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세가 마스터 시스템
(편집) (4)
(편집 필터 규칙)
4353,5720
=== 북미 마스터 시스템 발매 === 1986년 6월, ‘마스터 시스템’의 첫 발매국가인 미국은 세가에게 있어서는 낯선 시장으로, 1년 앞선 1985년 닌텐도가 미국에서 패밀리 컴퓨터를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약칭 NES)‘으로 출시해 큰 성공을 거두는 것에서 자극받아 시작되었다. 닌텐도가 패밀리를 미국 시장에 맞춰 디자인부터 완전 리뉴얼한 것에 착안, 세가도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코드명 ‘M4 (마크4)‘라는 프로젝트를 운용하여 세가 마스터 시스템이 탄생하게 된다. 미국에서 마스터 시스템은 주변기기 등을 동봉하여 판매되어 모든 셋트를 갖출 때 마스터 시스템이라고 부르며, 본체에 한해서는 파워베이스(Power Base)라고 부르곤 한다. 다음은 북미판 세가 마스터 시스템이 세가 마크3에서 변경된 사항들이다. * 북미 취향에 맞춰 마스터 시스템의 디자인과 색상을 블랙계통으로 일신 * 광선총 단자 추가 * 리셋 버튼 추가 * 카트리지 단자를 일본 카트리지에서 북미용 카트리지로 변경 * SG-1000 호환 확장 단자 (SK-1100 와 FM 사운드 장치 연결)의 폐지 * BIOS탑재 (카트리지 없이 전원을 켜면 경고를 출력. 이전까지는 팩에 BIOS가 내장되어 자체적으로는 아무것도 출력이 안되었음. 최종 v1.3) 발매는 세가의 미국 법인인 세가 오브 아메리카 (SOA)에 의해 이루어졌다. 세가 마크3와 가장 크게 변한 점은 외형 디자인으로, 하얀색 기반이었던 세가 마크3를 검정색 기반으로 바꾸었으며, 장난감같은 느낌이 들던 마크3의 디자인을 좀 더 위용있는 SF적 디자인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광선총 단자가 추가됨으로서 닌텐도의 인기 게임인 오리사냥 등의 건슈팅 계열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변경되었다. 게임 패키지 자체에 광선총과 기본 소프트웨어가 동봉된 패키지를 선보이는 등 다양한 마켓팅을 실시하였다. 카트리지 디자인을 변경해 국가코드 대신 혼용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데, 이는 일본의 세가 마크3의 팩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했다.[* 이러한 구조도 닌텐도가 먼저 실시했다. ~~만악의 근원 닌텐도~~] 그러나 카트리지 구조만 변경되었을 뿐 데이터 전송 방식은 동일하여 컨버터를 사용하면 서로의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 연결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소프트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을 켜면 경고화면이 출력되는데, 이 화면에서 숨겨진 커멘드를 넣으면 미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비법이 존재한다. 참고로 일본판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중에 발매된 마스터 시스템2 등에서는 내장 소프트웨어가 기기 내부에 갖춰져 있어서, 게임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을 켜면 내장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도록 설계되어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북미 마스터 시스템 발매 === 1986년 6월, ‘마스터 시스템’의 첫 발매국가인 미국은 세가에게 있어서는 낯선 시장으로, 1년 앞선 1985년 닌텐도가 미국에서 패밀리 컴퓨터를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약칭 NES)‘으로 출시해 큰 성공을 거두는 것에서 자극받아 시작되었다. 닌텐도가 패밀리를 미국 시장에 맞춰 디자인부터 완전 리뉴얼한 것에 착안, 세가도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코드명 ‘M4 (마크4)‘라는 프로젝트를 운용하여 세가 마스터 시스템이 탄생하게 된다. 미국에서 마스터 시스템은 주변기기 등을 동봉하여 판매되어 모든 셋트를 갖출 때 마스터 시스템이라고 부르며, 본체에 한해서는 파워베이스(Power Base)라고 부르곤 한다. 다음은 북미판 세가 마스터 시스템이 세가 마크3에서 변경된 사항들이다. * 북미 취향에 맞춰 마스터 시스템의 디자인과 색상을 블랙계통으로 일신 * 광선총 단자 추가 * 리셋 버튼 추가 * 카트리지 단자를 일본 카트리지에서 북미용 카트리지로 변경 * SG-1000 호환 확장 단자 (SK-1100 와 FM 사운드 장치 연결)의 폐지 * BIOS탑재 (카트리지 없이 전원을 켜면 경고를 출력. 이전까지는 팩에 BIOS가 내장되어 자체적으로는 아무것도 출력이 안되었음. 최종 v1.3) 발매는 세가의 미국 법인인 세가 오브 아메리카 (SOA)에 의해 이루어졌다. 세가 마크3와 가장 크게 변한 점은 외형 디자인으로, 하얀색 기반이었던 세가 마크3를 검정색 기반으로 바꾸었으며, 장난감같은 느낌이 들던 마크3의 디자인을 좀 더 위용있는 SF적 디자인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광선총 단자가 추가됨으로서 닌텐도의 인기 게임인 오리사냥 등의 건슈팅 계열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변경되었다. 게임 패키지 자체에 광선총과 기본 소프트웨어가 동봉된 패키지를 선보이는 등 다양한 마켓팅을 실시하였다. 카트리지 디자인을 변경해 국가코드 대신 혼용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데, 이는 일본의 세가 마크3의 팩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했다.[* 이러한 구조도 닌텐도가 먼저 실시했다. ~~만악의 근원 닌텐도~~] 그러나 카트리지 구조만 변경되었을 뿐 데이터 전송 방식은 동일하여 컨버터를 사용하면 서로의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 연결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소프트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을 켜면 경고화면이 출력되는데, 이 화면에서 숨겨진 커멘드를 넣으면 미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비법이 존재한다. 참고로 일본판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중에 발매된 마스터 시스템2 등에서는 내장 소프트웨어가 기기 내부에 갖춰져 있어서, 게임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을 켜면 내장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도록 설계되어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