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酸化數 / oxidation number 분자 내의 전하량 분포를 가상적인 전하량을 부여함으로써 표현하는 방식이다. 화합물에서 원자의 산화 상태를 보여 준다. IUPAC의 정의를 이용하여 산화수를 정할 수 있다. [[http://goldbook.iupac.org/O04365.html|#]] * 홑원소 물질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는 0이다. * 단원자 이온의 경우, 산화수는 이온의 알짜 전하수와 같다. * 대부분의 화합물에서 [[수소]]는 +1의 산화수를 가지며, [[산소]]는 -2의 산화수를 가진다.[* 예외적으로, 활성금속과 결합한 수소화물에서 수소는 -1의 산화수를 가진다. e.g. LiH, 그리고 산소는 과산화물에서 -1의 산화수를 가진다. e.g. H2O2, 플루오린과 산소가 결합한 경우 산소의 산화수는 +값을 가진다.] * 중성 분자에서 모든 원자의 산화수의 산술적 합은 0이 되어야 하며, 이온의 경우 구성원소 산화수의 산술적 합은 이온의 전하수와 같아야 한다. == 영상 == [youtube(IIb-tgCeLUM)]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