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26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5:32:31] 孝
[15:15:42] 효도
[21:33:05] 논리적 오류
[18:47:59] 논리적 오류
[00:47:19] 마쓰춘
[00:47:13] 유덕화
[00:47:00] 이위당관
[00:46:47] 해양경찰 마이너 갤러리
[10:34:57] BEMIL 군사세계
[10:28:15] BEMIL 군사세계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구글 네이티브 클라이언트
(편집) (6)
(편집 필터 규칙)
3847,4831
=== 단점 === 근본적으로 NaCl 환경의 가장 큰 문제는 메모리와 자원을 많이 먹는다는 점이다. 현재 지원되는 환경이 메모리를 많이 먹기로 유명한 크롬 브라우저 뿐인 탓도 없지는 않겠으나, 기본 환경이 열리는데에만도 상당한 메모리를 소요한다. 이것은 NaCl이 장점으로 내세우는 ‘빠르다’라는 것, 즉 가볍게 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의 많은 부분을 상쇄하는 단점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는 빠른 실행 속도로 어느정도 납득할 수 있는 요소이긴 하다. 다음으로 큰 문제는 크롬 브라우저 외의 브라우저가 NaCl환경을 지원할 예정이 없다는 점이다. 다른 브라우저 개발사들,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등의 경쟁업체는 물론이거니와 불여우를 만드는 모질라 재단조차 NaCl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을 표출한 바 있어 이에대한 가시적인 성과가 어느정도 나오기 전에는 다른 브라우저의 지원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 문제는 개발자에게 있어서 플랫폼의 제약이 의외로 심하다는 점이다. 다음은 구글이 공개하고 있는 현재의 NaCl의 제약사항이다. * 직접 IDE 통합 없음(디버깅 옵션 참조) * 하드웨어 예외에 대한 지원 없음 * 프로세스 생성 및 하위 프로세스에 대한 지원 없음 * 고유 TCP/UDP 소켓에 대한 지원 없음 * 동시 발생 (차단) I/O에 대한 지원 없음 * 사용 가능한 메모리로의 쿼리가 지원되지 않음 * 인라인 어셈블리가 Native Client 검사기와 호환할 수 있어야 함(SDK의 ncval 도구(Tool)를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음) * Pepper API 호출이 메인 스레드에서 나와야 함 * TCP/UDP 소켓에 대한 지원이 아직되지 않는 점[* 대체 기능—TCP의 경우 웹소켓 및 UDT의 경우 피어 연결—이 개발 중이며 곧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음] 등의 문제로 인해 SSH 터미널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실패한 내용 등이 나오고 있어 이러한 제약의 해결방안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단점 === 근본적으로 NaCl 환경의 가장 큰 문제는 메모리와 자원을 많이 먹는다는 점이다. 현재 지원되는 환경이 메모리를 많이 먹기로 유명한 크롬 브라우저 뿐인 탓도 없지는 않겠으나, 기본 환경이 열리는데에만도 상당한 메모리를 소요한다. 이것은 NaCl이 장점으로 내세우는 ‘빠르다’라는 것, 즉 가볍게 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의 많은 부분을 상쇄하는 단점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는 빠른 실행 속도로 어느정도 납득할 수 있는 요소이긴 하다. 다음으로 큰 문제는 크롬 브라우저 외의 브라우저가 NaCl환경을 지원할 예정이 없다는 점이다. 다른 브라우저 개발사들,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등의 경쟁업체는 물론이거니와 불여우를 만드는 모질라 재단조차 NaCl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을 표출한 바 있어 이에대한 가시적인 성과가 어느정도 나오기 전에는 다른 브라우저의 지원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 문제는 개발자에게 있어서 플랫폼의 제약이 의외로 심하다는 점이다. 다음은 구글이 공개하고 있는 현재의 NaCl의 제약사항이다. * 직접 IDE 통합 없음(디버깅 옵션 참조) * 하드웨어 예외에 대한 지원 없음 * 프로세스 생성 및 하위 프로세스에 대한 지원 없음 * 고유 TCP/UDP 소켓에 대한 지원 없음 * 동시 발생 (차단) I/O에 대한 지원 없음 * 사용 가능한 메모리로의 쿼리가 지원되지 않음 * 인라인 어셈블리가 Native Client 검사기와 호환할 수 있어야 함(SDK의 ncval 도구(Tool)를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음) * Pepper API 호출이 메인 스레드에서 나와야 함 * TCP/UDP 소켓에 대한 지원이 아직되지 않는 점[* 대체 기능—TCP의 경우 웹소켓 및 UDT의 경우 피어 연결—이 개발 중이며 곧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음] 등의 문제로 인해 SSH 터미널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실패한 내용 등이 나오고 있어 이러한 제약의 해결방안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