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김대중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김대중[br]金大中|<table align=right> 출생일 || 1924년 1월 6일 ||
|| 사망일 || 2009년 8월 18일 ||
|| 학력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중퇴[br]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br]경희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br]모스크바 대학교 외교대학원 정치학 박사 ||

[[한국]]의 제15대 [[대통령]]. 한국인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 삶 ==
1924년 전라남도 신안에서 태어났다. 목포에서 학창시절을 보내고 사업을 영위하다가, 정계에 입문하여 민의원 당선을 시작으로 6, 7, 8대 총선에서 연달아 당선되며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 때 민주당 등 각 당의 대변인, 정무위원 등을 역임했다.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박정희에게 패해 낙선했다. 그 뒤 유신정권이 들어서자 [[일본]], [[미국]]에서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inter:나무위키:김대중 납치 사건]]을 당한 뒤 가택연금을 당한다. 그리고 1976년 [[inter:나무위키: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투옥되었으며, 1978년 가석방되었다. 

신군부 집권 후엔 [[inter:나무위키: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으로 투옥 후 사형을 선고 받았으나 전 세계적인 구명 운동으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1982년 [[미국]]으로 망명을 갔다. 1984년엔 [[김영삼]]과 함께 민주화추진협의회를 조직하고 공동의장직을 맡았다.[* 김상현이 대행했다.]

1985년 귀국한 뒤 1987년 통일민주당 상임고문을 맡았으며, 평화민주당을 창당해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1992년 민주당을 창당하고 공동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정계 은퇴 선언 후 다음 해 [[영국]]으로 건너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1년간 연구 활동을 했다.

1994년 귀국해 아시아·태평양 평화재단을 창립하고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1995년 정계 복귀를 선언하며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고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4수만에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대통령 재임 간 IMF 극복, 햇볕정책, IT 육성, [[inter:나무위키:일본 대중문화 개방]] 등 여러 정책을 수행하였다. 2002년 퇴임 후 생활하다가 [[노무현]] 사망 후 건강이 악화되어 같은 해 8월에 사망하였다.

== 수상 ==
* 1998년
  * 무궁화대훈장
  * 국제인권연맹 인권상
* 1999년
  * 필라델피아 자유의 메달
  * 북미주 한국인권연합 인권상
  *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 조지 미니 인권상
* 2000년
  * 노벨평화상
  * 라프토 인권상

== 트리비아 ==
* 엘빈 토플러가 멘토였다. [[http://www.kore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83391|#]] 생전에는 김대중 정부 의뢰로 21세기 한국비전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323629?sid=104|#]]

== 외부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082164?sid=100|'행동하는 양심' 김대중 정치철학 담은 명연설 5]]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008744?sid=102|“아시아의 넬슨 만델라” “위대한 지도자”]]

== 영상 ==
[youtube(EfEubuxmsx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