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메가드라이브
(편집) (8)
(편집 필터 규칙)
7196,8432
== 스펙 == * CPU (MPU) * 메인프로세서 : 모토롤라 68000 (7.67MHz), 게임 연산 및 전체 작업 * 서브프로세서 : Zilog Z80A (3.58MHz), 사운드 처리, 메가어댑터 설치시 마스터 시스템용 게임 구동 * 메모리 * 메인메모리 : 64KB (68000용) + 8KB (Z80용) * 비디오메모리 : 64KB * 컬러버퍼 메모리 : 64 X 9Kbit * 사운드 메모리 : 8KB * 비디오프로세서(VDP) * 320×224, 혹은 256×224의 해상도 출력 가능. (인터레이스에서는 세로 448 해상도 출력 가능) 문자 단위로 환산 시 일본어 기준으로 40 X 28문자 표시 가능. 세가마스터 시스템 게임은 256×192 해상도로 구동된다. * 스크롤 기능을 포함한 독립된 2화면 배경을 합성 표시 가능 * 동시 발색은 512색 중 64색 (16색 X 4팔레트) * 스프라이트 처리 수 : 가로 해상도 320 모드에서 80개, 256 모드에서 64개가 사용가능. * 특수기능 : 래스터 그래픽을 가로의 경우 자유로이 표시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래스터 스크롤) 또한 8도트 단위로 세로그래픽도 표시 위치 지정이 가능하다. 엑스렌자에서는 이 두 기능을 조합해서 화면 회전 등의 효과를 구현했다. * 음원칩 : TI의 PSG TI-76489 칩, 야마하의 FM음원 칩 YM2612 (4MHz). * FM음원 스테레오 6채널, PSG 3채널, 노이즈 1채널 * FM음원 중 1채널을 PCM 채널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메인 CPU를 이용해서 렌더링을 하게 되며, 렌더링 레이트 자체가 CPU에 의존하게 되기 때문에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그나마 사용한 소프트도 구동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심한 소프트가 많은 편이었으나, 트레져 (Treasure)가 유유백서 마강통일전을 내놓은 이래로는 PCM을 깨끗하게 출력하는 방법도 개발된 듯 하다. 그러나 용량 및 여러 이유로 PCM보다는 주로 FM음원과 PSG음원을 이용하는 제작사가 많았다. * 슬롯 * 롬 카트리지 1개, 확장 슬롯 1개(메가CD연결 가능), 컨트롤러 단자 2개, 외부 링크 단자 1개 (메가모뎀 연결 가능), AV단자 1개(8핀 규격, 컴포지트, S단자, 개조 RGB단자를 지원), 헤드폰단자 1개 * 초창기의 메가드라이브1에서는 AV단자의 구조적 결함으로 사운드 출력이 모노만 출력된다. 메가드라이브2는 이 문제가 해결되어 스테레오 출력이 가능하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스펙 == * CPU (MPU) * 메인프로세서 : 모토롤라 68000 (7.67MHz), 게임 연산 및 전체 작업 * 서브프로세서 : Zilog Z80A (3.58MHz), 사운드 처리, 메가어댑터 설치시 마스터 시스템용 게임 구동 * 메모리 * 메인메모리 : 64KB (68000용) + 8KB (Z80용) * 비디오메모리 : 64KB * 컬러버퍼 메모리 : 64 X 9Kbit * 사운드 메모리 : 8KB * 비디오프로세서(VDP) * 320×224, 혹은 256×224의 해상도 출력 가능. (인터레이스에서는 세로 448 해상도 출력 가능) 문자 단위로 환산 시 일본어 기준으로 40 X 28문자 표시 가능. 세가마스터 시스템 게임은 256×192 해상도로 구동된다. * 스크롤 기능을 포함한 독립된 2화면 배경을 합성 표시 가능 * 동시 발색은 512색 중 64색 (16색 X 4팔레트) * 스프라이트 처리 수 : 가로 해상도 320 모드에서 80개, 256 모드에서 64개가 사용가능. * 특수기능 : 래스터 그래픽을 가로의 경우 자유로이 표시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래스터 스크롤) 또한 8도트 단위로 세로그래픽도 표시 위치 지정이 가능하다. 엑스렌자에서는 이 두 기능을 조합해서 화면 회전 등의 효과를 구현했다. * 음원칩 : TI의 PSG TI-76489 칩, 야마하의 FM음원 칩 YM2612 (4MHz). * FM음원 스테레오 6채널, PSG 3채널, 노이즈 1채널 * FM음원 중 1채널을 PCM 채널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메인 CPU를 이용해서 렌더링을 하게 되며, 렌더링 레이트 자체가 CPU에 의존하게 되기 때문에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그나마 사용한 소프트도 구동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심한 소프트가 많은 편이었으나, 트레져 (Treasure)가 유유백서 마강통일전을 내놓은 이래로는 PCM을 깨끗하게 출력하는 방법도 개발된 듯 하다. 그러나 용량 및 여러 이유로 PCM보다는 주로 FM음원과 PSG음원을 이용하는 제작사가 많았다. * 슬롯 * 롬 카트리지 1개, 확장 슬롯 1개(메가CD연결 가능), 컨트롤러 단자 2개, 외부 링크 단자 1개 (메가모뎀 연결 가능), AV단자 1개(8핀 규격, 컴포지트, S단자, 개조 RGB단자를 지원), 헤드폰단자 1개 * 초창기의 메가드라이브1에서는 AV단자의 구조적 결함으로 사운드 출력이 모노만 출력된다. 메가드라이브2는 이 문제가 해결되어 스테레오 출력이 가능하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