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정다면체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외부:https://pbs.twimg.com/media/GEh0sL2WMAAQD6e?format=jpg&name=4096x4096|width=450]]
Regular Polyhedron

점추이적이면서 모든 면이 정다각형인 다면체, 즉 모든 점에 대해 동일한 정다각형이 동일한 갯수만큼 모여서 만들어진 볼록 다면체를 의미한다.

== 역사 ==
볼록 정다면체는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고, 피타고라스 학파가 정십이면체를 발견했다고 한다. 볼록 정다면체가 플라톤 입체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플라톤이 이 다섯 볼록 정다면체를 우주의 원소와 우주에 대응시킨 철학을 발전시키고자 했기 때문이다. 오목 정다면체는 케플러가 두 개를 발견했고 푸앵소가 나머지 두 개를 발견했으며, 이들을 케플러-푸앵소 다면체라고 부른다.

== 정다면체의 목록 ==
|| 이름 || 면 || 변 || 꼭지점 || 면의 모양 || 꼭지점의 면 수 || 대칭군 ||
|| 정사면체 || 4 || 6 || 4 || 3 || 3 || T,,d,, ||
|| 정육면체 || 6 || 12 || 8 || 4 || 3 || O,,h,, ||
|| 정팔면체 || 8 || 12 || 6 || 3 || 4 || O,,h,, ||
|| 정십이면체 || 12 || 30 || 20 || 5 || 3 || I,,h,, ||
|| 정이십면체 || 20 || 30 || 12 || 3 || 5 || I,,h,, ||

== 군과의 연관성 ==
리 군에서 산발적인(sporadic) 군과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가 관련이 있다.

== 영상 ==
[youtube(GOe1i-8vMIY)]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