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Cauchy–Schwarz inequality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만들고 카를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가 덧붙인 중요한 절대부등식이다. 이 부등식은 선형대수학에서는 벡터를 다룰 때, 에서는 무한 급수에서, 확률론에서는 분산과 공분산을 다룰 때와 같이 여러 상황에서 사용된다. C-S로 줄여 쓰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부등식은 [math( \mathbf{x} )]와 [math( \mathbf{y} )]가 [[실수]]나 [[복소수]] 내적 공간의 원소일 때 다음이 성립함을 나타낸다.

>[math( {|\langle \mathbf{x}, \mathbf{y} \rangle|}^{2} \leq \langle \mathbf{x}, \mathbf{x} \rangle \cdot \langle \mathbf{y}, \mathbf{y} \rangle )]
등호가 성립하는 것은 [math( \mathbf{x} )]와 [math( \mathbf{y} )]가 일차 종속인 경우와 동치이다. 또한, [math( \vec{x} )]와 [math(\vec{y})]가 [math( n )]차원 (유클리드) 공간 벡터인 경우, [math( \vec{x} = \displaystyle \sum_{i = 1}^{n} {x}^{i} {\hat{\mathbf{e}}}_{i} )], [math( \vec{y} = \displaystyle \sum_{i = 1}^{n} {y}^{i} {\hat{\mathbf{e}}}_{i}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

>[math( {\left ( \displaystyle \sum_{i , j = 1}^{n} {\delta}_{i j} {x}^{i} {y}^{j} \right )}^{2} \leq \left ( \displaystyle \sum_{i , j = 1}^{n} {\delta}_{i j} {x}^{i} {x}^{j} \right ) \left ( \displaystyle \sum_{i , j = 1}^{n} {\delta}_{i j} {y}^{i} {y}^{j} \right ) )]

위 식에서 [math( {\delta}_{i j} )]는 크로네커 델타(Kronecker delta)이다.

[math( n = 2 )]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부등식을 얻을 수 있다.

>[math( {(a c + b d)}^{2} \leq ({a}^{2} + {b}^{2})({c}^{2} + {d}^{2}) )]

삼각 부등식과 베셀 부등식은 보통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 증명 ==
[math( \mathbf{y} = \mathbf{0} )]일 경우 부등식이 성립한다는 것이 자명하므로, [math( \langle \mathbf{y}, \mathbf{y} \rangle \neq 0)]이 아니라고 가정할 수 있다. [math( \lambda \in \Bbb{C} )]라 하면,
>[math( \begin{aligned} 0 \leq {\left | \mathbf{x} - \lambda \mathbf{y} \right |}^{2} &= \langle \mathbf{x} - \lambda \mathbf{y}, \mathbf{x} - \lambda \mathbf{y} \rangle \\ &= \langle \mathbf{x}, \mathbf{x} \rangle - \lambda \langle \mathbf{x}, \mathbf{y} \rangle - \lambda \langle \mathbf{y}, \mathbf{x} \rangle + {|\lambda|}^{2} \langle \mathbf{y}, \mathbf{y} \rangle \end{aligned})]

[math( \lambda = \langle \mathbf{x}, \mathbf{y} \rangle / \langle \mathbf{y}, \mathbf{y} \rangle )]로 하여 정리하면, 

>[math( 0 \leq \langle \mathbf{x}, \mathbf{x} \rangle - {|\langle \mathbf{x}, \mathbf{y} \rangle|}^{2} / \langle \mathbf{y}, \mathbf{y} \rangle )]

양변에 [math( \langle \mathbf{y}, \mathbf{y} \rangle )]을 곱해서 정리하면 위의 식은 다음과 동치이다.
>[math( {|\langle \mathbf{x}, \mathbf{y} \rangle|}^{2} \leq \langle \mathbf{x}, \mathbf{x} \rangle \cdot \langle \mathbf{y}, \mathbf{y} \rangle )]

== 예시 ==
*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이용하면 [math( a , b \in \Bbb{R} )]에 대하여 [math( {a}^{2} + {b}^{2} = 61 )]일 때 [math( 3 a + 4 b )]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 L^^2^^ 공간 ===
제곱적분 가능한 복소함수의 내적 공간에서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math( {\left | \displaystyle \int f(x) \overline{g}(x) dx \right |}^{2} \leq \displaystyle \int {\left | f(x) \right |}^{2} dx \cdot \displaystyle \int {\left | g(x) \right |}^{2} dx )]

디랙 표기법을 쓰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math( {\left \langle g | f \right \rangle}^{2} \leq \left \langle f | f \right \rangle \cdot \left \langle g | g \right \rangle )]

횔더 부등식은 이것을 일반화한 것이다.

== 영상 ==
[youtube(hirqKIbvpg4)]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