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버귬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Include(틀:기본,a=green,b=green,c=이 문서는 유머 문서입니다.,d=유머가 가미된 문서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버귬[br]Bugium|<table align=right> 원자번호 || 56 ||
|| 기호 || Bg ||
|| 색 || 무색 ||
|| 질량 || 120.0211 ||
|| 상태 || 기체 ||
|| 밀도 || 0 ||
|| 녹는점 || 134k ||
|| 끓는점 || 232.3k ||
|| 삼중점 || 204k 4.3기압 ||
|| 융해열 || 22 ||
|| 기화열 || 233 ||
|| 열용량 || 11 ||
|| 결정구조 || 없음 ||
|| 이온화에너지1 || 221 ||
|| 이온화에너지2 || 1123 ||
|| 이온화에너지3 || 14122 ||
|| 원자반지름 || 200 ||
|| 원자반지름2 || 194 ||
|| 공유반지름 || 188 ||
|| 반데발스반지름 = 236 ||
|| 자성 || 강자성 ||
|| 열전도율 || 356 ||
|| 음속 || 443 ||

예외적 원소의 하나이다.

==물리학적 특징==
이 원소는 전자의 터널링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 컴퓨터에서 버그가 일어난다. 그러나 인체는 신경의 원리가 컴퓨터의 회로와 달라 인체의 신경에는 영향을 미치치 않는다.

==생물학적 특징==
인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섭취시에 배출된다. 그러나 그의 산화물이 눈으로 들어갔을 때 눈이 잠시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시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산화물 자체가 투명한 액체가 아니다.]

== 버귬에 대한 오해 ==
일반적으로 사람은 버귬이 모든 버그를 일으킨다고 생각하지만, 버귬이 일으키는 버그는 거의 없다. 버귬이 일으켰던 유명한 사태로는 1994년에 생성된 펜티엄 프로세서의 부동소수점연산장치에 있던 버그로써, 그 FPU는 원료를 잘못 선택하여 버귬이 0.00001%들어가 일어났던 일이다.[* FPU에 버귬이 들어있는지 아닌지 알아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금 1을 컴퓨터로 824633702441.0으로 나눠보는 것이다]

[Include(틀:가져옴,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archive.ph/dAbiB|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