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져온 문서/자유인사전]] [[http://history.acoc.kr/|history.acoc.kr]] A City of Creation, ACOC 창조도시는 그림, 음악, 게임 등 창작을 취미로 삼거나 특기로 가지는 이른바 프로츄어들이 모인 커뮤니티다. 2016년 네코 데브와 합쳐져 인디사이드가 되었다. == 특징 == === 사이트 운영 원칙 === 운영자가 모든 개인이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믿음 아래 운영했기에, 사이트 회원의 반응이나 행동과 무관하게 대부분 너그럽게 대응했다. 단 그런 현상을 기대하는 입장에 가깝다는 의견도 있다. 그 외에도 운영자의 수가 사이트 규모에 비해 꽤나 많으면서도, 창작 활동 등 자신의 할일에 바빠 운영자임을 자각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권력을 거의 쓰지 않는 문화가 암묵적으로 존재하였다.[* 자신이 운영자인줄 모르는 운영자도 존재했다고 전해진다.] 그래도 어쨌든 숨은 운영자들이 많으니 제재가 없더라도 알아서 눈치를 보고 매너를 지키는 문화가 생기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다. === 게임동 === 게임을 제작하는 곳. 가장 활동이 많고 시끌벅적 했던 곳으로, 이른바 창조도시의 심장으로 볼 수 있다. 쇠퇴기에는 게임공작소와 아방소의 대두로 활동이 매우 줄긴 했으나, 실력자가 많은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상용화를 시도하면 실패한다는 특징이 있다. 인터넷 판매의 코건, 코믹월드 판매의 패러렐 테일, 앱스토어 판매의 더럽 모두 실패한 사례이다. 유명 인사는 다음과 같다. * 찰드: 판타지 로케이션 제작자 * 고월: 달의 이야기 제작자 * 똥똥배 * 허시 * 마사토끼 * 닝구: 서프라이시아 제작자 * 책벌레공상가 또다른 특징으로는 네임드 여성회원이 없었다는 것이 있다. 위의 책벌레공상가가 여성회원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정확하지 않으며, 사실이라 해도 0~1명밖에 안 되는 것이다. [[http://wiki.indiside.com/index.php/%EC%B1%85%EB%B2%8C%EB%A0%88%EA%B3%B5%EC%83%81%EA%B0%80|#]] === 그림동 === 그림(만화 포함)을 그리는 곳. 성품이 좋은 회원들이 제일 많았다 전해지며, 게임동과는 달리 여성회원의 비율이 높고 적은 회원 수에도 실력이 높은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또한 [[루리웹]]과 함께 활동했던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 한때 창조도시의 디자인이 루리웹과 비슷하다는 의견이 제시된 적도 있다.] === 문학동 === 문학, 시를 작성하는 곳. 시민발언장을 장악했으며 각종 논쟁과 설전의 진원지로 전해진다. === 음악동 === 음악을 창작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곳으로 다른 동과 달리 가장 활동이 적었던 곳이다. [Include(틀:가져옴,O=자유인사전,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web.archive.org/web/20110411170642/http://licentium.net:80/wiki/index.php/%EC%B0%BD%EC%A1%B0%EB%8F%84%EC%8B%9C|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