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모스-켈리 집합론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집합론에서, '''모스-켈리 집합론'''(Morse-Kelley set theory, MK 또는 KM)는 집합론 체계의 일종이다. ZFC와는 달리, 집합과 모임을 대상으로 가진다. 모임 변수에 대한 한량사가 없는 문장에 대해서만 모임 분리공리꼴(Class comprehension axiom)을 갖는 NBG와는 달리, MK는 모임 변수에 대한 한량사를 임의로 허용하는 문장에 대한 모임 분리공리꼴을 가진다.

MK는 ZFC의 무모순성을 증명한다. 따라서 MK는 ZFC보다 훨씬 강한 이론이다. 또한 MK는 유한히 공리화 가능하지 않다. 반면, ZFC 위에 [[도달 불가능한 기수]] [math(\kappa)]가 존재함을 가정하면 [math((V_\kappa,\in,V_{\kappa+1}))]는 MK의 모형이 된다.

== 영상 ==
[youtube(0PJ4NJ-PGP0,start=2804)]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