II-V (제10화)[br]ep II-VI (제11화) || middle game (대국의 중간 부분)[br]early queen move (퀸의 조기 사용)[br]weak square[* 방영시에는 week square였으나 후에 수정되었다.] (취약한 부분)[br]skewer (스큐어)[* 일직선상에 있는 복수의 상대편 말을 동시에 공격하는 기술. 꼬챙이로 끼우는 듯한 모양새라서 꼬챙이를 의미하는 skewer라고 이름붙여졌다.][br]accept (허용)[br]back rank mate (허술한 본진에 체크메이트) || || Episode3 || ep III-I (제12화)[br]ep III-II (제13화)[br]ep III-III (제14화)[br]ep III-IV (제15화)[br]ep III-V (제16화)[br]ep III-VI (제17화)[br]ep III-VII (제18화) || castling (캐슬링)[* 체스에서 킹과 룩이 서로 위치를 교환하는 기술. 킹을 보호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체스 기술 중 하나이다.][br]gambit (속임수)[br]positional play (포지션 중시 플레이)[br]isolated pawn (고립된 폰)[br]queening square (폰의 승급단계)[br]promotion (승급)[* 폰이 전진을 거듭해 가장 마지막 줄(Rank)에 도착하면 퀸, 룩, 비숍, 나이트 중에 하나로 승급할 수 있는 룰을 말한다.][br]swindles (모험적인 수) || || Episode4 || ep IV-I (제19화)[br]ep IV-II (제20화)[br]ep IV-III (제21화)[br]ep IV-IV (제22화)[br]ep IV-V (제23화)[br]ep IV-VI (제24화)[br]ep IV-VII (제25화)[br]ep IV-VIII (제26화) || end game (대국의 마지막 부분)[br]zugzwang (불리하지만 피할 수 없는 강요된 수)[br]prophylaxis (위협)[br]problem child (폰에 가로막혀 움직이지 못하는 비숍)[br]breakthrough (희생을 내면서 적의 진형을 부수기)[br]adjourn (휴식)[br]forced move (강요된 수)[br]sacrifice (희생) ||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