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6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세조
(편집) (6)
(편집 필터 규칙)
1374,2589
=== 세조 === 집권 초기 중앙집권화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하들의 권력을 제한하고 규율을 확립하여 중앙 집중식 정부 시스템을 확립했다. 대표적 정책은 다음과 같다. * 호패법 복권 * 군제 5위 개편 * 역로 개편 * 찰방 설치 * 예문관 장서 발간 * 각 도에 거진 설치 중앙집권화 정책에 따라 각 지역의 수령은 왕이 직접 임명[* 관찰사의 현감, 현령 임명권을 회수했다.]하면서도 백성들에게 그들을 탄핵할 수 있는 힘을 부여했다. 또한 의정부서사제에서 직접 문서를 인가하고 국사를 통솔하는 6조 직계제도 추진했다. 예조참판인 하위지가 이에 대해 반대하다 수모를 당했고 이후 단종복위운동으로 [[inter:나무위키:사육신]]이 되어 참형을 당했다. 이 외에도 한명회를 주축으로 다음 정책들이 실행되었다. * 행정기관 개편 * 향소부곡 폐지 * 오가작통법 시행 * 면리제 시행 또한 과전 폐지, 직전제 실시도 세조 때 이뤄졌다. 정치적으로는 김숙자, 김종직 등 사림파가 등용되며 중앙 정계에 진입했다. 그러나 김종직은 조의제문을 지어 반정을 조롱했으며 그의 제자와 학파도 마찬가지로 반정을 찬탈로 규정 짓고 조롱했다. 이는 후일 무오사화가 일어나고 김일손이 처형되는 계기가 되었다. 사림의 중앙 정계 진입은 성종 대에 이르러 사림이 정파세력을 형성할 수 있게 만들어주었다. 법/문화적으로는 여러 법전과 서적들이 편찬되기 시작했는데 다음과 같다. 그 외에도 원구제를 실시했다. * 동국통감 * 국조보감 * 경국대전 군사적으로는 1459년 신숙주를 파견해 여진족을 무마시키고 토포사를 보냈고, 1467년 이시애의 난 진압, 건주여진 토벌 등을 이뤄냈다. 불교적으로는 다음 정책을 시행했다. 역사적으로 세조는 호불(好佛) 군주로 유명한데, 단종에 대한 죄책감, 약한 유교적 입지의 대응 등으로 분석된다. * 간경도감 신설 * 원각경 편찬 * 원각사 창건 * 월인석보 간행 말년에는 병에 걸려 고생했다. 전설에선 현덕왕후의 원혼이 나타나 침을 뱉은 악몽을 꾼 뒤 병세가 심해졌단 얘기도 있다. [[https://www.chungbuk.go.kr/child/selectBbsNttView.do?key=964&bbsNo=481&nttNo=145203|#]] 건강이 점점 악화되자 1468년 신하들에게 왕세자 보필을 부탁한 뒤 왕세자에게 왕위를 물려준 다음 날 사망했다. 시호는 혜장으로 명나라에 파견된 사신들이 12월에 받아왔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세조 === 집권 초기 중앙집권화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하들의 권력을 제한하고 규율을 확립하여 중앙 집중식 정부 시스템을 확립했다. 대표적 정책은 다음과 같다. * 호패법 복권 * 군제 5위 개편 * 역로 개편 * 찰방 설치 * 예문관 장서 발간 * 각 도에 거진 설치 중앙집권화 정책에 따라 각 지역의 수령은 왕이 직접 임명[* 관찰사의 현감, 현령 임명권을 회수했다.]하면서도 백성들에게 그들을 탄핵할 수 있는 힘을 부여했다. 또한 의정부서사제에서 직접 문서를 인가하고 국사를 통솔하는 6조 직계제도 추진했다. 예조참판인 하위지가 이에 대해 반대하다 수모를 당했고 이후 단종복위운동으로 [[inter:나무위키:사육신]]이 되어 참형을 당했다. 이 외에도 한명회를 주축으로 다음 정책들이 실행되었다. * 행정기관 개편 * 향소부곡 폐지 * 오가작통법 시행 * 면리제 시행 또한 과전 폐지, 직전제 실시도 세조 때 이뤄졌다. 정치적으로는 김숙자, 김종직 등 사림파가 등용되며 중앙 정계에 진입했다. 그러나 김종직은 조의제문을 지어 반정을 조롱했으며 그의 제자와 학파도 마찬가지로 반정을 찬탈로 규정 짓고 조롱했다. 이는 후일 무오사화가 일어나고 김일손이 처형되는 계기가 되었다. 사림의 중앙 정계 진입은 성종 대에 이르러 사림이 정파세력을 형성할 수 있게 만들어주었다. 법/문화적으로는 여러 법전과 서적들이 편찬되기 시작했는데 다음과 같다. 그 외에도 원구제를 실시했다. * 동국통감 * 국조보감 * 경국대전 군사적으로는 1459년 신숙주를 파견해 여진족을 무마시키고 토포사를 보냈고, 1467년 이시애의 난 진압, 건주여진 토벌 등을 이뤄냈다. 불교적으로는 다음 정책을 시행했다. 역사적으로 세조는 호불(好佛) 군주로 유명한데, 단종에 대한 죄책감, 약한 유교적 입지의 대응 등으로 분석된다. * 간경도감 신설 * 원각경 편찬 * 원각사 창건 * 월인석보 간행 말년에는 병에 걸려 고생했다. 전설에선 현덕왕후의 원혼이 나타나 침을 뱉은 악몽을 꾼 뒤 병세가 심해졌단 얘기도 있다. [[https://www.chungbuk.go.kr/child/selectBbsNttView.do?key=964&bbsNo=481&nttNo=145203|#]] 건강이 점점 악화되자 1468년 신하들에게 왕세자 보필을 부탁한 뒤 왕세자에게 왕위를 물려준 다음 날 사망했다. 시호는 혜장으로 명나라에 파견된 사신들이 12월에 받아왔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