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고세균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古細菌 / Archaea 

생물 분류군의 하나로, 한때 박테리아의 한 계통으로 생각했으나 진정세균과는 다른 계통에 속한다.

== 개요 ==
고세균은 호극성 생물이기도 하다. 극호열균과 극호염균, 메테인 생성균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극호염균 ===
'''극호염균'''(extreme halophile)은 미국의 그레이트솔트호나 사해, 오웬스 호수와 같이 염분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산다. 이 중에는 해수 농도(약 3.5%)의 몇 배에 해당하는 고농도의 염분이 생장에 필수적인 종도 있다. 예를 들어 할로박테리아의 단백질과 세포벽은 염분의 농도가 극도로 높은 환경에서 활성하는 특성을 지녀서 이로 인해 염분 농도가 9% 이하로 떨어지면 생존할 수 없다.

=== 극호열균 ===
'''극호열균'''(extreme thermophile)은 매우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생존한다. 대표적인 예로 Sulfolobus 속의 고세균은 황이 풍부한 섭씨 90도의 화산 온천에서 살아간다. 일반적인 생물은 이 정도의 온도에서는 DNA가 파괴되고 단백질이 변성되기 때문에 대부분은 사멸한다. 그러나 Sulfolobus를 비롯한 극호열성 생물은 높은 온도에도 DNA와 단백질이 안정할 수 있도록 적응하였다. 심해 열수구 근처에 사는 Geogemma borossii는 섭씨 121도에서도 세포증식이 가능하다. 또 다른 극호열성 세균인 Pyrococcus furiosus의 DNA 중합효소는 PCR에 사용되기도 한다.

=== 메테인 생성균 ===
유리고세균문(Euryarchaeota)에 속하며, 노폐물로 메테인 가스를 생성한다. 이 세균은 산소와 만나면 치명적인 손상을 입는 절대 혐기성 세균이다. 일부는 그린란드 빙하의 수 킬로미터 아래와 같은 환경에서 서식하기도 하나, 다른 균은 산소가 없는 늪지에서 살아간다.

== 영상 ==
[youtube(dVApqlumJzQ)]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