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自然數 / Natural number 자연수 집합의 원소를 말한다. == 정의 == 다음의 다섯 가지 공리로 이루어진 페아노 공리계(Peano's axioms)를 만족하는 체계를 자연수 체계라 부른다: * [math(1\in\mathbb{N})] * [math(n\in\mathbb{N}\Rightarrow n' = n+1\in\mathbb{N})] * [math(\not\exists n \text{ s.t. } n' = 1)] * [math(\forall m, n \in\mathbb{N}, \ m' = n' \Rightarrow m=n)] * [math(\forall \mathbb{S}\subset\mathbb{N}: \ (1\in\mathbb{S})\wedge(n\in\mathbb{S}\rightarrow n'\in\mathbb{S})\Rightarrow \mathbb S = \mathbb N)] 편의에 따라 덧셈의 [[항등원]] [[0]]을 자연수에 포함시킬 수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위와 같이 정의된 자연수를 양의 [[정수]]라고 한다. 0이 포함된 자연수는 [math(\mathbb N_0)]나 [math(\bar{\mathbb N})] 등으로 표기한다. == 집합론에서의 자연수의 표준 구성 == 집합을 이용하여 자연수를 [[수학적 귀납법|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의한다: * [math(0:=\{\},)] * [math(n+1:=n\cup \{n\}, \quad n \in\mathbb N.)] <ref>[math(n+1:=\{n\})]으로 정의하기도 한다.</ref> 무한 공리를 가정할 때 위의 정의는 페아노 공리계를 만족한다. == 설명 == 자연수는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기초적인 수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1]], [[2]], [[3]], ..., 42, ..., 314, ... 자연수는 소수와 합성수로 나눌 수 있다. == 영상 == [youtube(4CgMORuPUoQ)]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